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52:01

리레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강철전기 C21의 등장 로봇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리레이(코즈믹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강철전기 C21의 등장 로봇 캐릭터:
리레이(코즈믹 시리즈)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csm_SFL-OBJ-000DYA_player_li_lei_29b2c818a9.webp
<colbgcolor=#0b904b> 베이징 궈안 No. 4
리레이
李磊 | Li Lei
생년월일 1992년 5월 30일 ([age(1992-05-30)]세)
국적
[[중국|]][[틀:국기|]][[틀:국기|]]
출생지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
포지션 레프트백
신체 183cm
소속 <colbgcolor=#0b904b> 유스 칭다오 하일리펑 (2003~2009)
선수 상하이 선신 (2010~2012)
허난 젠예 (2013~2014)
베이징 궈안 (2015~2021)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2022~2023)
베이징 궈안 (2023~ )
국가대표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5경기 (중국 / 2019~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스타일5. 논란6.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중국축구선수.

2. 클럽 경력

칭다오시에서 태어나 고향 클럽인 칭다오 하일리펑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본래 왼쪽 미드필더로 시작했고, 2010년 17세의 나이에 상하이 선신으로 이적하여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왼쪽 수비수 포지션의 본래 주전 선수가 퇴장당하면서 급하게 교체로 들어가 데뷔전을 치렀고, 이후 경기에도 선발 출장했는데, 이 때부터 상하이의 로테이션 멤버로 성장하게 된다.

2013년 갑급 리그로 강등되어있던 허난 젠예로 이적해 26경기 3골의 준수한 성적을 올리고 팀도 슈퍼리그로 승격했다. 하지만 2014년 슈퍼리그에선 한계가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12경기 출장에 그쳤다.

하지만 리그의 전통 명문 베이징 궈안이 그의 잠재력을 인정해 2015년 영입했고, 2년간의 주전경쟁을 거쳐 2017년 주전급으로 올라가며 베이징 궈안의 왼쪽 풀백 자리를 꿰찼다. 2018년 한 시즌을 제외하고 이후 주전을 놓치지 않으며 2021 시즌까지 138경기 4골 12도움의 기록을 남겼다.

2.1.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2021년 12월 20일, 중국인 구단주가 있는[1] 스위스 클럽인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로의 이적이 결정되었다. 2021년 여름부터 해외진출을 노렸으나 한 차례 무산된 적이 있었는데, 현지에서는 30이 다되어가는 나이에 유럽행에 도전한 것을 굉장히 높게 쳐주는 분위기였다.[2]

2021-22 시즌 후반기 리그 7경기에 출전하며 주로 백업급 수비수로 활약했다. 그래도 스위스 리그의 경기수를 감안하면 꽤나 많은 기회를 받았다.

2022-23 시즌 초반에는 벤치 멤버였다가 9월 이후 서서히 선발 출전 기회를 받으면서 본격적인 경쟁에 들어간 듯 보였지만 후반기인 2023년 2월 28일, 구단과 계약해지를 하면서 결국 중국으로 복귀했다고 한다.#

2.2. 베이징 궈안

2023년 3월 30일, 베이징 궈안으로 다시 이적하여 복귀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2019년 처음 A매치에 데뷔했다. 2017년과 2018년 소집된 적이 있었으나 출장은 하지 못했고, 2019년 자국에서 주최하는 차이나컵 태국전에서 A매치 데뷔전을 가졌다. 이후 A매치 5경기 출장을 기록하고 있다.

4. 플레이스타일

왼발 킥이 좋은 수비수다. 절망적인 크로스가 난무하는(...) 중국 대표팀에서 그나마 정확한 크로스를 꾸준히 넣어주는 선수. 그러나 수비스타일이 여타 중국 수비수처럼 너무 거칠고 라인 컨트롤이 미숙하다는 점이 위의 장점을 많이 깎아먹고 있다.

5. 논란

2020년 7월, 광저우 헝다에서 뛰고 있는 조선족 중국 국가대표 선수인 고준익[3]이 한국인 선수 박지수와 찍은 사진을 SNS에 공유했는데, 이 게시물에 리레이가 两个棒子, 한국어로 옮기면 두 빵즈라는 댓글을 올려 논란을 일으켰다.# 빵즈라는 표현은 한국인을 비하하는 중국의 민족차별 표현으로 한국의 짱깨 비슷한 어감의 비하 표현이다.

