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16:49:25

두위밍

파일:duyuming.jpg
중국원정군 제1로부총사령장관
동북초비총사령부 부총사령
인민해방군 지상군 대령
본명 두율명(杜聿明)
한국식 독음 두율명
영문 Du yuming
출생 1904년 11월 28일 청나라 산시성 위린시
사망 1981년 5월 7일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국적 청나라 파일:청나라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파일:중국 국기.svg
학력 황포군관학교
직업 군인, 정치가
1. 개요2. 생애3. 가족4. 기타

1. 개요

중일전쟁, 국공내전에 참전한 군인이자 정치인

2. 생애

두위밍은 1904년 11월 28일 섬서성 미즈현 동구 뤄가소 두가완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상은 지역 봉건 지주였다. 아버지 두량쿠이는 청나라 말기 학자였으며, 시안의 장안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할 때 동맹연맹에 가입하고 여러 차례 미지로 돌아와 현의 민병대를 독려하여 청나라 관리들을 몰아내고 위안스카이가 황제를 자처하는 데 반대하는 투쟁에 참여했다. 그의 어머니 가오란팅은 가난한 집안 출신이었다. 두위밍에게는 네 명의 누이와 한 명의 여동생, 한 명의 남동생 두위더가 있었다.

1924년 3월, 두위밍은 사촌 형 두위신, 섬서 출신의 청년 옌췌야오, 관린정, 장야오밍 등과 함께 베이징을 거쳐 텐진에서 영국 선박을 타고 광저우로 향했다. 위유런장제스에게 추천하여, 두위밍을 포함한 이들은 모두 황포군관학교 제1기 학생으로 입학하게 되었다. 위유런은 두위밍에게 "안위천하중, 박대성인심(安危天下重, 博大聖人心)"이라는 조언을 해주었다.

1928년 여름, 장즈중은 귀국하여 중앙 육군 군관학교 훈련부장이 되었고, 두위밍은 이 학교에서 항저우 예비대 제2중대 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 이듬해 초, 두위밍은 난징 군관학교에서 제7기 제4대 중대장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겨울에는 신설된 제1사단 제2여단 참모주임을 맡았다. 1930년 초, 장제스는 제2교도사단을 창설하고, 장즈중이 사단장이 되자 두융밍은 제2여단 제5연대 제1대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곧 제6연대 상교로 승진했다.

1932년 초, 쉬팅야오의 제2사단은 안휘성 북쪽으로 이동하여 다비산에서 홍군의 '포위 공격'에 합류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후오추에서 광지쉰의 홍군 부대에 패배했다. 결정적인 순간에 쉬는 제24연대에 전력을 다해 반격하라고 명령했고, 두위밍은 군대를 이끌고 훠추로 침투해 적군에게 큰 손실을 입혔다. 쉬팅야오는 그에게 첫 번째 공로를 인정하고 두를 소장으로 진급시키도록 보고했다. 그해 겨울, 쉬팅야오는 17군 사령관으로 승진했고 두위밍는 같은 군 제25사단 제73여단장으로 임명되었으며 곧 같은 사단 부사령관으로 승진했다.

1933년 2월, 일본군은 열하사변을 일으켜 열하를 세 방향으로 공격했고, 제25사단은 서주(徐州)와 방부(波浦) 일대에서 출발해 퉁현(丹縣)으로 집결하여 적을 저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3월 9일, 제25사단이 스샤전(石匣鎮)에 도착한 뒤, 두위밍과 관린정은 차를 타고 구베이커우(古北口)로 가서 동북군 군단장 왕이저와 접촉했다. 왕이저는 제25사단이 제112사단의 만리장성 전선을 이어받아 1선 방어를 맡아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관린정은 장성 전선을 인계받는 데 반대하며 구베이커우 남성(南城) 지역에 2선 방어선을 점령할 것을 고집했다. 양측은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두위밍은 관린정에게 장성은 구베이커우보다 지형적으로 더 높아 전략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설득했으나, 관린정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제25사단은 구베이커우 남성 동서 측 고지를 점령해 2차 방어선을 형성했으며, 제112사단 주력 부대는 구베이커우 서쪽 고지로 철수하고 1개 연대만을 남겨 장성 1선 방어를 맡게 되었다.

