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01:40:06

메이테츠 5000계 전동차 (2대)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4e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4ea2>
파일:Meitetsu_Wlogo.svg
나고야 철도
철도 차량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현역 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전동차 (직류 1,500V)
특급 VVVF 2000계 · 2200계 · 2300계
SR 1000계 · 1200계 · 1800계
통근 VVVF 3500계 · 3700계 · 3100계 · 3300계 (3대) · 3150계 · 4000계 · 9500계 · 9100계
SR 6000계 · 6500계 · 6800계 · 5000계 (2대)
지하철
입선용
100계 · 200계 · 300계 · 500계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퇴역 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동차
특급 VVVF 1600계 · 1700계
SR 8800계 · 1030계 · 1230계 · 1850계 · 3400계
통근 SR 1380계 · 5000계 (초대) · 5200계 · 5300계 · 5500계 · 5700계 · 6600계 · 7000계 · 7100계 · 7500계 · 7700계
조괘식 3300계 (2대) · 6750계(6650계) · 7300계
기동차
특급 키하 8000계 · 키하 8500계 }}}}}}}}}}}}
파일:Meitetsu_Wlogo.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메이테츠 5000계 전동차 (2대)
名鉄 5000系 電車 (2代)
Meitetsu 5000 series (2nd)
}}}
파일:Meitetsu-5011F.jpg
외부
차량 정보
용도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4량 1편성
운행노선 파일:MT-NH.svg 메이테츠 나고야 본선
파일:MT-IY.svg 메이테츠 이누야마선
파일:MT-HM.svg 메이테츠 히로미선
파일:MT-KC.svg 메이테츠 치타 신선
파일:MT-KC.svg 메이테츠 코와선
파일:MT-GN.svg 메이테츠 니시오선
파일:MT-CH.svg 메이테츠 칫코선
파일:MT-TA.svg 메이테츠 토코나메선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4량/6량/7량/8량 1편성
도입시기 2008년 ~ 2009년
제작사 일본차량제조
소유기관 나고야 철도
운영기관
운행시기 2008년 ~ 운행 중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전장 선두차 18,900㎜
중간차 18,830mm
전폭 2,744㎜
전고 3,600mm
궤간 1,067㎜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운전보안장치 M형 ATS
제어방식 계자 초퍼제어
동력장치 TDK8225-A 직류복권전동기
구동방식 중공축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자직통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120㎞/h
설계 130㎞/h
가속도 2.0㎞/h/s
감속도 상용 3.5㎞/h/s
비상 4.0㎞/h/s
MT 비 2M 2T }}}}}}}}}

1. 개요2. 특징3. 관련 문서

1. 개요

나고야 철도의 통근형 전동차로, 2000년대 들어 폐차하는 열차 형식이 생겨나자 그 공백을 메꾸기 위해 제작되었다.
이전에 5000계가 있었기에,[1] 지금의 형식은 '신5000계' 또는 '2대 5000계' 등으로 불린다.

2. 특징

사실은 완전한 신차가 아닌 폐차된 메이테츠 1000계 전동차 전차량 특별차 편성의 전장품과, 제동장치, 냉방기, 대차, 팬터그래프까지 재활용해서 차체만 새로 만든 차량이다. 껍데기만 새차
외형만 보면 영락없는 신차지만, 가감속할때 들려오는 재활용 계자쵸퍼제어방식의 직류복권전동기 모터 소리를 들으면 그야말로 상당한 위화감이 느껴진다.[2]

메이테츠 1000계 전동차의 전장품과 제동장치를 재활용하다보니 생긴 것과 달리 전기지령식 제동방식이 아닌 전자직통 제동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5014편성이 보조전원 장치가 DC-DC 컨버터에서 SIV로 교체 되었다.

2035년 까지 일본의 국토교통성이 주요 철도사업자의 전동차 중에서 VVVF-IGBT나 SiC가 아닌 전동차들을 원칙적으로 모두 신차로 교체하거나 VVVF-IGBT나 SiC로 개조하라는 지침을 내리면서 계자쵸퍼 제어 이면서도 상대적으로 차체의 경년이 적은 이 차량의 향후 처우에 관심이 가는 상황이 되었는데, 과거의 기기유용차량인 메이테츠 6750계 처럼 조기폐차[3] 할지, 아니면 메이테츠 100계처럼[4] VVVF화를 할지는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100계 초기형 폐차 시 나오는 IGBT 부품 및 교류 전동기[5]를 해당 차량의 VVVF화 개조에 쓸 수 있다고 바라보고 있다.

3. 관련 문서




[1] 이 차량은 무려 메이테츠 최초의 카르단 구동방식 전동차다.[2] 그러니까 부산 3호선 열차가 1호선 쵸퍼제어 소리를 낸다고 생각해보자. 생각하면 할수록 소름돋는다[3] 2035년이 되면 초도도입분이 차령이 27년, 최후도입분 조차도 차령이 26년이나 되는 상황이기도 하고, 이미 메이테츠에서는 1999년에 제작된 VVVF 제어 방식인 1600계를 2008년에 일부 차량을 9년만에 조기폐차하고, 일부 차량을 1700계로 리뉴얼 해서 운영하다가, 1700계 마저도 22년만인 2021년에 조기폐차한 적이 있었다.[4] 초기 5개 편성이 저항제어로 도입되었으나, 증결분은 GTO-VVVF로 도입되었으며, 이후 저항제어를 탑재한 부분이 IGBT-VVVF로 개조된 사례이다.[5] 즉 2011~12년, 초기 5편성의 저항제어 칸에 새로 단 VVVF 부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