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 로얄럼블 (2025) WWE Royal Rumble (2025) | ||||||||||
<nopad> | ||||||||||
WWE 개최 크리켓 5G, 인튜이트 터보택스 제공 PLE | ||||||||||
개최일 | 2025년 2월 1일 토 18시E/15시P 韓 2025년 2월 2일 일 08시 IB SPORTS [A] | |||||||||
경기장 |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루카스 오일 스타디움 Lucas Oil Stadium, Indianapolis, Indiana | |||||||||
테마곡 | Charli XCX "Von dutch" # | |||||||||
관중집계 | 70,347명 | |||||||||
WWE의 PLE | ||||||||||
서바이버 시리즈 | 로얄럼블 | 엘리미네이션 챔버 | ||||||||
로얄럼블 | ||||||||||
2024 | 2025 | 2026 | ||||||||
포스터 모델: WWE 슈퍼스타들 |
1. 개요
WWE 로얄럼블 2025는 38번째 로얄럼블 이벤트이자 WWE 4대 PLE[2] 중 첫 이벤트이며 WWE의 2025년 첫 PLE이다.2. 대립 배경
2.1. 30인 남성 로얄럼블 매치
RAW : CM 펑크, 제이 우소, 세스 롤린스, 드류 맥킨타이어, 레이 미스테리오, 새미 제인, 로건 폴, 펜타, 채드 게이블, 오티스, 브론 브레이커, 셰이머스, 루드비히 카이저, 핀 밸러, 브론 스트로우먼, 도미닉 미스테리오
스맥다운 : LA 나이트, 로만 레인즈, 나카무라 신스케, 데미안 프리스트, 카멜로 헤이즈, 산토스 에스코바르, 지미 우소, 안드라데, 제이콥 파투, 미즈, AJ 스타일스
FA : 존 시나[3], 아이쇼스피드
TNA : 조 헨드리
2.2. 30인 여성 로얄럼블 매치
RAW : 베일리, 리브 모건, 라켈 로드리게즈, 라이라 발키리아, 아이비 나일, 이요 스카이, 젤리나 베가, 조이 스타크, 셰이나 베이즐러, 맥신 듀프리, 나탈리아
스맥다운 : 나이아 잭스, 샬럿 플레어, 나오미, 비앙카 벨레어, 캔디스 르래이, 첼시 그린, 파이퍼 니븐, B-팹, 미친
NXT : 록샌 페레즈, 래쉬 레전드, 제이다 파커, 스테파니 바케르, 줄리아
FA : 소냐 드빌, 조르딘 그레이스, 알렉사 블리스, 트리쉬 스트래터스, 니키 벨라
2.3. 코디 로즈 VS 케빈 오웬스
통합 WWE 챔피언십[4]
래더 매치
배쉬 인 베를린까지 둘은 굉장히 친했고 서로를 존중했다. 특히 배쉬 인 베를린에선 케빈이 거의 이길 뻔 하였으나 코디의 다친 다리 때문에 케빈이 망설였고 그때문에 패배했지만 그래도 케빈이 코디를 존중했다. 그러나 배드 블러드에서 케빈 최대의 숙적인 로만을 코디가 도운 것을 기점으로 사이가 틀어졌으며, 그 이후로는 위클리쇼마다 서로 맹렬하게 싸워가며 파일 드라이버 등 위험한 기술들이 오고 갔다.
새터데이 나잇 메인 이벤트에서의 챔피언십에서 기존 벨트 대신 윙드 이글 벨트를 들고 케빈에게 승리한 코디지만, 케빈이 결과를 불복한 채로 나타나 코디에게 파일 드라이버를 시전하고 윙드 이글 벨트를 강탈했다. 이에 닉 앨디스 단장은 로얄럼블에서 래더 매치로 승자가 타이틀과 모든 벨트를 가져가는 경기를 확정했다.
2.4. #DIY VS 모터 시티 머신건즈
WWE 태그팀 챔피언십
투 아웃 오브 쓰리 폴스 매치
쟈니 가르가노는 MCMG와 친분이 깊었고 이로 인해 태그팀 타이틀을 탈환하기 위해 어떤 짓이던 하겠다던 토마소 치암파와 충돌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것은 전부 연기였고, 12월 6일 스맥다운에서 MCMG와의 챔피언십 경기에선 태도를 바꿔 치암파가 심판의 주의를 끄는 사이 크리스 세이빈을 로우 블로로 공격 후 미트 인 더 미들을 먹이며 통산 2회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DIY는 이후로도 프리티 데들리를 이용하는 등 MCMG를 방해했는데, MCMG는 프리티 데들리에게 승리하는 등 위기를 극복하면서 챔피언십 도전자 자격을 따냈고, 닉 앨디스 단장은 로얄럼블에서 이들의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가 투 아웃 오브 쓰리 폴스 매치로 열릴 것임을 선포하였다.
