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01:27:31

마르빈 프리드리히

<colcolor=#fff> 1 오믈린 · 2 키아로디아 · 4 딕스 · 5 프리드리히 · 6 엥겔하르트 · 7 슈퇴거 · 9 오노라
10 노이하우스 · 11 [[팀 클라인딘스트|클라인딘스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13 레이나 · 15 타바코비치 · 16 잔더 · 17 카스트로프
18 마치노19 은구무 · 20 네츠 · 21 지펠 · 22 프라울로 · 25 하크 · 26 울리히 · 27 [[로코 라이츠|라이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28 라노스 · 29 스캘리 · 30 엘베디 · 33 니콜라스 · 34 헤어만 · 36 모히야 · 39 스비더 · 42 페레이라 카르도소
파일:UEFA POL.png 유진 폴란스키 / 파일:UEFA GER.png 올리버 뇌빌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Marvin Friedrich(24-25).pn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No. 5
마르빈 프리드리히
Marvin Friedrich
<colbgcolor=#ffffff> 출생 1995년 12월 13일 ([age(1995-12-13)]세)
헤센 주 카셀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조건 193cm / 체중 84kg
포지션 센터백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ffffff> 유스 OSC 펠마르 (2008~2010)
SC 파더보른 07 (2010~2011)
FC 샬케 04 (2011~2014)
선수 FC 샬케 04 II (2014~2016)
FC 샬케 04 (2014~2016)
FC 아우크스부르크 II (2016~2018)
FC 아우크스부르크 (2016~2018)
1. FC 우니온 베를린 (2018~2019)
FC 아우크스부르크 (2019)
1. FC 우니온 베를린 (2019~2022)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2022~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같이 보기

1. 개요

독일축구 선수. 현재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에서 뛰고 있다.

2. 클럽 경력

2.1. 1. FC 우니온 베를린

2018년 1월, 우니온 베를린으로 이적했다.

2018-19 시즌 VfB 슈투트가르트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마리오 고메스가 찬 공이 발에 맞은뒤 얼굴을 맞았는데, 이게 동료 골키퍼인라파우 기키비츠가 역동작이 걸려 막지 못했다. 하지만 후반 68분 동점골을 넣으며 팀을 원정다득점 우위에 올려두었다.

2.1.1. 2019-20 시즌

파일:20200125_FCU-FCA_0282.jpg

2019년 7월 1일, FC 아우크스부르크가 바이백을 발동하며 1m€에 이적했는데, 갑자기 4일 뒤인 7월 5일 1. FC 우니온 베를린이 2m€에 재영입했다.

2019-20 시즌 주전 수비수로써 좋은 모습을 보이며 팀이 전반기를 중위권으로 마무리하는데 기여했다. 후반기에도 쭉 주전으로 뛰며 풀타임을 소화했다.

2.1.2. 2020-21 시즌

파일:h3bho55dg8jqr6bxwiwj.jpg

2020-21 시즌에도 주전으로 시작했으며, 완전히 수비진의 주전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보인다.

3라운드 1. FSV 마인츠 05전에서 크리스토퍼 트리멜의 프리킥을 받아 헤딩으로 밀어넣으며 득점에 성공했고, 4라운드에도 트리멜의 크로스를 받아 선제골을 집어넣었다.

18라운드 종료 기준 세트피스 상황에서만 4골을 기록하며 우니온에 돌풍에 크게 기여했다. 이를 입증하듯 키커지 랑리스테에서 센터백 부문 5위에 올랐다.

리그 최종 라운드 RB 라이프치히전에서는 0:1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코너킥 찬스를 맞았고 크리스토퍼 트리멜의 킥을 원터치 슈팅으로 꽂아넣으며 동점골을 기록했다. 경기는 이후 막스 크루제의 골로 2:1 승리를 거뒀다. 이로써 클럽 역사상 통일 이후 최초 유럽대항전 진출에 크게 공헌했다.

2.2.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파일:프리드리히.jpg

2022년 1월 12일,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로 이적했다. 이적료는 6m 유로, 계약기간은 2026년까지.

2.2.1. 2021-22 시즌

묀헨글라트바흐에서는 우니온 베를린 시절만큼의 폼을 보여주지 못했다. 일단 오자마자 잔부상으로 인해 경기에 출전 자체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했고, 출전한 경기에서도 만족스러운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2.2.2. 2022-23 시즌

시즌 시작 전부터 부상으로 교체 멤버로 출전하다가 시즌 초중반부터 선발로 출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악의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2.2.3. 2023-24 시즌

2023-24 시즌에는 엠게의 모든 포지션에서 부상자들이 줄줄이 발생하던 가운데 많은 경기에 출전했고, 후반기로 갈수록 좋은 폼을 보여주었다.