당연히 조선족 사회뿐 아니라 중국 축구 전체와 한국에서도 꽤 알려져 리레이는 강한 지탄을 받았고[4], 결국 개인적으로 선수에게 사과 했다곤 한다. 고준익 왈 친한 사이라 장난식으로 실수를 한 것 같으니 더 이상의 질책은 자제해달라고 했다. 그러나 안 그래도 거친 플레이스타일 때문에 국내팬들에게 안좋은 인상이 있던 리레이는 이 사건까지 겹치며 평판이 나락으로 갔다.

6. 같이보기

베이징 궈안 2025 시즌 선수 명단
<rowcolor=#ffffff>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이름 한자 (간체) 이름 로마자 이름 생년월일
1 파일:중국 국기.svg GK 한자치 韩佳奇 Han Jiaqi 1999.07.03.
2 파일:말리 국기.svg DF 마마두 트라오레 Mamadou Traore 1994.10.03.
3 파일:중국 국기.svg DF 허위펑 何宇鹏 He Yupeng 1999.12.05.
4 파일:중국 국기.svg DF 리레이 李磊 Li Lei 1992.03.30.
5 파일:카메룬 국기.svg DF 미카엘 은가두은가쥐 米歇尔·恩加德乌·恩加德久 Michael Ngadeu-Ngadjui 1990.11.23.
6 파일:중국 국기.svg MF 츠중궈 / 지충국[a] 池忠国 Chi Zhongguo 1998.01.13.
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MF 구가 Guga 1997.07.18.
9 파일:중국 국기.svg FW 장위닝 张玉宁 Zhang Yuning 1997.01.05.
10 파일:중국 국기.svg FW 장시저 张稀哲 Zhang Xizhe 1991.01.23.
11 파일:중국 국기.svg FW 린량밍 林良铭 Lin Liangming 1997.06.04.
16 파일:중국 국기.svg DF 펑보쉬안 冯博轩 Feng Boxuan 1997.03.18.
17 파일:중국 국기.svg FW 양리위 杨立瑜 Yang Liyu 1997.02.13.
18 파일:중국 국기.svg FW 팡하오 方昊 Fang Hao 2000.01.03.
19 파일:중국 국기.svg MF 무흐멧 네비잔 乃比江·莫合买提 Muhmet Nebijan 2001.07.10.
20 파일:중국 국기.svg FW 왕쯔밍 王子铭 Wang Ziming 1996.08.05.
21 파일:중국 국기.svg MF 장위안 张源 Zhang Yuan 1997.01.28.
22 파일:중국 국기.svg FW 위다바오(주장) 于大宝 Yu Dabao 1988.04.18.
23 파일:중국 국기.svg MF 리커[d] 李可 Li Ke (Li K.) 1993.5.23.
24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FW 사무엘 아데그벤로 Samuel Adegbenro 1995.02.03.
25 파일:중국 국기.svg GK 궈취안보 郭全博 Guo Quanbo (Guo Q. B.) 1997.08.31.
26 파일:중국 국기.svg DF 뤼펑 吕鹏 Lv Peng (Lv P.) 1989.10.28.
27 파일:중국 국기.svg DF 왕강 王刚 Wang Gang (Wang G.) 1989.2.17.
28 파일:중국 국기.svg DF 장타오 姜涛 Jiang Tao (Jiang T.) 1989.6.29.
29 파일:중국 국기.svg FW 바둔 巴顿[e] Ba Dun (Ba D.) 1995.09.16.
34 파일:중국 국기.svg GK 허우썬 侯森 Hou Sen (Hou S.) 1989.06.30.
39 파일:중국 국기.svg FW 원다 文达 Wen Da 2002.6.12.
모기업: 중허그룹 / 감독: 키케 세티엔 (Quique Setien) / 홈구장: 베이징노동자경기장

[a] 조선족[d] 귀화선수 본명 니코 예나리스 (Nico Yennaris), 원 잉글랜드 국적[e] 중국인이지만 성이 특이하게도 바씨인데, 이 이름은 조지 S. 패튼의 한자 표기와 같다. 이름 때문에 가끔 용병으로 오인되기도 하지만 순수 중국인으로, 아버지가 패튼장군을 닮으라고 지어준 이름이라고 한다.


[1] EPL 울버햄튼의 구단주 푸싱그룹의 회장 아내가 위성구단 쯤으로 쓰려고 2020년 그라스호퍼를 인수했다.[2] 덕분에 이 구단에는 2022년 상반기 선수가 모두 모이게 되었다.[3] 가오밍이의 형.[4] 심지어 당시 리레이의 소속팀 베이징 궈안에는 지충국, 박성, 김태연 등 조선족 선수들도 많았는데 무슨 생각으로 그랬는지 알 길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