3. 대진표 및 결과
30인 여성 로얄럼블 매치 승자는 레슬매니아 41에서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 또는 WWE 위민스 챔피언십에 도전할 수 있다. | |
WINNER: 샬럿 플레어 |
WWE 태그팀 챔피언십 투 아웃 오브 쓰리 폴스 매치 | ||||
✅ #DIY | 2 | 1 | 모터 시티 머신건즈 |
통합 WWE 챔피언십 래더 매치 | ||
✅ 코디 로즈 | 케빈 오웬스 |
30인 남성 로얄럼블 매치 승자는 레슬매니아 41에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또는 통합 WWE 챔피언십에 도전할 수 있다. | |
WINNER: 제이 우소 |
3.1. 여성 로얄럼블 매치 결과
30인 여성 로얄럼블 경기 결과 | ||||||
입장 | 참가자 | 탈락 | 제거자 | 생존시간 | 제거 수 | 기타 |
#1 | 이요 스카이 | 21 | 나이아 잭스 | 1:06:45 | 1 | |
#2 | 리브 모건 | 24 | 나이아 잭스 | 1:07:00 | 2 | |
#3 | 록샌 페레즈 | 29 | 샬럿 플레어 | 1:07:47 | 1 | [파이널4(여성)][6] |
#4 | 라이라 발키리아[7] | 2 | 아이비 나일 | 16:13 | 0 | |
#5 | 첼시 그린[8] | 9 | 파이퍼 니븐 | 26:52 | 2 | |
#6 | B-팹 | 1 | 첼시 그린 | 7:20 | 0 | |
#7 | 아이비 나일 | 3 | 맥신 듀프리 | 16:29 | 1 | |
#8 | 조이 스타크 | 5 | 비앙카 벨레어 & 나오미 | 16:58 | 1 | |
#9 | 래쉬 레전드 | 8 | 첼시 그린 | 17:22 | 0 | |
#10 | 비앙카 벨레어[B] | 23 | 나이아 잭스 | 49:17 | 1 | |
#11 | 셰이나 베이즐러 | 6 | 베일리 | 10:12 | 1 | |
#12 | 베일리 | 25 | 니키 벨라 | 46:59 | 1 | |
#13 | 소냐 드빌 | 7 | 이요 스카이 | 6:04 | 1 | |
#14 | 맥신 듀프리 | 4 | 퓨어 퓨전 콜렉티브 | 1:20 | 1 | [10] |
#15 | 나오미[B] | 22 | 나이아 잭스 | 38:04 | 1 | |
#16 | 제이다 파커 | 10 | 조르딘 그레이스 | 6:54 | 0 | |
#17 | 파이퍼 니븐 | 14 | 샬럿 플레어 | 24:10 | 1 | |
#18 | 나탈리아 | 11 | 리브 모건 | 17:14 | 0 | |
#19 | 조르딘 그레이스 | 15 | 줄리아 | 22:41 | 1 | |
#20 | 미친 | 13 | 샬럿 플레어 | 16:59 | 0 | |
#21 | 알렉사 블리스 | 12 | 리브 모건 | 11:01 | 0 | |
#22 | 젤리나 베가 | 16 | 나이아 잭스 | 18:04 | 0 | |
#23 | 캔디스 르래이[12] | 17 | 트리쉬 스트래터스 | 16:32 | 0 | |
#24 | 스테파니 바케르 | 20 | 나이아 잭스 | 19:02 | 0 | |
#25 | 트리쉬 스트래터스 | 18 | 나이아 잭스 | 13:13 | 1 | |
#26 | 라켈 로드리게즈 | 19 | 나이아 잭스 | 15:02 | 0 | |
#27 | 샬럿 플레어 | 우승 | 15:04 | 4 | [파이널4(여성)] | |
#28 | 줄리아[14] | 26 | 록샌 페레즈 | 10:08 | 1 | |
#29 | 나이아 잭스 | 28 | 샬럿 플레어 | 8:13 | 9 | [파이널4(여성)] |
#30 | 니키 벨라 | 27 | 나이아 잭스 | 3:04 | 1 | [파이널4(여성)] |
3.2. 남성 로얄럼블 매치 결과
30인 남성 로얄럼블 경기 결과 | ||||||
입장 | 참가자 | 탈락 | 제거자 | 생존시간 | 제거 수 | 기타 |
#1 | 레이 미스테리오 | 6 | 제이콥 파투 | 24:41 | 0 | |
