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1 17:27:52

렌초 데 베키

렌초 데베키에서 넘어옴
렌초 데 베키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9d002c><tablebgcolor=#9d002c> 파일:Genoa.png제노아 CFC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ed50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896년 ~ 2001년
초대
스펜슬리
파일:UEFA ENG.png
★★★★★
2대
센프트
파일:UEFA SUI.png

3대
뷔뇽
파일:UEFA SUI.png
4대
스펜슬리
파일:UEFA ENG.png
5대
괴츨로프
파일:UEFA ITA.png
6대
후크
파일:UEFA SUI.png
7대
헤어초크
파일:UEFA SUI.png
8대
가버트
파일:UEFA ENG.png

9대
코긴스
파일:UEFA IRL.png
10대
파스퇴르
파일:UEFA ITA.png
11대
가버트
파일:UEFA ENG.png
★★
12대
데 베키
파일:UEFA ITA.png
13대
세카니
파일:UEFA HUN.png
14대
부를란도 / 스타빌레
파일:UEFA ITA.png / 파일:UEFA ARG.png
15대
룸볼트
파일:UEFA AUT.png
16대
너지
파일:UEFA HUN.png
17대
파로파
파일:UEFA ITA.png
18대
데 베키
파일:UEFA ITA.png
19대
오르트
파일:UEFA HUN.png
20대
펠스너
파일:UEFA AUT.png

21대
가버트
파일:UEFA ENG.png
22대
바르비에리
파일:UEFA ITA.png
23대
아라
파일:UEFA ITA.png
24대
비올러
파일:UEFA HUN.png
25대
바르비에리
파일:UEFA ITA.png
26대
가버트
파일:UEFA ENG.png
27대
알라시오
파일:UEFA ITA.png
28대
애스틀리
파일:UEFA ENG.png
29대
알라시오
파일:UEFA ITA.png
30대
바치갈루포
파일:UEFA ITA.png
31대
셴케이
파일:UEFA HUN.png
32대
살라
파일:UEFA ITA.png
33대
엘레나
파일:UEFA ITA.png
34대
샤로시
파일:UEFA HUN.png
35대
보닐라우리
파일:UEFA ITA.png
36대
말리
파일:UEFA ITA.png
37대
프로시
파일:UEFA ITA.png
38대
포지
파일:UEFA ITA.png
39대
카버
파일:UEFA ENG.png
40대
프로시
파일:UEFA ITA.png
41대
로소
파일:UEFA ITA.png
42대
제이
파일:UEFA ITA.png
43대
로소
파일:UEFA ITA.png
44대
산토스
파일:UEFA ARG.png
45대
아마라우
파일:UEFA BRA.png
46대
레리치
파일:UEFA ITA.png
47대
보니초니 / 비아니
파일:UEFA ITA.png
48대
게치
파일:UEFA ITA.png
49대
타바넬리
파일:UEFA ITA.png
50대
폰가로
파일:UEFA ITA.png
51대
캄파텔리
파일:UEFA ITA.png
52대
브루노
파일:UEFA ITA.png
53대
캄파텔리
파일:UEFA ITA.png
54대
비비아니
파일:UEFA ITA.png
55대
브루노
파일:UEFA ITA.png
56대
지모나
파일:UEFA ITA.png
57대
실베스트리
파일:UEFA ITA.png
58대
빈첸치
파일:UEFA ITA.png
59대
시모니
파일:UEFA ITA.png
60대
마로소
파일:UEFA ITA.png
61대
푸리첼리
파일:UEFA URU.png
62대
부이
파일:UEFA ITA.png
63대
디 마르치오
파일:UEFA ITA.png
64대
시모니
파일:UEFA ITA.png
65대
부르니치
파일:UEFA ITA.png
66대
페로티
파일:UEFA ITA.png
67대
시모니
파일:UEFA ITA.png
68대
페로티
파일:UEFA ITA.png
69대
스콜리오
파일:UEFA ITA.png
70대
바뇰리
파일:UEFA ITA.png
71대
조르지
파일:UEFA ITA.png
72대
마이프레디
파일:UEFA ITA.png
73대
마젤리
파일:UEFA ITA.png
74대
스콜리오
파일:UEFA ITA.png
75대
마르키오로
파일:UEFA ITA.png
76대
마젤리
파일:UEFA ITA.png
77대
라디체
파일:UEFA ITA.png
78대
살베미니
파일:UEFA ITA.png
79대
페로티
파일:UEFA ITA.png
80대
살베미니
파일:UEFA ITA.png
81대
마젤리
파일:UEFA ITA.png
82대
부르니치
파일:UEFA ITA.png
83대
필론
파일:UEFA ITA.png
84대
카니
파일:UEFA ITA.png
85대
로시
파일:UEFA ITA.png
86대
볼키
파일:UEFA ITA.png
87대
마니 / 카르보니
파일:UEFA ITA.png
88대
볼키
파일:UEFA ITA.png
89대
오노프리
파일:UEFA ITA.png
90대
스콜리오
파일:UEFA ITA.png
: 리그 우승 / : 코파 우승
제노아 CFC 감독(91대 이후) ▶
}}}}}}}}}}}}}}}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주장
비르질리오 포사티
(1914~1915)
렌초 데 베키
(1920~1925)
루이지 체베니니
(1925~1927)

