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2차 세계대전 및 냉전기에 존재했던 영국 전함 계획}}}에 대한 내용은 [[라이온급 전함]]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라이온급 전함#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라이온급 전함#|]]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차 세계대전 및 냉전기에 존재했던 영국 전함 계획: }}}[[라이온급 전함]]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라이온급 전함#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라이온급 전함#|]]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건보트 | <colbgcolor=#fefefe,#191919>어피스급 | |||
| 구축함 | A급, B급, C급, D급, 크리켓급, E급, F급, G급, H급, I급, K급, L급, M급, 메데아급, 탈리스만급, R급, S급, V급, W급 | ||||
| 선도구축함 | 폴크너급, 마크스먼급, 파커급, 스위프트급, 스콧급A, 셰익스피어급A | ||||
| 잠수함 |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H급, J급, K급, L급, M급, N급, R급, S급, T급, V급, W급, X1급, 노틸러스급, 오딘급, 파르티안급, 레인보우급, 템스급, 그램푸스급 | ||||
| 모니터함 | 마샬 네이급, 애버크롬비급, 로드 클라이브급, 험버급, 고르곤급, M15급, M29급 | ||||
| 정찰순양함 | 어드벤처급, 포워드급, 패스파인더급, 센티넬급, 부디카급, 블론드급, 액티브급 | ||||
| 장갑순양함 | 크레시급, 드레이크급, 몬머스급, 데본셔급, 듀크 오브 에든버러급, 워리어급, 미노토어급 | ||||
| 방호순양함 | 아폴로급, 아스트라에아급, 이클립스급, 블래이크급, 펄급, 에드거급, 파워풀급, 다이아뎀급, 애로간트급, 펠로루스급, 하이플라이어급, 챌린저급, 토파즈급, 타운급 | ||||
| 경순양함 | 아레투사급(1913), C급A, 다나에급, 에메랄드급A | ||||
| 중순양함 | 호킨스급A | ||||
| 순양전함 | 인빈시블급, 인디패티거블급, 라이온급, 퀸 메리, 타이거, 리나운급, 어드미럴급A, | ||||
| 전함 | 전드레드노트급 | 로열 소버린급, 센추리온급B, 리나운B, 마제스틱급, 카노푸스급, 포미더블급, 런던급, 던컨급, 킹 에드워드 7세급, 스윕셔, 로드 넬슨급 | |||
| 드레드노트급 | 드레드노트, 벨레로폰급, 세인트 빈센트급, 넵튠, 콜로서스급, 오라이언급, 킹 조지 5세급, 아이언 듀크급, 캐나다급, 퀸 엘리자베스급, 에린급, 애진코트, 리벤지급 | ||||
| 항공모함 | 퓨리어스, 아거스, 빈딕티브, 허미즈A |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함 |
| → → → → → → → → → → → → → → | |
| 순양전함 | |
| 기타 | |
| }}}}}}}}} |
| |
| Lion-class battlecruiser |
1. 개요
라이온급 순양전함은 영국 해군이 1차 대전 이전에 건조한 2척의 순양전함으로 이전의 인디패티거블급 순양전함에 비해서 속력, 화력, 장갑을 포함한 모든 면에서 향상되었다. 이러한 개선은 독일 해군의 몰트케급 순양전함을 의식한 것으로 몰트케급은 기존에 영국이 보유한 인빈시블급 순양전함보다 더 강력하고 더 거대했다. 2척 모두 1920년대에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 의해서 스크랩처리되었다.2. 제원
| 라이온급 순양전함 Lion-class battlecruiser | ||
| 이전급 | 인디패티거블급 | |
| 다음급 | 퀸 메리급(일반적으로) | |
| 타이거급[1] | ||
| 리나운급[2] | ||
| 기준배수량[3] | 26,690톤 | |
| 전장 | 213.4m | |
| 전폭 | 27.0m | |
| 흘수 | 9.9m | |
| 승조원 | 680 ~ 840명 | |
| 최고 속력 | 27.5노트 (약50.9km/h) | |
| 항속거리 | 10노트 (약 19km/h) 순항 시 10,390km | |
| 출력 | 70,000마력 | |
| 동력 | 기관 | 예로우 증기보일러 42기 |
| 파슨스 직결식 증기터빈 2기 | ||
| 추진 | 4축 프로펠러 | |
| 무장 | 주포 | BL 13.5인치(343mm) Mark V 2연장 포탑 4기 |
| 부포 | BL 4인치 (102mm) Mk VII 단장포 16문 | |
| 어뢰 | 21인치(533mm) 어뢰발사관 2문 | |
| 장갑 | 측면 | 4–9인치(102–229mm |
| 갑판 | 2.5인치(64mm) | |
| 장갑함교 | 10인치(254mm) | |