다음 날, 일본군 니시타카 제1군 제8사단과 기병 제3여단이 제112사단의 좌익 방어선을 돌파하고 구베이커우 관문을 점령한 뒤, 제25사단 방어선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관린정은 장야오밍의 제75여단에 반격을 명령했으나, 고지 쟁탈 과정에서 부상을 입었다. 이때 두위밍은 사단장 대리로서 부대를 지휘하며 일본군과 치열하게 싸웠다. 3월 12일, 두위밍은 명령을 받아 방어선을 제2사단에 인계하고 부대를 이끌고 미윈으로 후퇴해 전열을 정비했다.

1930년 겨울, 제2교도사단은 제4군으로 개편되었고, 두위밍은 제12여단 제24연대 연대장이 되었다. 그는 연대장 직위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이를 잘 수행해야 승진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사단장 쉬팅야오(徐庭瑤)는 매우 엄격하여 대부분의 부대들이 느슨하게 운영되고 있었지만, 두위밍의 부대만은 규정을 철저히 따르고 훈련도 잘 되어 있었기에 쉬팅야오는 두위밍에게 크게 칭찬했다.

1933년 가을, 두융밍은 중앙 육군 군관학교 신병 훈련처장으로 전근되었으며, 육군 예비군 훈련을 담당했다. 같은 해 12월, 제7군단이 창설되었고, 관계령이 총지휘관을 맡았으며, 두융밍은 그 부대에서 제52사단 소장 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 1934년, 그는 중앙 소비에트 지역의 제5차 초공작전에 참여하여 진지 구축을 맡았다. 10월에는 중앙 홍군대장정 추격 작전에 참여하였고, 서강 전투에서 홍군의 측면을 위협했다.

1936년, 두융밍은 관계령의 부대와 함께 산시성 북부로 진입하여 홍군에 대한 포위 작전에 참여했다. 이 작전에서 두위밍은 주공 부대 지휘관으로 여러 차례 군사 작전을 전개했으나 홍군을 완전히 소멸시키지는 못했다. 이 시점에서 두위밍은 장제스의 초공전략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했으며, 이후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에 대한 태도가 변화했다.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두위밍은 군대를 이끌고 최전선으로 가서 일본군과 싸우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가 지휘한 부대는 많은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타이리장 전투와 쉬저우 전투에서의 뛰어난 활약으로 국민당 정부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1937년에는 기갑군단 창설을 책임지고 국민당 제1기갑군단 사령관을 역임했다. 1938년 7월, 그는 제200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39년 11월 제5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남광시 전투에 참전해 곤륜관전투에서 대활약을 거두고 일본과의 전투를 지휘했다. 1941년 두위밍은 그의 군대를 이끌고 조지프 스틸웰 휘하에서 버마 원정군에 참가했다. 1942년 8월 중국으로 돌아온 그는 제5군 총사령관으로 승진했다.

1945년, 중일 전쟁 승리 후 두위밍은 국민 혁명군 제1방면군 부총사령관 겸 동북 총지휘관으로 임명되어 일본군 항복을 수락하고 운남성주 룽윈을 직위해제시키고 동북 지역의 국민 정부 재건을 담당했다.

1948년 말, 국공내전에서 두위밍은 랴오싱 전투와 상하이 전투에서 국군을 지휘하여 중국 공산당의 해방군과 싸웠으나, 전략적 실수와 병력 열세로 인해 결국 전투에서 패배했다. 1949년 1월, 그는 안후이성 쑤저우시 샤오현 장좡자이진 장라오좡촌에서 포로로 잡혔다. 포로가 된 후, 두위밍은 전쟁 포로 수용소에서 공산주의 교육을 받으며 중국 공산당의 정책과 이념을 수용하게 되었다. 1959년 특별 사면을 받아 감옥에서 나오게 된다.

1961년 3월 두위밍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문화역사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64년에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제4위원회 위원으로 특별초청되었다. 1978년 제5기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5기 전국위원회 상무위원, 문화역사자료연구위원회 군사그룹 부위원장으로 선출됐다.

두위밍은 1981년 5월 7일, 베이징에서 병에 걸려 향년 77세로 사망했다.

3. 가족

동생은 안후이성 북부에서 국민당과의 전투중 22세에 전사했다.

2살 연상의 아내는 잘사는 집의 딸이었다.

3남 3녀를 두었다.

장녀의 남편 양전닝은 1957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4. 기타

황포군관학교 1기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