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1:25:45

데스티네이션(영화)


파일:파이널 데스티네이션 로고 화이트.svg

[ 작품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width=1000> 데스티네이션
(2000) ||<width=33.3%> 데스티네이션 2
(2003) ||<width=33.3%>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2006) ||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4
(2009)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5
(2011)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블러드라인
(2025)
[ 등장 인물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width=1000> 윌리엄 블러드워스 ||<width=50%> 클레어 리버스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width=1000> 사망 유형 ||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호러 영화상
제26회
(1999년)
제27회
(2000년)
제28회
(2001년)
식스 센스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디 아더스
<colcolor=#ffffff> 데스티네이션 (2000)
Final Destination
파일:데스티네이션 포스터.jpg
<colbgcolor=#010101> 장르 공포
감독 제임스 웡
각본 글렌 모건
제임스 웡
제프리 레딕
원안 제프리 레딕
제작 워런 자이드
크레이그 페리
글렌 모건
주연 데번 사와
앨리 라터
커 스미스
토니 토드
촬영 로버트 매클라클런
편집 제임스 코블런츠
음악 셜리 워커
주제곡 ○○
촬영 기간 ○○
제작사 자이드/페리 프로덕션스
하드 에이트 픽처스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태원엔터테인먼트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뉴 라인 시네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0년 3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6월 10일
상영 시간 98분
제작비 2,3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112,880,294[B]
북미 박스오피스 $53,331,147[B]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3]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설정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평가10. 흥행
10.1. 대한민국10.2. 북미 (미국·캐나다)10.3. 중국10.4. 대만10.5. 일본10.6. 영국10.7. 기타 국가
11. 기타12. 관련 문서13. 외부 링크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00년에 개봉한 미국공포 영화.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시리즈의 첫 작품이다.

2. 포스터

3. 예고편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

파리로의 수학여행, 의문의 비행기 폭발 사고, 7명의 생존자... 그러나 악몽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10대들이 차례로 죽어간다! Death Is Coming!

5.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편 등장인물들은 호러 영화 감독들 이름에서 따왔다. 서술되지 않은 인물 중에는 래리 무르나우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 블레이크 드레이어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가 있다.
  • 알렉스 챈스 브라우닝(Alex Browning)
    1편의 주인공으로 배우는 데본 사와. 사고장면을 꿈을 통해 목격하고는 나머지 인물들을 살려냈다. 본래 2편에도 출연이 예정되었지만 배우가 출연을 거부해 영화에 나오지 않고 사망처리된다. 성은 드라큘라(1931), 프릭스(1932) 감독인 토드 브라우닝에서 따왔다. 국내판 성우는 김일(SBS). 일본판 성우는 미키 신이치로(소프트판)[4], 쿠사오 타케시(TV 아사히판).
  • 클레어 리버스(Clear Rivers)
    배우는 앨리 라터. 부모님과 헤어진 뒤 어두운 아이로 자랐다. 비행기에서 알렉스가 내려야 된다고 하는 걸 보고 불길함을 느껴 유일하게 스스로 비행기에서 내린 사람.[5] 사고에서 살아남은 후 알렉스와 애인이 되면서 점차 밝은 모습을 되찾았다. 국내판 성우는 우정신(SBS). 일본판 성우는 박로미(소프트판), 토마 유미(TV 아사히판).
  • 카터 호턴(Carter Horton)
    배우는 커 스미스. 전형적인 양아치이다. 알렉스가 난동 피우는 걸 보고 시비를 걸다가 비행기에서 쫓겨나 우연히 살아남지만, 여전히 알렉스를 기분나쁜 놈 취급하고 있다. 테리와는 애인관계. 자신이 죽을 운명임을 알고 멘붕해서 폭주하지만 그래도 알렉스 덕에 한 번 더 목숨을 구한 뒤로는 친해졌고 반대로 자기가 알렉스를 구해주기더 했다. 국내판 성우는 김승준(SBS). 일본판 성우는 이시다 아키라(소프트판)[6], 이토 켄타로(TV 아사히판).
  • 발레리 루턴(Valerie Lewton)
    배우는 크리스틴 클록. 선생님으로, 심약하고 겁이 많다. 사고 당시 알렉스와 카터의 싸움 때문에 다른 선생님과 같이 내렸는데, 그 선생님이 비행기에 타라고 하자 대신 자기가 남겠다고 했고 이 일로 죄책감을 가지고 있었다. 죽음을 예언한 알렉스를 두려워했고 결국 쭉 살았던 고향을 떠나려고 했다. 말뽄새나 표정, 행동거지등으로 인해 그녀의 최후에 사이다를 느낀 시청자들이 많았을 정도로 작중 나올때마다 상당한 발암물질을 사방에 뿌린 인물이다 이름은 캣 피플 제작자로 유명한 발 루튼에서 따왔다. 국내판 성우는 이연희(SBS). 일본판 성우는 야마가타 카오리(소프트판), 콘노 케이코(TV 아사히판).
  • 빌리 히치콕(Billy Hitchcock)
    배우는 숀 윌리엄 스콧. 미식축구 팬으로 슈퍼볼을 좋아한다. 은근히 개그를 보여주는 캐릭터로 평소 카터에게 자주 괴롭힘당했다. 알렉스를 무언가 신비한 예언자같은 것으로 여기고 있다. 이름은 사이코의 감독인 앨프리드 히치콕에게서 따왔다. 국내판 성우는 한호웅(SBS). 일본판 성우는 코니시 카츠유키(소프트판), 마츠모토 다이(TV 아사히판).
  • 토드 와그너(Tod Waggner)
    배우는 채드 도넬라.[7] 알렉스의 절친으로 학교에서도 모범생이다. 은근히 여자를 밝히는 모습도 보인다. 쌍둥이 동생 조지 와그너가 비행기 사고로 죽었다. 국내판 성우는 김영선(SBS). 일본판 성우는 마도노 미츠아키(소프트판), 키사이치 아츠시(TV 아사히판).
  • 테리 체이니(Terry Chaney)
    배우는 어맨다 데트머. 카터의 애인으로 카터와는 달리 사고 이후 자신을 살려준 알렉스에게 그나마 감사해하곤 있지만 감사하다고 하면 카터와 싸움날까봐 말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카터가 알렉스에게 계속 시비를 걸자 결국 화를 내며 새롭게 얻은 인생을 낭비하고 싶진 않다고 했다. 이름은 론 채니에서 따왔다. 국내판 성우는 정미연(SBS) 일본판 성우는 오치아이 루미(소프트판), 오카무라 아케미(TV 아사히판).
  • 웨인 요원(Agent Weine)
    배우는 대니얼 로벅. 사고 이후 알렉스를 의심하는 FBI 요원. 다만 나중에는 말도 안되는 일들이 너무 연속적으로 일어나자 알렉스를 믿게 되었는지[8] 그를 잡기 위해서가 아니라 보호하기 위해서 추적한다며 클레어에게 그의 위치를 알려달라고 했다. 일본판 성우는 노지마 아키오(소프트판 & TV 아사히판).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6. 설정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온전히 펼쳐진 틀의 형태와 틀의 사용법은 틀:평가/영화 평점/설명 문서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틀:국기|]][[틀:국기|]]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중국|]][[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10.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