#2 | 펜타 | 14 | 핀 밸러 | 42:05 | 1 | [17] |
#3 | 채드 게이블 | 5 | 제이콥 파투 | 21:38 | 0 | |
#4 | 카멜로 헤이즈 | 1 | 브론 브레이커 | 6:59 | 0 | |
#5 | 산토스 에스코바르 | 2 | 브론 브레이커 | 5:42 | 0 | |
#6 | 오티스 | 3 | 브론 브레이커 & 아이쇼스피드 | 9:43 | 1 | |
#7 | 브론 브레이커[18] | 12 | 로만 레인즈 | 22:26 | 4 | |
#8 | 아이쇼스피드 | 4 | 브론 브레이커 & 오티스 | 0:56 | 1 | [19] |
#9 | 셰이머스 | 10 | 로만 레인즈 | 15:38 | 0 | |
#10 | 지미 우소 | 13 | 제이콥 파투 | 15:34 | 0 | |
#11 | 안드라데 | 7 | 제이콥 파투 | 3:17 | 0 | |
#12 | 제이콥 파투 | 16 | 브론 스트로우먼 | 24:16 | 4 | |
#13 | 루드비히 카이저 | 8 | 펜타 | 0:06 | 0 | [20] |
#14 | 미즈 | 9 | 로만 레인즈 | 5:25 | 0 | |
#15 | 조 헨드리[21] | 11 | 로만 레인즈 | 3:35 | 0 | |
#16 | 로만 레인즈 | 26 | CM 펑크 | 37:15 | 4 | |
#17 | 드류 맥킨타이어 | 21 | 데미안 프리스트 | 26:55 | 0 | |
#18 | 핀 밸러 | 18 | 존 시나 | 11:10 | 1 | |
#19 | 나카무라 신스케[22] | 15 | 제이 우소 | 3:17 | 0 | |
#20 | 제이 우소 | 우승 | 36:59 | 4 | [파이널4(남성)] | |
#21 | AJ 스타일스 | 24 | 로건 폴 | 21:02 | 1 | |
#22 | 브론 스트로우먼 | 17 | 존 시나 | 2:12 | 1 | |
#23 | 존 시나 | 29 | 제이 우소 | 30:31 | 3 | [파이널4(남성)] |
#24 | CM 펑크 | 27 | 로건 폴 | 18:46 | 2 | [파이널4(남성)] |
#25 | 세스 롤린스 | 25 | CM 펑크 | 17:14 | 0 | |
#26 | 도미닉 미스테리오 | 19 | 데미안 프리스트 | 4:09 | 0 | |
#27 | 새미 제인 | 20 | 제이 우소[26] | 5:22 | 0 | |
#28 | 데미안 프리스트 | 22 | LA 나이트 | 6:14 | 2 | |
#29 | LA 나이트 | 23 | AJ 스타일스 | 5:06 | 1 | |
#30 | 로건 폴 | 28 | 존 시나 | 11:19 | 2 | [파이널4(남성)] |
4. 총평
전체적으로 함축하자면 그야말로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말을 그대로 보여준 역대 최악의 용두사미 로얄럼블이라 할 수 있다.우선 여자부는 이요 스카이와 리브 모건을 시작으로 록샌 페레즈, WWE와 정식으로 계약을 맺은 조르딘 그레이스, 2년 동안 휴식기를 가졌던 알렉사 블리스의 복귀, 그 후 샬럿 플레어, 줄리아, 나이아 잭스까지 좋은 분위기로 이어졌으나 가장 중요한 30번에서 복귀 루머가 있었던 니키 벨라를 30번에 출전시키는 만행을 저질렀다. 심지어 니키 벨라는 파이널 4까지 남으며 경기 후반까지 그런 분위기가 유지되었다. 그나마 니키 벨라 외엔 크게 문제될 부분은 없었고 결과적으로 유력한 우승 후보인 샬럿이 우승하긴 했으나, 경기력보다는 엔터테인먼트 요소에 집중하는 현지에서는 현역 시절의 존 시나마냥 실컷 잠수타다 우승했다고 평이 안 좋다.
다만 상징적인 의미에서의 여성부 로얄럼블은 성공적이다. WWE의 디바 황금기를 상징하는 트리쉬 스트레터스, 반대로 암흑기를 상징하는 니키 벨라, 위민스 레볼루션의 주역들인 샬롯 플레어 - 베일리 - 알렉사 블리스, 차세대 여성 레슬러인 줄리아, 스테파니 바케르, 조르단 그레이스. 모든 세대들이 고루 배치된 로얄럼블이라는 점은 상징성이 크다.
