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28 16:20:04

대쿠안 쿡

파일:Ironi Nes Ziona Daequan Cook 2018-19.jpg
이름 대쿠안 쿡 (Daequan Cook)
생년월일 1987년 4월 28일
출신지 오하이오 주 데이턴
출신학교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신장 196cm (6 ft 5 in)
체중 95kg (210 lb)
포지션 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드래프트 2007년 1라운드 전체 21순위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지명
소속팀 마이애미 히트 (2007~2010)
→아이오와 에너지 (2008)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2010~2012)
휴스턴 로키츠 (2012~2013)
시카고 불스 (2013)
뷔디베르니크 키예프 (2013~2014)
월터 타이거스 튀빙겐 (2014)
SPO 루앙 바스켓 (2014~2015)
S.L. 벤피카 (2015~2016)
케미도르 테헤란 (2016~2017)
이로니 네스 지오나 (2017~2020)

1. 소개2. 고등학교 및 대학 시절3. 선수 시절
3.1. NBA3.2. 국외
4. 둘러보기

1. 소개

미국의 농구선수이며 'The Chef'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다.

2. 고등학교 및 대학 시절

파일:external/img.coxnewsweb.com/image_3044819.jpg
폴 로렌스 던바 고등학교 시절에는 노리스 콜과 함께 오하이오 2부 리그 준결승으로 이끌게 했으나, 어퍼 샌더스키 고등학교에게 패하여 결승진출에 실패했지만 졸업 반 때는 2부리그 결승으로 이끌기도 하였다. 그리고 2006년에 개최된 맥도날드 올 아메리칸 서부 팀에도 선출되어 17득점을 기록해 112–94로 승리를 거두었다.

파일:external/media.scout.com/365651.jpg
고등학교 졸업 후, 오하이오 주립대학교로 진학해 경기당 평균 10.7점 4.5리바운드 1.1어시스트를 올린 뒤 1년만에 NBA에 얼리 엔트리를 신청해 전체 21순위로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에 지명을 받았다가 이후 마이애미 히트에 입단했다.

3. 선수 시절

3.1. NBA

파일:external/www.nba.com/600_cook_091310.jpg
루키 시즌 당시에는 에이스였던 드웨인 웨이드와 함께 구단 첫 우승을 일궈낸 샤킬 오닐이 떠나는 등의 과도기를 맞았다. 그러던 중 웨이드가 대부분을 부상으로 빠지게 되자 쿡의 출전기회가 늘어났다. 2008년 2월, 한번은 NBA D-리그 소속의 아이오와 에너지에서 활동했다가 같은 해 3월 히트에 복귀해 10일에 열린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와의 경기에서 하이 커리어 23득점을 넣었으나 팀은 1점차로 패하고 말았다.

파일:external/i.cdn.turner.com/600_cook_100208.jpg
2008-09시즌에는 웨이드가 부상에서 돌아오고 드래프트에서 마이클 비즐리와 마리오 찰머스를 지명하면서 플레이오프 순위권에 들어갈 수 있는 팀으로 바뀌어 나갔다. 그 가운데 쿡은 팀의 중반 역할과 3점 슈터로서 성립된 출전기회를 얻게 되었다. 2009년 3월 4일에 열린 피닉스 선즈와의 홈경기에서는 8개 가운데 6개의 3점슛을 넣음과 동시에 최고 커리어 27득점을 달성하여 135-129로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피닉스에서 개최된 2009 NBA 올스타 3점슛 콘테스트에서 제이슨 카포노의 2년 연속 우승을 깨고 트로피를 올렸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f01d43fb23c64d4f6dcfa9d90b5f4179.jpg
2010-11시즌에는 드래프트에서 18순위로 지명된 에릭 블렛소[1]와 함께 32순위로 지명된 덱스터 피트맨과의 교환 트레이드로 오클라호마시티 썬더로 이적하였다. 이적 첫 해부터 백업 선수로서 주로 3점 슛을 넣는 등의 활약을 펼쳤다. 2011-12시즌에는 창설 이후 처음으로 서부 컨퍼런스 챔피언에도 이끌었으나, 친정팀 마이애미 히트와의 결승전에서 1-4로 대패하면서 팀의 첫 타이틀 획득에는 실패했다.

