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타르 해협 Tatar Strait | Татарский пролив | |
<nopad> |
<colbgcolor=#dddddd,#222>언어별 명칭 | |
영어 | Tatar Strait |
러시아어 | Татарский пролив |
한국 | 타타르 해협 |
중국어 | [ruby(鞑靼, ruby=Dádá)][ruby(海峡, ruby=hǎixiá)] [ruby(赛哥, ruby=sàigē)][ruby(小海, ruby=xiǎohǎi)] |
일본어 | [ruby(間宮, ruby=まみや)][ruby(海峡, ruby=かいきょう)] |
1. 개요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과 사할린 섬 사이에 있는 해협. 폴로베츠 해협이라고도 불린다. 일본이 남사할린(가라후토)를 점령하고 있던 때에는 마미야 해협(間宮海峡)[1]이라고 불렸다. 일본 시인 안자이 후유에의 한 줄짜리 시 <봄>에도 등장한다.[2]길이 850 km, 너비는 남쪽이 300 km, 북쪽의 사할린 측의 포기비와 하바롭스크 측의 라자레프 사이가 가장 좁아 7 km이다. 북쪽은 사할린만을 거쳐 오호츠크해로, 남쪽은 동해로 이어진다. 얕은 곳이 많기 때문에 소형 선박만 항행할 수 있다. 하루의 간만차는 약 2 m이고 여름 수온은 10∼12 ℃이다.
연해주 소베츠카야 가반(Sovetskaya Gavan, Советская Гавань)에 가면 수시로 사할린으로 가는 배가 다닌다.
2. 특징
위치가 위치이다 보니 11∼5월까지는 비교적 얕은 곳이 얼어붙어 사할린 섬에서 썰매나 도보로 해협을 통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주민들은 아직도 썰매를 이용할 때가 있다.3. 같이보기
[1] 에도시대 오니와반슈로서 일본 최초로 사할린 섬을 탐사하고 측량한 마미야 린조(間宮林蔵)의 이름을 땄다. 왓카나이시 소야곶에 그의 동상이 세워져있다.[2] "나비 한 마리가 달단해협을 건너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