남자부는 경기 중후반부에 시나-펑크-세스 순으로 등장하면서 분위기를 끌어올렸고, 게다가 경기 후반부에 펑크가 로만과 세스를 탈락시키면서 펑크가 우승하나 싶더니만 갑자기 로건 폴이 펑크를 탈락시키면서 분위기가 어느정도 쎄해진다. 그래도 아직 링 위에는 유력한 우승 후보인 시나가 남아있기에, 그래도 시나가 우승하나 싶더니,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제이 우소가 기여코 로얄럼블 2025를 우승하면서 레슬매니아 41의 메인 이벤트로 직행하게 되는 최악의 사태가 벌어졌다.[28][29]
제이 우소는 2023년부터 싱글 레슬러 전환 이후 폭발적인 반응에 비해 부족한 경기력으로 여러모로 화제의 인물이 되었고 무엇보다 작년 레슬매니아 40에서 우소즈 내전으로 제이가 정말 WWE를 대표하는 메인 이벤터가 맞는지 갑론을박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결국 로얄럼블 우승으로 다시 한 번 뜨거운 감자가 되고 말았다. 그리고 제이는 로얄럼블 우승 이후 바로 군터에게 도전을 선언하였으며 군터도 X를 통해 I wouldn’t…이라고 표현한 만큼 벌써부터 로드 투 레슬매니아 41에 대해서 먹구름이 낀거나 다름 없으며 보나마나 작년 레슬매니아 우소즈 내전과 27, 28, 38, 39를 이은 레슬매니아의 대재앙이 또 한 번 되풀이될 것이 뻔하다.
이 외에도 인디애나폴리스 관중들의 부진한 반응도 한몫 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로얄럼블 매치를 제외한 챔피언십 매치들은 준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관중들의 미미한 반응에 분위기가 살지 않아 기대만큼의 재미를 주지 못했다. 특히 태그팀 매치는 중요한 세그먼트도 없이 위클리 쇼에서 지나치게 경기를 소모해 식상해진 문제를 안고 가더라도 진짜 이게 맞나 싶을 정도로 굉장히 분위기가 싸늘했다. 그래도 각 챔피언십 경기마다 끝난 뒤에 있었던 흥미로운 스팟[30]은 좋은 평을 받고 있다.
결국 여러 요인이 겹친 관계로 2025 로얄럼블의 케이지매치 평점이 4.19점으로 책정 되어서 WWE의 2025년 첫 단추를 잘못 꿰게 되었다. 당장 작년 로얄럼블의 케이지매치 평점이 5.91점인걸 보면 현지에서도 이번 로얄럼블에 대한 여론이 상당히 험악한 걸 볼 수 있다.
5. 여담
- 로얄럼블 역사상 처음으로 2월에 개최되는 로얄럼블이다.[31]
- WWE가 2025년 1월 16일부로 TNA와 다년간의 파트너십 계약을 공식 발표하였고# 이에 따라 TNA 월드 챔피언 조 헨드리가 로얄럼블에 등장했다. TNA 넉아웃 챔피언인 마샤 슬라모비치도 등장이 기대되었으나 등장하지 않았다. 그리고 파트너십인만큼 WWE와 계약을 맺고 WWE 소속으로 이제 막 활동하게 된 조르딘 그레이스는 물론 WWE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나오미와 미친도 자막에 TNA 챔피언 경력이 소개되었다.
- 레슬매니아 40 이후 약 9개월만에 위클리쇼가 아닌 PLE에서 남성부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가 열리게 되었다.
- 스트리머 IShowSpeed가 트리플 H에게 전화 통화를 통해 본 쇼에 초대받았으며, 같은 스트리머인 Kai Cenat도 1월 28일 RAW 위클리쇼에서 팻 맥아피를 통해 초대받았다.
- 이번 로얄럼블부터 하단 자막에 출전 선수들의 간략한 프로필과 로얄럼블 매치 관련 기록 등이 표시된다.
- #DIY와 MCMG의 경기에서 스트리트 프로피츠가 난입하여 MCMG를 공격해 #DIY의 승리를 도왔으나, 경기가 끝나고 #DIY에게도 공격을 가하면서 태그팀 챔피언십 경쟁에 참여하게 되었다.
- 로얄럼블 2018 이후로 여성부 챔피언십은 진행하지 않았다.
- 로얄럼블은 전통적으로 일명 파이널 4로 칭해지는 최후의 4명의 선수들끼리 페이스 투 페이스를 하는 구도가 많이 나왔는데, 올해에는 남성부[32]와 여성부[33] 모두 파이널 4가 아닌 파이널 3에 초점을 맞춰 페이스 투 페이스를 하는 구도로 진행되었다.
