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22:52:17

리그 오브 레전드/논란 및 사건 사고/2021~2025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논란 및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2021년
1.1. 노원 세 모녀 살인사건1.2. 추석 대규모 기타 사유 정지 사태1.3. 쓰레쉬 스킨 표절 논란
2. 2022년
2.1. 별 수호자 포로상점 이벤트 경품 먹튀 사건
3. 2023년4. 2024년
4.1. 글로벌 감정표현 남성혐오 논란4.2. 로그인 오류 및 장기점검 사건

1. 2021년

1.1. 노원 세 모녀 살인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노원 세 모녀 살인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원 세 모녀 살인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원 세 모녀 살인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추석 대규모 기타 사유 정지 사태

추석연휴를 하루 앞둔 9월 19일부터 갑작스럽게 대량의 유저들이 기타 사유로 2주 정지를 당하기 시작했다. 한국 유저들만 그런지 해외에선 관련 반응이 없으며, 라이엇은 이에 대해 어떤 해명도 없는 상태다. 각종 롤커뮤니티에서는 관련 제보가 쏟아지고 있으며, 템을 판다거나 오픈을 한다거나 신고가 누적되었으면 정지를 먹는다는 등 출처를 알 수 없는 루머가 끊임없이 돌고 있다.

유저들 입장에서 답답한 것은 사유가 '기타 사유'라서 자신이 왜 밴을 당한건지는 물론 어떤 판에서 당한 건지 조차 알 수 없다. 또한 무고밴을 당한 유저들의 문의에 돌아오는 것은 대부분 매크로 답변 뿐이었다. 여담으로 이번 사태에서 기타 사유 정지를 당한 유저들의 명예 레벨은 유지되었다. 무고밴을 당한 입장에선 불행 중 다행.

라이엇은 이번 사태에 대해 제재 시스템을 강화했다는 간접적인 답변만을 내놓았다.

1.3. 쓰레쉬 스킨 표절 논란

쓰레쉬의 신 스킨 '해방된 쓰레쉬'가 한 한국인 아티스트가 그린 그림을 무단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시되었다.#정리글#루리웹#개드립#웃대#기사

이는 '해방된 쓰레쉬'의 컨셉아트가 유출되었기 때문인데 그것이 2013년 2월 19일에 SiaKim 이라는 한 한국인 일러스트가 쓰레쉬의 인간 시절 모습을 상상해서 팬아트#를 그대로 무단 도용해 채색만 입힌 수준이었던 것 이다.

물론 유출된 컨셉아트가 실제 라이엇 내부에서 쓰였던건지 아니면 팬에 의해 창작된 것인지도 쟁점인데, 같은 유출자에 의해 함께 유출된 아크샨, 벡스가 당시 미공개 챔피언 이었음에도 훗날 공개될 캐릭터 디자인을 정확히 맞췄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높은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사실 쓰레쉬는 인간이었다가 요괴가 되었다는 컨셉 상 본래 인간으로써의 얼굴이 공개되지 않은 챔피언이다. 2013년에는 쓰레쉬의 인간 얼굴이 공개되지 않았기에 이 외형은 순수 이 작가인 SiaKim의 창작 디자인이다.

쓰레쉬의 인간 시절 얼굴은 이후인 2020년 7월 22일에 처음으로 '영혼의 꽃 쓰레쉬' 스킨을 통해 공개되었는데, 사실 이미 이때부터 구글에 적당히 'League of Legends Thresh Human Version' 라고 검색해서 나온 SiaKim의 일러스트를 표절한게 아니냐는 추측까지 나왔다. 정작 2019년 발매된 'The Realms of Runeterra book' 에 수록된 일러스트에서 라이엇이 본래 기획중이었던 쓰레쉬의 얼굴은 전혀 다른 얼굴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작업물을 도용당한 SiaKim이 트위터에서 직접 불쾌함을 드러냈다.#아카이브

2. 2022년

2.1. 별 수호자 포로상점 이벤트 경품 먹튀 사건

파일:5634645334.png
파일:36232745324.png파일:433453124.png
2022년 7월, 라이엇이 RP를 소모한 만큼 별포인트를 주는 행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별 수호자 포로 상점 이벤트에서 유료 재화인 RP를 20만원치 사용하면 받을 수 있는 별 포인트 20개로 교환 가능한 한정판 경품을 라이엇코리아 측에서 누락하였고, 이후 한정판 제품이기에 더 이상 제작이 곤란하여 경품 배송이 어렵다며 기타 다른 보상안을 제시하지 않고 입을 싹 닦은 사건이다.

RP를 사용해야 별 포인트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상품을 걸고 RP 충전을 유도한 이후 그 RP를 사용까지 하게 해놓고, 이후 본인들의 실수로 상품을 누락했으나 피해자에게는 아무것도 해줄 수 없다는 라이엇코리아의 대처에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라이엇코리아의 귀책사유로 현금을 사용해야 응모할 수 있는 이벤트의 경품을 받지 못하였지만, 피해자에게는 RP는 소모하면 환불이 불가능하다는 정책을 들며 환불을 거부하고 있다.

이렇게 논란이 확산되고 언론 기사까지 등장하자, 그제서야 라이엇코리아는 부랴부랴 보상안을 마련하였다.

3. 2023년

3.1. 라이엇 본사 사이버 테러 사건

알 수 없는 라이엇 본사 내부 사이버 공격 사건으로 당초 1월 25일 패치 예정이었던 13.2 패치가 무기한 연기되었다. 13.2 패치때 출시될 예정이었던 달빛 악령 스킨과 이와 크로마 유료 콘텐츠는 13.1 패치 때 추가되어 잠겨있는 상황이라 언락만 풀면 되는 지라 예정대로 나올 것 같으나 챔피언 밸런스 조정, 아리 ASU 업데이트와 같은 패치는 13.3 패치로 딜레이되거나 핫픽스로 패치될 가능성이 높다.

