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2 23:04:51

더스크블러드

더스크블러드
ダスクブラッド
The Duskbloods
<nopad> 파일:더스크블러드 임시.jpg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AA5027> 개발 프롬 소프트웨어
유통 파일:일본 국기.svg 프롬 소프트웨어
파일:세계 지도.svg 닌텐도
플랫폼 Nintendo Switch 2
ESD 닌텐도 e숍
장르 3인칭 멀티플레이 액션
발매일 파일:세계 지도.svg 2026년
한국어 지원
이용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특징4. 평가
4.1. 발매 전4.2. 발매 후
5. 흥행6. 기타

1. 개요

프롬 소프트웨어에서 개발 중인 멀티플레이 PvPvE 액션 게임.

2. 발매 전 정보

데뷔 트레일러
닌텐도 다이렉트: Nintendo Switch 2 - 2025.4.2.에서 최초 공개되었다.[1] 이어서 2025년 4월 4일, 프롬 소프트웨어의 미야자키 히데타카가 게임에 대해 설명하는 크리에이터즈 보이스가 공개될 것임을 공지했다.

2025년 4월 4일, 크리에이터 보이스가 공개되었다. #
  • 더스크블러드의 최초 아이디어는 꽤 오래 전의 일로, 그때는 본인(미야자키 히데타카)의 두서 없는 아이디어 정도였고, 그동안 프롬 소프트웨어가 만든 게임들과도 많이 달랐지만, 닌텐도 측에서 긍정적으로 반응해줘서 개발이 시작되었다.
  • 본래는 Nintendo Switch 기반의 소규모 개발이었으나, 게임의 뼈대가 잡힌 후 본격적으로 팀을 늘리는 타이밍에 Nintendo Switch 2의 개발 소식을 듣고 Nintendo Switch 2 전용 타이틀로 개발을 정비했다고 한다.
  • 장르는 PvPvE, 예전부터 해당 장르는 매우 재미있고 여러 디자인을 접목시킬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2] 그렇다고 프롬 소프트웨어가 앞으로 멀티플레이 위주의 게임만 만든다는 건 아니고 싱글플레이 게임도 개발할 예정이다.
  • 주인공이 되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은 '혈족'으로 특별한 피로 인간을 뛰어넘는 힘을 가지게 된 일종의 흡혈귀지만, 공포적인 이미지는 아니고 개발팀이 낭만적으로 멋대로 확대 해석한 존재다.
  • '혈족'들은 '시작의 피'를 두고 싸우게 되며, 이 시작의 피는 '인류의 황혼'에 흐른다. 그리고 혈족들은 이 인류의 황혼 시기에 소환되어 시작의 피를 두고 싸우게 된다.
  • 본작의 맵은 하나가 아니며, 고딕 - 빅토리아 시기의 왕도적인 배경과 지하철 등이 다니는 근대 시기의 배경도 존재한다.
  • 타이틀인 더스크블러드는 '황혼의 혈족'이란 의미로 플레이어들을 총칭하는 단어이다.
  • 중요 키워드는 '피'로, 단순히 대미지적인 피 말고도 그곳에 축적되는 역사, 계승되는 힘, 새겨지는 운명과 같은 것, 인간을 초월하는 자들의 영원한 삶의 상징으로서의 '피'가 본 작품의 주요 키워드 중 하나이다.
  • 주인공을 혈족으로 설정한 이유는 특유의 액션 때문으로, 과거 프롬 소프트웨어의 액션보다 더욱 초인적이고 대담한 액션이 될 예정이다. 높은 곳으로 뛰어오르거나 공중을 박차고 나가는 등 기본 액션을 역동적이고, 스트레스가 적게 디자인했다.
  •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10명 이상. 모두 고유한 캐릭터들이며, 커스터마이징으로 자신만의 캐릭터로 꾸밀 수 있다. 또한, 모든 캐릭터들은 기본 원거리 공격 수단이 존재한다. [3]
  • 기본적인 게임 방식은 기본 거점에서 캐릭터를 선택, 커스터마이즈 한 다음 최대 8명까지 참여 가능한 멀티플레이에 참여하고, 승리 혹은 패배 후 다시 거점으로 돌아오는 방식. 승리하지 못하더라도 어떤 방식으로든 보상을 얻고 다시 커스터마이즈를 하는 순환 구조로 되어있다.
  • 기본적으로는 최후의 1인이 되는 게 승리의 조건이지만, 상황에 따라 강력한 보스를 잡거나 더 특수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 승리 점수라는 시스템이 도입되어 최종 승패에 대해서는 이 승리 점수로 결정된다. 승리 점수를 얻기 위한 전투는 큰 의미를 가지지만, 어부지리를 노리는 전략도 가능하다.
  • 플레이 도중 전투를 돕기 위해 소환하는 파트너 같은 시스템이 존재한다.
  • 시작의 피를 얻는 승리 조건 외에도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한다. 게임 전체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강력한 적이 등장하거나 추가 미션, 보너스가 발생하기도 한다. 트레일러에 나온 하늘에 떠 있는 거대한 돌 얼굴 역시 이런 이벤트 중 하나이다. [4]
  • '롤(역할)'이 있어 온라인 멀티플레이 중 플레이어 간의 미션을 부여하고 특별한 관계성을 발생시키는 요소이다. 아직 가칭이지만, 예를 들어 '숙명의 원수' 롤이 있다면 이런 플레이어를 쓰러뜨리는 것으로 전체적인 승리와는 별개의 개인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운명적인 반려' 롤이 있는 플레이어를 만나 유대를 맺으면 특별한 보상을 얻게 된다.
  • 트레일러 마지막에 나온 날개 달린 쥐는 다크 소울화방녀 같은 존재로, 닌텐도로 나오는 만큼 닌텐도스러운 사랑스러움을 노렸으며 실제로는 사랑스러운 할아버지 캐릭터이다.