10.2. 북미 (미국·캐나다)

10.3. 중국

10.4. 대만

10.5. 일본

10.6. 영국

10.7. 기타 국가

11. 기타

  • 원래 엔딩은 등장인물 중 클레어, 카터가 생존하는 엔딩이었다.

    정확히는 본래 카터가 죽을 차례에 그 다음 순서인 빌리가 먼저 죽어 '죽음의 각본'이 빗나가 카터가 죽음의 운명을 벗어난 걸 보자, 알렉스 역시 자신보다 먼저 죽을 예정이던 클레어를 대신해 자기가 먼저 죽음으로써 클레어 역시 죽음의 운명을 벗어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알렉스의 아이를 출산한 클레어와 카터가 알렉스의 무덤에 찾아오는 것으로 끝나는 결말이었다. 하지만 속편을 내기 위해 죽음의 운명은 절대 벗어날 수 없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변경해 클레어가 알렉스의 아이를 임신한 설정이 없어지고 지금의 엔딩이 된 것. 거기다 알렉스 역시 클레어처럼 2편에 나와 주인공 일행을 돕다 죽을 예정이었으나 배우가 출연을 거부하여 그 사이 시간대에 죽은 것으로 처리했다.[10]
  • 실제로도 영화와 비슷한 일이 일어난 적이 있는데, 9.11 테러 하루 전에 메릴린치를 그만둔 어떤 도미니카인이 2개월 후 미국에서 도미니카로 향하다 아메리칸 항공 587편 추락 사고에 휘말려 그를 포함한 기체 내 260명 전원, 지상의 5명 총 265명이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2. 관련 문서

  • [[관련 문서1]]
  • [[관련 문서2]]

13. 외부 링크

14. 둘러보기


[B] 출처[B] [3]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4] 김일과 미키 신이치로 모두 포켓몬스터로이를 맡았다.[5] 나머지는 알렉스의 말을 믿진 않았지만 알렉스와 카터의 싸움 때문에 반쯤 타의로 내렸다.[6] 김승준과 이시다 아키라 모두 최유기저팔계십이국기코우야를 담당했다.[7] 참고로 이 배우는 나중에 쏘우 3D에 깁슨 형사 역으로 나온다.[8] 물론 시간이 걸릴 뿐 조사 과정에서 테러 용의점이 없는 사고라는 것도 드러났을 테니 알렉스의 혐의는 자연스럽게 풀렸을 것이다.[9]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10] 만약 2편에 나왔다면 알렉스는 드릴에 관통되어 죽을 예정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