5.1. 로얄럼블 매치 기록 경신
- 나이아 잭스가 본인이 갖고 있던[34] 여성부 단일 로얄럼블 최다 제거 기록을 9명으로 경신했다. 동시에 리아 리플리와 타이 기록이었던 여성 로얄럼블 누적 제거 기록을 단독 1위로 경신하였다.
- 샬럿 플레어가 2020년 우승에 이어 다시 우승하게 되면서 여성부 최초 로얄럼블 2회 우승자로 등극했으며, 샬럿의 번호인 27번은 2001년 이후 무려 24년만에 우승을 차지하면서 30번과 함께 다시 최다 우승 번호 공동 1위가 되었다.
- 로얄럼블 매치 최초로 20번에서 우승자(제이 우소)가 배출되었으며 이제 로얄럼블 우승자를 배출하지 못한 번호는 4, 6, 7, 9, 11, 12, 21, 26번으로 8개 남았다.
- 로만 레인즈는 로얄럼블 매치 참가 이래 처음으로 파이널 4에 들지 못했다. 또한 로만 레인즈를 탈락 시킨 선수가 우승한다는 징크스가 깨지게 되었다.
[A] IB 스포츠와의 제휴를 통해 IB 스포츠 방영분을 동시 재송출[2] 로얄럼블, 레슬매니아, 섬머슬램, 서바이버 시리즈[3] 2025년을 끝으로 현역 은퇴를 하기에 차후 특별 참가가 아니라면 커리어 마지막 로얄럼블 매치가 될 예정이다.[4] 현재 공식으로 인정되는 벨트뿐만 아니라 케빈이 강탈한 윙드 이글 벨트도 걸려있다.[파이널4(여성)] [6] 최장시간 생존[7] WWE 위민스 인터컨티넨탈 챔피언[8] WWE 위민스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B]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10] 최단시간 생존[B] [12] WWE 스피드 위민스 챔피언[파이널4(여성)] [14] NXT 위민스 챔피언[파이널4(여성)] [파이널4(여성)] [17] 최장시간 생존[18]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19] 원래는 토자와 아키라였으나 등장하자마자 카멜로 헤이즈에게 공격을 당해 경기를 뛸 수 없게 되자 트리플 H가 대체 선수로 지명하여 경기를 뛰게 되었다.[20] 최단시간 생존[21] TNA 월드 챔피언[22]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파이널4(남성)] [파이널4(남성)] [파이널4(남성)] [26] 본의가 아니라 슈퍼킥 오폭으로 탈락시키게 된다.[파이널4(남성)] [28] 게다가 시나가 탈락한 방식도 슈퍼킥같은 시그니처 무브에 맞고 탈락한게 아닌, 그냥 제이에게 툭 밀려서 탈락하는거라 결말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29] 다만 로얄럼블 우승 특권인 레슬매니아 메인 이벤트는 수년에 걸쳐서 사실상 명목만 남은 상태이며 진짜 특권은 레슬매니아에서 월드 챔피언에 도전한다가 더 정확하다. 즉, 누가봐도 메인 이벤트에 설만한 존 시나, 코디 로즈, 세스 롤린스, 로만 레인즈, CM 펑크 등을 제치고 1일차 또는 2일차 메인 이벤트를 차지할 가능성은 낮으며 2일차 오프닝 매치, 또는 세미 메인 이벤트 정도로 배치될 가능성이 높다.[30] 스트리트 프로피츠의 난입과 코디 로즈의 승리 후 인성질 퍼포먼스.[31] 같은 해 개최될 예정인 레슬매니아 41 역시 일반적인 레슬매니아와 비교해 2~3주 정도 늦게 개최되는데 이에 맞춰 로얄럼블 역시 2월로 미뤄진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2025년 1월에는 PLE가 열리지 않게 되었고, 이를 대신해서 로얄럼블을 일주일 앞둔 1월 25일에 새터데이 나잇 메인 이벤트가 개최되었다. 물론 일정 등 이런저런 이유가 있겠지만, 작년 레슬매니아 40 1일차에서 필라델피아 관중들이 추위 때문에 환호를 크게 하지 못한 것도 영향을 미친 듯하다.[32] 제이 우소, 존 시나, 로건 폴[33] 록샌 페레즈, 샬럿 플레어, 나이아 잭스[34] 정확히는 셰이나 베이즐러, 비앙카 벨에어와 공동 기록이었다.[35] 마찬가지로 1번, 2번으로 등장했던 이요 스카이와 리브 모건도 베일리의 생존 기록을 제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