3. 특징

최대 8인의 플레이어가 참가하는 PvP 및 PvPvE 베이스의 멀티플레이 액션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특별한 피의 힘으로 인간을 초월한 힘을 얻은 '황혼의 혈족'이 되어 '시작의 피(퍼스트 블러드)를 둘러싼 장렬한 전투에 뛰어든다.

4. 평가

기준일:
20XX-XX-XX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타이틀명/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타이틀명/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XX-XX-XX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오픈크리틱#s-2|
#!if (+average) >= 84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width=50px]]
#!if (+average) <= 83 && (+average) >= 75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50px]]
#!if (+average) <= 74 && (+average) >= 66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50px]]
#!if (+average) <= 65 && average != null &&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50px]]
{{{#!if average == null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https://opencritic.com/game/고유번호/타이틀명|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0) * 1.8deg)), #fc430a 0%, #2e2e2e 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0}}}}}}}}}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0) * 1.8deg)), #9e00b4 0%, #2e2e2e 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0}}}}}}}}}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0) * 1.8deg)), #4aa1ce 0%, #2e2e2e 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0}}}}}}}}}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0) * 1.8deg)), #80b06a 0%, #2e2e2e 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평론가 평점]]
[[https://opencritic.com/game/고유번호/타이틀명|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0) * 1.8deg)), #fc430a, #fc430a, #ffd86f, #ffd86f, #ffd86f, #fc430a, #fc430a 0%, #2e2e2e 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0%}}}}}}}}}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0) * 1.8deg)), #b370df, #e566b1, #e566b1, #ff6ec4, #a871e3, #7973f5, #706bdf 0%, #2e2e2e 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0%}}}}}}}}}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0) * 1.8deg)), #478c77, #76c8ff 0%, #2e2e2e 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0%}}}}}}}}}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0) * 1.8deg)), #6c9059, #627f50 0%, #2e2e2e 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평론가 추천도]]
[[https://opencritic.com/game/고유번호/타이틀명|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fc430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9e00b4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4aa1ce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80b06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유저 평점]]


4.1. 발매 전

프롬 소프트웨어의 신작이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최초 공개된 것에 더해 프롬 소프트웨어 최초의 닌텐도 플랫폼 독점 타이틀, 프롬의 여타 싱글플레이 중심의 PvE 게임이 아닌 PvPvE 장르라는 이례성으로 프롬 팬덤 사이에서 꽤나 화제를 끌었다. 싱글플레이 위주의 게임이 많았고 그로인해 팬층을 모았기에 이번에 나오는 게임이 멀티플레이 중심의 게임이라고 밝혀지면서 플레이어에 따라 선호도가 크게 갈린다.

앞서 멀티플레이용 게임으로 나온 엘든 링 밤의 통치자의 평가가 호불호가 갈리는데, 불호 의견의 대부분이 멀티 시스템적인 부분이라[5] 본작에도 문제점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 멀티 시스템의 경우 데몬즈 소울 때부터 크게 개선이 되지 않았기에 2026년에 발매하는 본작이 밤의 통치자의 피드백을 받고 개선될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4.2. 발매 후

5. 흥행

6. 기타

  • 엘든 링 밤의 통치자에 이어 연속으로 발표된 프롬 소프트웨어의 멀티플레이 위주의 게임이라서 그런지 밤의 통치자가 들어가지 않음에도 "블밤통"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1] 트레일러에서 고딕풍의 캐릭터와 배경이 나오면서 블러드본의 후속작으로 착각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2] 미야자키 히데타카는 과거 인터뷰에서 Escape from Tarkov를 매우 재밌게 즐겼고, 이 게임의 특성을 '어떤 식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에 대한 생각을 하고 있다고 밝힌 적이 있다. #[3] 미야자키 히데타카는 모든 캐릭터가 원거리 공격이 가능하다는 점이 프롬 소프트웨어의 전작들과 대비되는 더스크블러드만의 특징으로 소개했다[4] 하늘의 돌 얼굴에 대해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의 달이 연상된다는 반응이 많다.[5] 게임 내에서 보이스 채팅은 물론이고 기본적인 채팅을 지원하지 않는다거나, 위치 표시 시스템이 미흡하다거나, 매칭은 일본만 독자 서버로 운영되며 그 외에는 글로벌로 매칭되어 핑이 튀는 경우가 잦고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