| [[야마자키파| 야마자키파 | |||||
| {{{#!wiki style="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총재 | ||||
| 야마자키 신지 ↓ 토라오니 야마자키 신겐 ↓ 야마자키 신타로 ↓ 시로오니 야마자키 종건 | |||||
| 부총재 | |||||
| 야마자키 신타로 ↓ 공석 | |||||
| 수뇌부 | |||||
| 박소미 | |||||
| 선글라스를 낀 조직원 | 애꾸눈 조직원 | ||||
| 조직원 | |||||
| ??? | |||||
| 신겐의 첩들 | 신겐의 자식들 | ||||
| 야마자키 하루토 | 모리타 미사키 | ||||
| 야마자키 케이코 | 후지이 하루시게 | ||||
| | | ||||
| {{{#!folding 산하조직 | --{{{#!folding 사무라파 | {{{#FFD700 --{{{#!folding 마가미파 | <tablewidth=100%><tablebgcolor=#1B1B1B> 가주 | ||
| | |||||
| 조직원 | |||||
| | }}}--}}} | ||||
| {{{#!folding 한구레 | 박동환 | 박소미 | }}} | {{{#FFD700 --{{{#!folding 다케시 家 | <tablewidth=100%><tablebgcolor=#1B1B1B> 가주 |
| | |||||
| 조직원 | |||||
| | }}}--}}} | ||||
| --{{{#!folding 마사이치 家 | 가주 | ||||
| | |||||
| 조직원 | |||||
| | }}}-- | --{{{#!folding 와타나베 家 | 가주 | ||
| | |||||
| 조직원 | |||||
| | }}}-- | ||||
| ※탈퇴하거나 반란을 일으키거나 와해 혹은 숙청된 것이 확인된 산하 조직 및 가문, 조직원들은 취소선 처리 | }}}}}} | |||||||||||
||<-2><table align=right><table width=450><table bordercolor=#000,#ddd><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0><colcolor=#fff> 모리타 미사키
[ruby(森, ruby=もり)][ruby(田, ruby=た)] [ruby(岬, ruby=みさき)] | Morita Misaki ||
[ruby(森, ruby=もり)][ruby(田, ruby=た)] [ruby(岬, ruby=みさき)] | Morita Misaki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젊은 시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국적 | | ||
| 나이 | 불명[1] | ||
| 소속 | 야마자키파 | ||
| 직업 | 산파 | ||
| 등장 작품 | 외모지상주의 | ||
| 활동 시기 | 0세대 | ||
1. 개요
네이버 웹툰 《외모지상주의》의 등장인물.2. 작중 행적
2.1. 시로오니 (519화~530화)
박소미와 야마자키 신겐의 아들 박종건이 태어날 때 산파 역할을 했다.이때까지만 해도 단역으로 보였지만 이후 위독할 때 부총재인 야마자키 신타로가 직접 찾을 정도로 조직 내에서 위상이 있는 인물임이 확인되었다.[2]
그녀를 찾아온 신타로에게 각자의 자리에서 노력하는 신겐과 신타로가 멋지게 자란 것에 기쁨을 표한다. 그러나 이후 그 둘의 출생의 비밀을 밝히는데 바로 신타로와 신겐의 신분이 뒤바뀐 것.
과거 신겐과 신타로가 아기일 때 동생에게 양초가 떨어졌고, 그녀가 둘을 구하러 갔을 때 그 양초를 형이 대신 맞아준 모습을 보았다. 이를 들은 신타로는 형이 어릴 때부터 자신을 챙긴 것에 감동하나 그 화상 자국은 신타로 본인에게 있었다. 장자에게 상처를 입힌 죄로 죽을 것을 두려워한 미사키가 둘의 신분을 바꿔치기 해 태형 100대를 맞는 것으로 끝나게 된 것이다.
- 미사키의 죽음 (혐오 및 공포주의) [펼치기/접기]
결국 충격을 받은 신타로에 의해 사망하고 만다. 이후 하녀에게 칼에 꿰뚫려 벽에 매달린 채로 발견된다.
3. 인간 관계
- 야마자키 신겐 - 상관.
- 야마자키 신타로 - 상관. 엄연히 따지고 보면 자신의 평생을 거짓되게 살아오도록 한 장본인이 미사키이다. 출생의 비밀을 안 신타로가 분노하여 미친 상태로 미사키를 살해한다.
- 박종건 - 자신이 받아낸 신겐의 아이.
4. 평가
"네년이 아주 미쳤구나! 미천한 산파년이 가주가 될 몸에 화상을 입혀?! 더 큰일이라도 났으면 어쩔 뻔 했느냐! 가문의 미래를 위태롭게 한 죄! 여기서 네 천한 목숨을 끊어 사죄해라!"
― 야마자키 신지
― 야마자키 신지
"모리타 미사키 님... 그러면 안 되는 거잖아..."