3.2. 다시하기 오류 사건

6월 28일 13.13 패치 직후 일어난 오류로, 게임이 시작된 직후 누군가 '/다시하기'를 하면 곧 바로 게임이 끝나고 다시하기 한 팀은 패배 처리 및 LP가 내려가고 상대팀은 LP가 올라가는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했다.

하지만 이 오류는 몇 시간동안 방치되었으며 커뮤니티 곳곳에서 이 오류를 악용한 패작 인증이 올라올 정도로 사태가 심각해지자 랭크 게임이 비활성화 되었다.

10시간 가까이 되는 긴 점검 끝에 오후 9시 50분 경에 랭크가 다시 열렸지만 오류는 여전히 고쳐지지 않은 상태였고 이로 인한 피해가 계속 속출하고 있다.

3.3. 인터넷 방송 연쇄 사이버테러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방송 연쇄 사이버테러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터넷 방송 연쇄 사이버테러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터넷 방송 연쇄 사이버테러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2024년

4.1. 글로벌 감정표현 남성혐오 논란

파일:아칼리 감정표현.png

LoL e스포츠 1부 리그 팀들의 수익 분배 수단인 글로벌 감정표현100 Thieves가 제출한 감정표현아칼리집게손가락을 하며 비웃는 듯한 표정이었기에 논란이 되었다.실베 에펨코리아 개드립 루리웹

물론 한국과 무관한 북미의 프로게임단에서 만든 감정표현이기 때문에 해당 제스처가 메갈리아의 상징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비약에 가까웠고, 실제로 그동안의 논란과는 달리 라이엇 코리아 측을 비판하는 의견은 매우 적었다. 여기서 문제는 그동안 외국인이 만든 제작물에서 나온 집게손 또한 한국에서 남성혐오 표현으로 사용된다며 수정을 요구한 적이 많았기에 흔히 말하는 롤대남들의 이중적인 태도가 논란이 되었다.

그동안 외국인과 해외 작업물에도 해당 손 모양이 발견되면 남성혐오 표현이라며 문제삼고 수정시킨 사례는 아주 많다.
이렇듯 해당 인터넷 커뮤니티는 메갈 손(🤏)처럼 여겨지는 손 모양에는 가차없었다. 애당초 그동안 일련의 사태에서 저 제스쳐는 이모지로 있을 정도로 세계적인 제스쳐라는 논리는 페미들의 남성혐오 표현 실드질이라는 일종의 용어 혼란 전술이라는 여론이 대다수였고 이에 이견을 표현한 사람은 스윗 X남 내지 여초 첩자라면서 페미로 몰아오던 게 커뮤니티였는데, 그동안 회사나 제작자 개인이 한국인이건 외국인이건 🤏 가 발견되면 남성혐오 표현이라며 공론화해 문제삼아 수정시키고 한 것이 일관성 있지 않고 일종의 강약약강이 적용되어 팬덤이 더 많고[1] 자신들이 하고 있는 컨텐츠에는 흐린눈을 하면서 역으로 그동안 같은 논리로 문제삼은 사람들을 영포티, 여초 분탕 종자 취급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에펨코리아에선 최초로 문제를 제시한 사람이 포텐에서 격추당하고 선술한 논리를 펼치며 메갈손을 실드치는 저격글이 역으로 포텐을 오면서[2][3] 댓글에도 이중잣대를 지적하는 댓글에 비추가 엄청 쌓이는 등 그동안 남성혐오 표현이라며 문제삼아왔던 것을 롤 한정으로 문제삼지 않는 분위기를 펼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원화가 트위터 논란처럼 이중잣대와 강약약강에 의거한 내로남불 논란을 피할 수 없게 되었으며, 해당 커뮤니티 댓글에도 롤충, 롤대남을 비아냥거리는 반응이 많다.

4.2. 로그인 오류 및 장기점검 사건

2024년 9월 10일, 로그인을 하면 '로그인 정보를 불러오지 못했습니다'라는 메세지가 띄워지며 로그인이 안되는 버그가 발생하였다.

이에 라이엇 측에서는 즉시 점검에 들어갔으나, 점검이 계속 연장되더니 다음날인 9월 11일 오후까지 점검을 하는 정신나간 사태가 벌어졌다.

그 와중에 어떻게든 롤을 하고 싶은 사람들은 모바일 롤토체스 일반게임과 톡톡이 모드를 이용하여 버그성으로 로그인을 뚫고 정상적으로 게임을 하였다고 한다. 문제는 이틀이 지나서야 해결되었고, 전체 유저에게 보상을 주어야 한다는 여론이 많다.


[1] 리그 오브 레전드는 10년이 넘게 PC방 점유율을 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대회도 규모가 큰 만큼 팬덤이 여느 메갈손 논란이 벌어진 서브컬쳐보다 두텁다.[2] 이 실드글을 쓴 작성자의 글 내역을 보면 알듯 리그 오브 레전드 골수 유저다. 자기가 이용하는 컨텐츠가 까이는 게 싫어서 글을 쓴 거라고 합리적 의심이 가능한 상황이다.[3] 게다가 격추당한 글은 유머 게시판에 썼고 이 실드글은 롤 게시판에 썼다. 당연히 자기 게임이 까이는 게 싫으니 실드를 받을 확률이 유머 게시판보다 높을 수밖에 없으니 롤충의 흐린눈이 맞다는 걸 역으로 증명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