파일:대쿠안 쿡 휴스턴 로케츠 홈 유니폼.jpg
파일:대쿠안 쿡 로켓츠 원정 유니폼.jpg
파일:대쿠안 쿡 시카고 불스 홈 유니폼.jpg
2012년 10월 27일에는 제임스 하든, 콜 알드리치, 라자르 헤이워드와 함께 케빈 마틴, 제레미 램과의 드래프트 교환권으로 휴스턴 로키츠로 트레이드되었지만 기량 부족으로 2013년 1월 2일에 방출되었고, 6일에는 시카고 불스와 계약해 플레이오프 진출에 공헌했다.

3.2. 국외

파일:뷔디베르니크 키예프 시절의 대쿠안 쿡.jpg
파일:월터 튀빙겐 시절의 대쿠안 쿡.jpg
2013년 11월 23일, 우크라이나 수퍼리그의 뷔디베르니크 키예프와 계약을 맺고 처음으로 국외 무대를 밟았지만, 2014년 1월 14일에 방출시켰고, 29일에 독일 분데스리가[2]의 월터 타이거스 튀빙겐과 계약해 시즌 종료까지 활동했다. 이후 프랑스, 포르투갈, 이란에서 각각 1년 동안 활동했다.

파일:Ironi Nes Ziona Daequan Cook.jpg
2017-18시즌에는 이스라엘 프리미어 리그의 이로니 네스 지오나와 계약을 체결해 32경기를 뛰면서 평균 16득점을 기록하는 등을 세웠다. 2018-19시즌에는 12월 9일에 열린 마카비 텔아비브 BC와의 경기에서 2.9초가 남은 상황에서 끝내기 3점 슛을 넣으면서 83-81로 승리를 거두었으며 이후 이스라엘 리그 9라운드 MVP를, 4월 7일에 열린 하포엘 홀론과의 경기에서 커리어 하이 30득점을 넣으며 97-84로 승리하며 이스라엘 리그 25라운드 MVP를 수상했다.

2020-21 시즌에는 하포엘 텔아비브와 계약했지만 코로나 19로 인해 계약은 성사되지 못했고 사실상 현역생활을 마무리지었다.

4. 둘러보기

대쿠안 쿡의 수상 이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래리 버드 래리 버드 래리 버드 데일 엘리스 크레이그 호지스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크레이그 호지스 크레이그 호지스 마크 프라이스 마크 프라이스 글렌 라이스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팀 레글러 스티브 커 제프 호나섹 (NBA 파업) 제프 호나섹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레이 앨런 페자 스토야코비치 페자 스토야코비치 보숀 레너드 퀸튼 리차드슨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덕 노비츠키 제이슨 카포노 제이슨 카포노 대쿠안 쿡 폴 피어스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제임스 존스 케빈 러브 카이리 어빙 마르코 벨리넬리 스테판 커리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클레이 탐슨 에릭 고든 데빈 부커 조 해리스 버디 힐드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스테판 커리 칼앤서니 타운스 데미안 릴라드 데미안 릴라드 타일러 히로 }}}}}}}}}}}}

{{{#fff [[마이애미 히트|마이애미 히트]] 등번호 14번}}}
앤서니 메이슨
(2000~2001)
대쿠안 쿡
(2007~2010)
테렐 해리스
(2011~2013)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등번호 14번
숀 리빙스턴
(2009)
대쿠안 쿡
(2010~2012)
레지 윌리엄스
(2014)
휴스턴 로키츠 등번호 14번
칼 랜드리
(2007~2010)
대쿠안 쿡
(2012~2013)
팀 알브레히트
(2013)
시카고 불스 등번호 14번
크레이그 호지스
(1988~1992)
대쿠안 쿡
(2013)
D.J. 어거스틴
(2013~2014)
}}} ||
[1] 직후 곧바로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로 트레이드 되었다.[2] Basketball Bundesliga. 우리가 아는 그 축구 리그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