}}} ||
이탈리아의 前 축구 선수
파일:렌조데베키.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렌초 데 베키
Renzo De Vecchi
출생 1894년 2월 3일
이탈리아 왕국 밀라노
사망 1967년 5월 14일 (향년 73세)
이탈리아 밀라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 왕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63cm
직업 축구 선수 (수비수[1] / 은퇴)
경력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AC 밀란 (1909~1913)
제노아 CFC (1913~1917)
제노아 CFC (1919~1929)
감독 제노아 CFC (1927~1930)
라팔로 루엔테스 (1930~1933)
제노아 CFC (1933~1935)
국가대표 43경기 (이탈리아 / 1910~1925)

1. 개요2. 생애
2.1. 선수 생활2.2. 이후
3. 플레이 스타일 & 평가4. 뒷이야기5. 수상
5.1. 클럽5.2. 감독

1. 개요

이탈리아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생애[2]

2.1. 선수 생활

2.1.1. 클럽

데베키는 1909년 11월 14일, 만 15세의 어린 나이에 AC 밀란에서 데뷔하였다. 나이로만 따지면 그 파올로 말디니보다 어린 나이에 1군에 데뷔한 셈. 밀라니스타들은 이런 그에 큰 애정을 표했고 Figlio di Dio(신의 아들)라는 별명까지 지어주었다. 그에 걸맞게 AC 밀란의 최연소 득점 기록도 가지고 있고 하프백과 풀백으로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데베키는 1913년 2만4천리라에 제노아 CFC로 이적했고 1915년에 제노아 소속으로 첫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우승을 차지한 이후 바로 1차 대전이 터졌고, 이탈리아 리그는 2시즌간 전면 중단되었다. 1차 대전 시기에 데베키는 통신 회사에서 근무했다.

1차 대전이 끝난 후, 리그가 다시 시작되었다. 데베키는 제노아 소속으로 2차례 더 이탈리아의 정상에 오르고 1922년 28경기 무패 행진을 이끄는 등 성공적인 커리어를 보냈다. 1924-25시즌에 제노아는 북부 리그 우승을 놓고 볼로냐 FC 1909를 상대로 5번의 시합을 펼쳤지만 5번째 시합에서 0대2로 패배하여 3연패 도전에 실패하기도 했다. 그는 제노아에서 총 18시즌을 보냈다.

2.1.2. 국가대표팀

데베키는 1910년 5월, 헝가리를 상대로 A매치에 데뷔하였다. 무려 16세 3개월의 나이지만 생일 문제로 이탈리아 최연소 출장 기록 보유자인지는 논란이 있다.[3]

데베키는 1912, 1920, 1924년에 걸쳐 통산 3차례의 올림픽에 출전했지만 메달을 따지는 못했다.

데베키는 15년의 국가대표 생활동안 총 43경기의 출전 기록을 남겼다. 이탈리아 리그에서는 통산 47골[4]을 넣을 정도로 득점력이 있었지만 대표팀에서는 골을 기록하진 못했다.

2.2. 이후

데베키는 1927년부터 선수 겸 감독으로 제노아를 이끌었고, 세리에 A의 창설 시즌이자 현역 마지막 시즌인 1929-30시즌에는 제노아를 준우승에 올려놓았다.

하지만 이 시즌을 끝으로 데베키는 제노아를 떠났고 라팔로라는 클럽에서 3년간 감독직을 맡았다. 1933년, 데베키가 제노아에 다시 복귀했을 때 제노아는 세리에 B에 있었고 팀을 다시 승격시킨 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감독직을 그만둔 후에는 축구 기자로 활동했다.

3. 플레이 스타일 & 평가

이탈리아 초기 축구 역사상 최고의 수비수.

덩치에 비해 힘이 좋았고 태클과 예측 능력이 뛰어나서 하프백 영역에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었다. 수비수임에도 볼 컨트롤, 드리블링, 페널티킥에 능했다.

4. 뒷이야기

  • 제노아 이적 당시 선수가 이적을 하려면 직업적인 이유가 있어야했다. 그래서 데베키는 제노바의 통신 회사에 취업했고 1차 대전때도 거기에서 일했다.
  • 데베키는 커리어 내내 단 한 번밖에 퇴장을 당하지 않았다. 그 경기는 유벤투스 FC와의 경기였고 그를 포함하여 3명의 제노아 선수가 퇴장을 당했다.

5. 수상

5.1. 클럽

  • 프리마 카테고리아 우승 1회: 1914–15(제노아 CFC)
  • 프리마 디비시오네 우승 2회: 1922–23, 1923–24(제노아 CFC)
  • 프리마 디비시오네 준우승 2회: 1927–28, 1929–30(제노아 CFC)

5.2. 감독


[1] 레프트백, 센터백[2] 출처: 위키피디아, 11v11[3] 로돌포 갈비넬리와 함께 논란이 있다. 다만 나이 자체에 논란이 있다기보다는 그 둘 중 누가 최연소 출전 기록 보유자인지에 대한 논란이다. 그 둘을 제외하면 잔루이지 돈나룸마가 최연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4] AC 밀란 7골, 제노아 CFC 40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