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8 19:55:01

렌즈구름


<colbgcolor=#fff> ☁️ 구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일반형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colbgcolor=#909090><colcolor=#fff> 상층운
파일:권운 기호2.png 권운(Ci)
중층운
하층운
파일:층운 기호.png 층운(St)
수직형
파일:적운 기호.png 적운(Cu)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특수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909090><colcolor=#fff> 상위형 웅대적운 · 열탑 · 열대저기압 · 슈퍼셀 · 안개
수반형 모루구름(inc) · 성층권 침투 대류운 · 유방운(mam) · 미류운(vir) · 폴스트리크 홀(cav) · 파상운(flu) (켈빈-헬름홀츠 권운(Ci flu)거친물결구름(asp) · 강수구름(pra) · 아치구름(arc) · 꼬리구름(cau) · 깔때기구름(tub) · 벽구름(mur)
일반형 야광운 · 진주운 · 편운 · 삿갓구름 · 렌즈구름 · 모닝글로리
기원형 화염 적란운(Flammagenitus) · 비행운(Homomutatus) · 폭포구름(Cataractagenitus) · 증발구름(Silvagenitus)
관련 현상
햇무리 · 달무리 · 채운
기타 스모그 · 버섯구름 · 지진운 }}}}}}}}}}}}
<colbgcolor=#6bc3ff,#252525> 렌즈운
렌즈雲 / Lenticular Cloud
파일:렌즈운.jpg
약어 len
기호 -
분류 하층운, 중층운, 고층운
고도 ~ 12,000 m
강수여부 없음[1]

1. 개요2. 생성과 특징3. 종류
3.1. 렌즈형 권적운(Cc len)3.2. 렌즈형 고적운(Ac len)3.3. 렌즈형 층적운(Sc len)
4. 여담

1. 개요

고적운의 유명한 변종. 말 그대로 렌즈가 수평으로 누운 듯한 모습을 가진 구름이다. 보통 렌즈 하나보다는 여러 개가 상하로 쌓인 모습을 보인다. 산봉우리에 모자를 씌운 듯한 모습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2. 생성과 특징

공기가 지구 표면과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산이나 언덕, 건물에 의하여 그 흐름이 방해를 받게 되고 공기는 이 과정에서 장애물들을 따라서 강제로 급하게 오르게 된다. 여기서 습하고 안정된 공기가 일정 고도 이상으로 흐르게 되고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지면 형성된다. 따라서 평지에서 형성이 되는 것은 불가능하고, 일반적인 산보다는 비교적 매끄럽게 생긴 높은 화산에서 형성되는 빈도가 많은 편이다. 가끔 화산 봉우리가 모자를 쓴 듯한 모양을 하고 형성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한라산으로 인하여 주로 제주도에서 목격된다. 일본에서는 후지산에 이 구름이 덮여 있는 사진도 자주 찍힌다. 한라산과 후지산 모두 상술된 '매끄럽게 생긴 높은 화산' 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3. 종류

3.1. 렌즈형 권적운(Cc le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권적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권적운#s-3.2|3.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권적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렌즈형 고적운(Ac le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적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적운#s-3.2|3.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적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렌즈형 층적운(Sc len)

<colbgcolor=#6bc3ff,#252525> 층적 렌즈운
層積렌즈雲 / Stratocumulus lenticularis Cloud
파일:층적 렌즈운.jpg
약어 Sc len
기호 -
분류 하층운
고도 6,00m~ 2,000 m
강수여부 없음
지표면과 더 가까운 저층(약 600~2,000m)에서 나타나는 넓고 낮은 렌즈 모양 구름으로, 다소 퍼지고 경계가 덜 명확할 수 있다.

약한 산악파 또는 낮은 고도에서의 지형성 상승과 함께 형성되며, 수증기가 충분히 많고 기온 역전이 있을 때 유지된다. 다른 렌즈운에 비해 비교적 두껍고 물방울로 구성되며, 대기 안정도가 높은 저층에서 관측됨.

4. 여담

신비롭게 생겼으나 내부를 보기는 힘든데, 생성 원리부터가 강한 상승기류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난기류가 심하여 항공기가 통과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크고 작은 다양한 렌즈구름들이 하늘 전체 또는 반 이상을 채우고 있는 기묘한 현상도 가끔 보인다.

추가적인 내용을 알고 싶으면 https://en.wikipedia.org/wiki/Lenticular_cloud를 참고해도 좋다.

튀르키예 부르사에서 관측된 기묘한 구름이 렌즈구름의 일종으로 보인다.
열람 주의 [ 펼치기 · 접기 ]
파일:튀르키예 렌즈운 고화질.png
뭔가 적혈구처럼 생겼다
[1]미류운이 관측되는 경우가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