― 야마자키 신타로
사실상 시로오니 편의 만악의 근원으로, 자신의 부주의로 인해 차기 가주가 되었어야 할 신타로의 등에 화상을 입히고, 자신의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서 신겐이 형이라는 거짓을 고했다. 물론 마시키 또한 한 명의 인간인 만큼, 죽기 싫다는 이유는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으며 신겐이 형이라는 거짓말을 그대로 영원히 묻어더라면 야마자키파는 나름 평화로웠을 것이다. 문제는 임종 직전에서야 신타로에게 출생의 비밀을 실토하는 바람에 이것이 신타로가 반란을 일으키게 되는 계기가 되어 야마자키파의 내분을 유발했을 뿐만 아니라 미사키 본인도 분노한 신타로에게 칼에 찔려 벽에 전시되는 끔찍한 죽음을 맞이했다. ― 야마자키 신타로
이 때문에 굳이 신타로에게 출생의 비밀을 알려주었어야 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최후에나마 자신의 양심을 지키겠답시고 한평생을 야마자키를 위해 헌신하며 살아온 신타로를 혼란스럽게 만들어 분란을 이끌어낼 바에야 차라리 양심의 가책은 느끼더라도 끝까지 묵인하는 두 형제에게 있어 더 좋았을 것이다. 물론 죽기 직전이 되어서야 한평생 숨겨왔던 비밀을 털어놓고, 그 유언이 발단이 되어 주요 인물들 간의 갈등이 시작되었다는 식의 스토리는 서브컬처 전반에 걸쳐 제법 많이 나오는 클리셰이다. 특히나 미사키는 자신의 안위를 위해서 신타로와 신겐을 바꾼 인물이다. 그렇기에 어차피 본인은 임종 직전의 상황이었기에 야마자키에서 일어날 분란보다는 차라리 자신이 인생 동안에 짊어진 마음의 짐을 내려놓는 것을 우선시했다고 해도 어색하지는 않다.
그러나 의도가 그 어찌되었든 간에 미사키는 야마자키파의 내분을 유발한 만악의 근원이 되었다. 물론 이쪽도 엄연히 인간이기에 살기 위해서 거짓말을 했다는 것 자체는 악인이라고는 볼 수 없겠지만, 진실을 말할 타이밍이 너무나도 늦었던 것이 문제였다. 하다못해 자신이 죽기 직전이 아니라, 하루토가 죽기 전에 미리 알려주었더라면 야마자키파의 내분까지는 이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당장에 총재인 신겐부터가 진실을 알았더라면 총재 직위를 신타로에게 넘겼을 것이라고 했고, 그의 아들인 종건 역시 차기 총재가 되겠다는 욕심이 전혀 없었으므로 무기력증에 빠진 신겐이 총재를 은퇴하고 은거하겠다는 등의 사유로 정당하게 총재 직위를 양위하고, 종건 역시 총재 자리에는 관심이 없었던 데다가 하루토에게 우호적이었기 때문에 신타로가 아니더라도 그의 아들인 하루토가 차기 총재의 자리에 아무런 문제 없이 오를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미사키가 그 진실을 고한 상황은 이미 하루토가 죽은 이후였고, 이로 인해 완전히 정신이 나가버린 신타로는 정당한 방법을 통해서 총재의 자리에 오르는 것이 아닌, 뒤틀린 규율로 모든 것을 바로 잡기 위해 신겐과 그의 아들인 종건까지 전부 죽여 장자 승계를 철저하게 지키겠다는 극단적인 수를 취하게 된다. 작품 외적으로 보면 신타로가 반란을 일으켜야만 하기 때문에 그 역할을 부여받았지만, 작품 내적인 묘사만 본다면 결국 미사키가 너무 늦게 진실을 전한 것이 화근이 되었으니 이래저래 최악의 수였던 셈이다.[3]
아이러니하게도, 사실 어떻게 보면 외모지상주의 내에서 발생한 모든 사건의 시작점[4]이라고 볼 수 있는데, 죽기 직전 신타로에게 진실을 알려준것 만으로 신겐의 죽음부터 시작해 종건과 최동수의 만남, 그리고 이로 인해 4대 크루까지 만들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그야말로 죽기 직전 뱉었던 진실이 한국에서의 나비효과를 불러 일으킨 셈이다.
5. 어록
6. 기타
- 젊었을 때 동안이었던 것인지 나이를 먹을 때 노화가 빠르게 온건지 신겐과 신타로가 태어났을 때는 20대~30대 수준으로 보였는데 종건의 과거 회상 시점인 신겐이 약 50세 정도일 때를 보면 100세에 가까운 나이로 보일정도로 얼굴이 팍 늙었다. 물론 0세대보다도 윗 세대이고 야마자키파의 최연장자였음을 고려했을 때 8년 전 사망 당시 90세 전후의 나이였을 것으로 보인다.
[1] 야마자키파의 최연장자이므로 야마자키 신지보다도 연상일 것이다. 작중 묘사를 감안하면 사망 당시 90세 전후였을 것으로 보인다.[2] 야마자키 내에서 가장 연장자이며 신겐과 신타로가 태어났을 때도 산파 역할을 했다고 한다.[3] 다만 하루토의 자결은 이러니 저러니 해도 결국 신타로의 뒤틀린 규율에 대한 집착이였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미사키도 신타로에게 진실을 말하기 이전부터 이미 엇나간 것을 전혀 알지 못했다.[4] 정확히는 종건의 악행으로 벌어진 모든 사건의 시작점으로 보는 것이 옳다.[5] 태형 100대면 성인 남성이라고 해도 죽음에 이르러도 이상하지 않을 극형이다. 당연히 만화적 허용인 셈. 물론 산파이긴 해도 일단은 야마자키파의 일원인 만큼 정말로 일반인을 훨씬 초월한 맷집을 가졌을 가능성도 있다. 때리는 사람도 야마자키파인 게 문제지만... 아니면 동남아 등지의 형벌처럼 나누어 맞았거나 100대라는 형벌은 죄의 무게를 강조하기 위한 형식적인 처벌이고 실제로는 죽기 직전까지만 맞았을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