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00:35:37

달동네(드라마)


{{{#!wiki style="color:#FFF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1972~1980
파일:여로 로고.png
(1972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lack; font-size: .8em;"
어떤 여자
(1979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lack; font-size: .8em;"
흐르지 않는 강
(1979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lack; font-size: .8em;"
비극의 강
(1979~198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lack; font-size: .8em;"
벼랑위의 사람들
(1980)
계절풍
(1980~1981)
파일:달동내 로고.png
(1980~198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lack; font-size: .8em;"
}}}}}}}}}}}} ||
TBC 매일 연속극 · KBS 1TV 일일 연속극
달동네 (1980~1981)
파일:달동네(드라마).pn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장르 드라마
방송 기간 1980년 10월 1일~1981년 9월 5일
방송 횟수 269부작
제작 동양방송한국방송공사
채널 TBC TVKBS 1TV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연출 김재형
극본 나연숙
미술 장종선
출연 이낙훈, 강부자, 김세윤, 노주현, 백찬기, 이미숙, 장미희, 김영기, 추송웅, 안옥희, 서승현, 연규진, 김을동, 조옥희, 구충서, 김형자, 김종결, 최헌철, 차화연, 김민희, 김소유, 이동진, 최란, 송창신, 윤초희, 반문섭, 김하림, 박영목, 김일란, 이계영, 전광렬, 이기선

1. 개요2. 등장인물

1. 개요

제41회
(1980년 11월 11일 방영)

1980년 10월 1일부터 1981년 9월 5일까지 방영된 동양방송(현 JTBC)→KBS 1TV의 일일연속극이자 동양방송의 마지막 일일연속극.[1]

첫 방송부터 언론통폐합 전까지는 동양방송에서, 그 다음날부터 종영까지는 KBS 1TV에서 방영되었는데, 평균 시청률 60%까지 육박하면서 방영 내내 주간 시청률 전체 1,2위를 기록할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이 드라마가 방영되기 이전이던 1979년에 테마드라마로 방영했었는데, 반응이 좋자 일일연속극으로 준비해 방영한 것으로 동양방송 시절에 흑백으로 방영되다가 KBS 1TV에서 방영된 이후부터 컬러로 방영했다.[2]

KBS 영상자료실에 동양방송 방송분인 41회, 42회 2편 밖에 없으며[3] 다른 회차들은 자료가 대다수 유실되었다. 그 당시에는 비디오 테이프들이 비싸서 비디오 테이프들이 재사용된 시기이었다.

주제가는 길옥윤 선생이 작곡했으며 가수 미애[4]가 불렀다.

2. 등장인물


[1] TBC 방영 시에는 매일연속극이라는 이름으로 방영되었다.[2] 사실 동양방송 시절에도 일부회차가 컬러로 제작되었다.[3] 다만 동양방송의 정신적인 후신인 JTBC에서는 57회를 보관하여 개국당시 'TBC추억여행'이라는 프로를 통하여 재방영해준적이 있었다.[4] 1956년생으로 제1회 TBC 신인가요제의 그랑프리를 차지하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이 작품의 히트로 1집 앨범인 '송지호 연가'를 내었으나 크게 뜨지 못하고 사라지고 말았다. 여담으로 이때 당시 두글자 예명을 가진 가수들과 경쟁을 벌였는데 미애 본인을 포함해서 '미희(못다 이룬 사랑)', '방미(날 보러 와요)', '나미(영원한 친구)', '현숙(정말로)'이 그녀의 데뷔 동기 이기도 하다. 참고로 혼성그룹 철이와 미애의 멤버인 미애와는 전혀 다른 사람이다.[5] 사실상 이 드라마가 낳은 최고의 스타 중 한 명이다. 이 당시 웬만한 슈퍼스타가 아니고서는 발매하기 어려웠던 크리스마스 캐럴송 음반을 드라마 배역 '똑순이'의 명칭을 따서 냈을 정도였다. 다만 다수의 아역배우 출신 연기자들이 겪는 것처럼 이 당시 똑순이의 이미지가 너무 깊이 남은 나머지 성인 연기자가 되고 나서도 똑순이라는 이름이 또 등장하면서 본인 스스로 손해 아닌 손해를 봐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