2.2.4. 2024-25 시즌

얼마전까지만 해도 기량 미달로 팬들의 원성을 샀으나 어느새 준수한 모습으로 백업 선수 역할을 톡톡히 해주면서 니코 엘베디의 부상 공백을 확실히 메꿔주었다.

하지만 문제는 본인이 백업 역할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3. 국가대표 경력

독일 연령별 대표 출신으로, U-19 시절 2014년 여름에 개최된 UEFA U-19 챔피언십에 참가해 본선 3경기를 뛰며 우승에 기여한 경력이 있다.

4. 플레이 스타일

190cm가 넘는 큰 키에서 나오는 헤더 능력에 큰 두각을 드러내는 센터백. 20-21 시즌에는 헤더로만 4골을 기록했을 정도로 좋은 위치 선점을 통한 헤더 득점력을 갖추고 있다. 리더십도 뛰어나 전체적인 수비진을 조율하는 데 뛰어난 모습을 보이고 수비 집중력도 좋아서 멘탈도 좋아서 20-21 시즌에는 경고를 딱 한 장만 받았을 정도로 깔끔한 수비를 구사하고, 분데스리가 전 경기를 출장할 만큼 자기 관리 능력도 뛰어나다.

단, 큰 키 때문에 민첩성이나 순발력이 떨어지며, 큰 키와 준수한 헤더 스킬에 비해 공중볼 경합 승률은 떨어지는 편이다. 또한 패스 능력이 준수하지만, 공을 운반하거나 전진시키는 능력은 아쉽다.

5.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2024-25 시즌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스위스 국기.svg GK 요나스 오믈린 Jonas Omlin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파비오 키아로디아 Fabio Chiarodia
4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DF 케빈 딕스 Kevin Diks
5 파일:독일 국기.svg DF 마르빈 프리드리히 Marvin Friedrich
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F 케빈 슈퇴거 Kevin Stöger
8 파일:독일 국기.svg MF 율리안 바이글 Julian Weigl 부주장
9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프랑크 오노라 Franck Honorat
10 파일:독일 국기.svg MF 플로리안 노이하우스 Florian Neuhaus
11 파일:독일 국기.svg FW 팀 클라인딘스트 Tim Kleindienst 주장
15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FW 하리스 타바코비치 Haris Tabakovic [a]
16 파일:독일 국기.svg MF 필리프 잔더 Philipp Sander
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옌스 카스트로프 Jens Castrop
18 파일:일본 국기.svg FW 마치노 슈토 Shuto Machino
19 파일:카메룬 국기.svg FW 네이선 은구무 Nathan Ngoumou
20 파일:독일 국기.svg DF 루카 네츠 Luca Netz
21 파일:독일 국기.svg GK 토비아스 지펠 Tobias Sippel
22 파일:덴마크 국기.svg MF 오스카르 프라울로 Oscar Fraulo
25 파일:독일 국기.svg MF 로빈 하크 Robin Hack
26 파일:독일 국기.svg FW 루카스 울리히 Lukas Ullrich
27 파일:독일 국기.svg MF 로코 라이츠 Rocco Reitz
28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MF 그란트레온 라노스 Grant-Leon Ranos
29 파일:미국 국기.svg DF 조 스캘리 Joe Scally
30 파일:스위스 국기.svg DF 니코 엘베디 Nico Elvedi
33 파일:독일 국기.svg GK 모리츠 니콜라스 Moritz Nicolas
34 파일:독일 국기.svg GK 찰스 헤어만 Charles Herrmann
36 파일:독일 국기.svg MF 벨 모히야 Wael Mohya
39 파일:독일 국기.svg MF 니클라스 스비더 Niklas Swider
42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GK 치아구 페레이라 카르도소 Tiago Pereira Cardoso
# 파일:독일 국기.svg GK 막시밀리안 브륄 Maximilian Brüll
# 파일:독일 국기.svg GK 플로리안 디머 Florian Dimmer
# 파일:독일 국기.svg DF 지몬 발데 Simon Walde
<colbgcolor=#000000> 구단 정보
회장: 롤프 쾨니히스 / 감독: 헤라르도 세오아네 / 홈 구장: 보루시아 파크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1월 30일
※ 주의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간략 틀을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간략 틀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a] TSG 1899 호펜하임에서 임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