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30 21:00:42

면역계/용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면역계

1. 병원체

Pathogen

역사적으로는 병을 일으키는 것들을 싸잡아 병원체라고 하였으나, 현대적인 의미로는 감염을 일으키는 물질[1]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개의 경우 생명체(박테리아, 바이러스, 균류, 기생충 등)이나, 프리온 같은 특이 케이스도 존재한다.

2. 항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항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Antigen

면역체계가 '인식할 수 있는' 물질.[2] 비단 각종 침입자들만이 아니라, 몸에 별 영향이 없는 생뚱맞은 것들[3]도 항원으로 인식하는 바람에 이런 것들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알레르기를 일으키거나 심하게는 자기자신을 항원으로 인식하는 바람에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그러니까, 화학물질, 단백질, 무기물 등 거의 모든 것들이 항원이 될 가능성이 있다. 심지어는 원래 우리가 가지고 태어난 것도 항원으로 인식하여 공격하기도 한다. 췌장 세포를 공격하는 1형 당뇨병이 전형적인 예이다.

3. 항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항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Antibody

주로 B세포에 의해 만들어지는 면역글로불린 단백질을 총칭하는 말. 여러 가지 클래스가 있는데, 작용기전과 위치가 조금씩 다르지만 대개는 항원에 들러붙어서 항원을 응집/무력화시키고(중화), 보체계를 활성화시키고(보체 활성화), 항원을 코팅해서 백혈구가 잘 잡을 수 있도록 타겟팅(옵소닌화)하는 역할을 한다.

체액성 면역의 주요 요소이다. 하나의 개체라도 B세포가 내는 항체는 모조리 제각각인데, 그 이유는 B세포가 성숙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항체 유전자 유전정보를 재조합하기 때문. 항체에서 항원을 인식하는 부위의 내용을 담고 있는 서열에 집중적으로 변이가 발생하는데, ATGC중 말 그대로 아무거나 끼워넣게 된다.(DNA복구기전이 작동하지 않는다.) 이때 별탈없이[4] 항체를 내는 B세포가 선별되며, 자기 신체를 항원으로 인식하는 B세포는 분화 과정에서 처분된다. 결과적으로 성숙한 B세포는 전부 다른 종류의 항체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5][6] 그리고 이 반응은 B세포만이 아니라 T세포도 한다. B세포는 수용성 항체를 만들어서 혈액 속으로 내보내고 T세포는 세포막에 수용체로서 가지고 있다는 차이뿐.

4. 항원 항체 반응

항체가 대상 항원에 결합하는 반응. 항원 한 종류에 대해서 다양한 항체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같은 부위에 결합하는 항체도 그 반응성이 천차만별이다. 이 항원 항체 반응을 통해서 사람은 체액성 면역을 일으킬 수 있고 실험실에서는 EIA를 할 수 있다.

5. 주조직적합복합체(MHC, HL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조직적합복합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패턴인지수용체, PR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패턴인지수용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보체계

complement system



간에서 만들어지는 일련의 단백질(C1 부터 C9)이며, 만노오스같은 단세포생물에만 있는 물질을 인식해 활성화된다. 활성화되면 (1) 막공격복합체를 형성하여 세포표면에 붙어 구멍을 뚫어놓고, (2) 다른 면역세포가 쉽게 면역반응을 할 수 있게 돕는다.(옵소닌화, Opsonization)[7] 숙주세포는 피해를 받지 않도록 이 보체계의 활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을 전시해놓고 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보체도 엄연히 알러지를 유발한다.(...) 보체가 제대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결국 면역세포가 와야하는 탓에...보체 중 C3, C4, C5의 분해형인 C3a, C4a, C5a등은 호산구와 호염구와 같은 세포를 유도하고 이들은 알러지를 유발하기도 한다.

보체계는 언뜻 보면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는 System이지만, 그 반응이 Cascade 처럼 일어나기 때문에 알고 보면 쉽다.

8. 탈감작

desensitization

자가면역 반응이 나지 않기 위한 안전장치는 많다. 장내세균 같은 것도 일단은 외부항원이지만, 이런 걸로 면역을 시작하면 안 된다. 그래서 림프구를 한 번 체내에 돌리면서 반응하지 않는 것만 쓰는데, 이를 이용해서 항원을 약하게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는 걸로 감작되는 경우도 있다. 주로 구강투여가 유효하나, 이론적으로 그렇다는 거지, 실제로는 감작되기 전에 몸이 망가질 수도 있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9. V(D)J 유전자 재조합

B, T 계열의 세포들이 한정된 유전자로 돌려쓰기를 하는 것이다. 앞에 항체에서 언급한 항체/TCR 유전자의 재조합 내용이다.
이것을 제외한 다른 유전자들 중 대부분은 세포종류에 따라 활성화가 되어있거나 비활성화가 되어있거나 둘 중 한 가지만으로 되어 있는데(뇌세포에서 적혈구 유전자가 활성화되면 안되듯이) 유전자 재조합을 담당하는 유전자는 같은 종류의 세포임에도 개별세포마다 활성화, 비활성화가 다른 거의 유일한 유전자이다.

10. 옵소닌화

활성화된 보체가 자신이 아닌 세포에 달라붙어 식세포작용을 돕는 것이다. (위의 보체계 내용 참고)
진핵생물, 세균, 바이러스 가리지 않고 다 달라붙는다.
사람의 세포는 세포막에 Decay accelerating factor(DAF) 등을 발현해 보체가 세포막에서 빠르게 분해되게 만들어 피해를 최소화한다.

11. 사이토카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토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 인터페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터페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아포토시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포자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Apoptosis

세포자살을 말하며 특징으로는 세포소기관과 핵들이 분해가 된다.
세포자멸사라고도 한다.

13. 리소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소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세포가 자신의 대사과정중 나온 쓰레기들을 모아 분해하는 기관이다.
면역세포는 이것으로 병원체(항원)을 분해하기도 한다.

14. 지연형 과민반응

DTH, 림프구들이 관련되어 발생하는 알레르기 반응이다.
다른 알레르기보다 반응시간이 늦기에 지연형이라 불린다.

15. 육아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육아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에피토프, 합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항원결정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기본적으로 '증식'의 개념이 포함된다. 예컨대 '독'은 몸에 해롭지만 그 자체가 몸 안에서 증식하는 것이 아니기때문에 병원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2] 비자가물질이라고도 한다.[3] 예를 들면 꽃가루, 밀가루, 땅콩[4] 정지코돈 같은 걸 끼얹었다든지 하는 이유로 괴상한 경우가 아닌[5] 상당히 단순한 메커니즘으로 수많은 항원을 커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밝힌 도네가와 스스무는 1987년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6] 지금 보면 단순한 메커니즘이지만, 이제까지 만들어진 적이 없는 물질에도 반응하는 항체를 만들어내야 하는 가능성이 얼마 안되는 유전자 안에 어떻게 짜여져 들어갈 수 있을까는 꽤 오랫동안 면역학자들을 괴롭혀 온 역설이었다.[7] 대표적인 보체의 작용일 뿐이다. 실제 각각의 보체들이 하는 작용은 다양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