| 주포탑 | 9인치(229mm) | |
| 바벳[4] | 8–9인치(203–229mm) | |
| 격벽 | 4인치(102mm) | |
3. 상세
독일의 1907~1908년 건함계획의 가속은 영국에게 상당한 부담이었지만 1908~1909년에 영국 해군은 단지 1척의 순양전함과 전함만을 계획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09~1910 건함 계획에서 영국은 3척의 전함과 순양전함을 건조할 수 있었고 해군성은 독일의 신형 전함에 대해서 질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보다 크고 강력한 군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라이온급 순양전함은 독일의 신형 순양전함 몰트케급에 대해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위하여 속력, 장갑, 화력을 모두 향상시켰고 크기도 커져서 당시 존재하는 군함 중 가장 거대한 군함이 되었다.대략적인 형태는 오리온급 전함의 설계에 영향을 받았고 주포 또한 오리온급에 사용된 13.5인치 주포를 사용했는데 이는 순양전함에 최초로 적용된 사례이다. 이러한 라이온급의 설계는 다른 순양전함들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HMS 퀸 메리[5], HMS 타이거, 일본의 공고급 순양전함이 전부 라이온급의 영향을 받은 순양전함들이다. 만재배수량 3만톤에 달하는 거대한 함체에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에 준하는 주포탑 일직선상 배치, 신형 13.5인치 주포 탑재, 27.5노트에 달하는 고속 등 기존의 순양전함을 월등히 능가한다는 인상을 주었기 때문에 Splendid Cat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많은 기대를 받았다.
4. 함선 목록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비고 |
| 라이온 (Lion, 사자) | 1909년 11월 29일 | 1910년 8월 6일 | 1912년 5월 | 1922년 5월 30일 퇴역 1924년 1월 31일 스크랩을 위해 판매 |
| 프린세스 로열 (Princess Royal, 영국 공주) | 1910년 5월 2일 | 1911년 4월 29일 | 1912년 11월 14일 | 1922년 12월 19일 스크랩을 위해 판매 |
4.1. 라이온
라이온급 순양전함의 1번함이자 19대 라이온.1912년 6월 4일에 취역하여 제1순양전함전대의[6] 기함을 맡았다. 헬리골란트 바이트 해전, 도거뱅크 해전, 유틀란트 해전[7] 등에 제1순양전함전대 지휘관 데이비드 비티제독의 기함으로 참전하였다. 이후 비티가 대함대의 총사령관으로 영전하자 그 후임자인 W.C 펙햄제독의 기함이 되었다. 이후 2차 헬리골란트 바이트 해전에 경순양함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으나 독일 해군과 직접 전투를 벌이지는 않았다. 이후 남은 전쟁기간동안 별 다른 활동은 없었으며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 의해서 1924년에 77,000파운드에 매각되어 스크랩되었다.
4.2. 프린세스 로열
라이온급 순양전함 2번함이자 5대 프린세스 로열.1912년 11월 14일에 취역하여 제1순양전함전대에 배속되었다. 헬리골란트 바이트 해전, 도거뱅크 해전, 유틀란트 해전등에 참전하였다. 종전 이후 1922년에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 의해서 스크랩처리된다.
5. 실전
라이온급 전함 2척은 헬리골란트 바이트 해전에서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되었다. 이후 도거뱅크 해전, 유틀란트 해전등에 참여했다. 1번함 라이온은 순양전함 전대의 지휘관 데이비드 비티 제독이 기함으로 사용했다.6. 최후
1920년대에 2척 모두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에 의해서 해체당하게 된다.7. 모형화
- 1/350
- Iron Shipwrights
- 1/700
- 콤브릭
[1] 퀸 메리를 본 함급의 개수된 3번함으로 볼 경우[2] 타이거까지 본 함급에 포함시킬 경우[3] 표준배수량이라는 말은 각국의 차이에 따라서 전혀 뜻이 다름[4] 포곽은 케이스메이트 형식의 부포곽 같은 것을 말함. 주포탑 바벳은 그냥 바벳으로 부름[5] 이쪽은 라이온급의 3번함으로 분류하기도 하는 모양.[6] 1913년 이전에는 제1순양함전대[7] 이때 뤼초에게 3번 포탑을 피격당해 유폭할 뻔했으나 프란시스 하비 소령이 목숨을 대가로 탄약고를 침수시키라고 명령해서 유폭을 겨우 막았다. 만일 하비 소령이 아니었다면 진짜 배가 날아가버릴 수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