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만 강 전투 Bitwa nad Niemnem[폴] Сражение на Немане[러] Бітва на Нёмане[벨] | |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의 일부 | |
1920년 9월 20일 ~ 26일 | |
장소 | |
폴란드 그로드노 인근 네만강[4] | |
교전국 | |
[[틀:깃발|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 ]][[틀:깃발| ]][[폴란드 제2공화국|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 ]] | ]][[틀:깃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지휘관 |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에드바르트 리츠시미그위| ]] [[틀:깃발| ]][[틀:깃발| ]][[레오나르트 스키에르스키| ]] [[스타니스와프 부와크바와호비치|]] 스타니슬라우 불라크발라호비치 | ]][[틀:깃발|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니콜라이 솔로구브| ]] [[틀:깃발| ]][[틀:깃발| ]][[아우구스트 코르크| ]] [[틀:깃발| ]][[틀:깃발| ]][[알렉산드르 시바예프| ]] [[틀:깃발| ]][[틀:깃발| ]][[블라디미르 라자레비치| ]] | ]][[틀:깃발| ]][[미하일 투하쳅스키| ]]
전력 | |
9만 6300명[5]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리투아니아군| ]] 7 ~ 8천 명 | ]][[틀:깃발| ]][[틀:깃발| ]] 9만 5천 ~ 10만 명
피해규모 | |
7천 명 사상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포로 4만 명 [[틀:깃발| ]][[틀:깃발| ]][[리투아니아군| ]] 사상자 미상 [[틀:깃발| ]][[틀:깃발| ]][[리투아니아군| ]] 포로 1700-2000명 | ]][[틀:깃발| ]][[틀:깃발| ]] 사상자 미상
결과 | |
폴란드의 승리 |
[clearfix]
1. 개요
1920년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폴란드 네만 강변에서 벌어진 폴란드 제2공화국과 소비에트 러시아 간의 전투.[6]폴란드 측의 대승으로 끝났으며, 이 전투에서 완패한 러시아는 서방 진출을 단념하고 휴전 협상에 임하였다. 바르샤바 전투 때문에 이미 폴란드 쪽으로 확연히 기운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의 추를 더욱 폴란드 쪽으로 끌어당겼다고 볼 수 있는 전투이다.
2. 배경
투하쳅스키가 이끄는 서부전선군은 바르샤바 전투로 소멸했다. 방어에 급급하던 폴란드는 전면적인 공세로 전환하여 그동안 소비에트 러시아가 점령한 지역들을 하나하나 탈환했다. 그러나 아직 승리가 가능하다고 생각한 투하쳅스키는 병력을 재건하고 새로운 공세를 계획했다. 바이마르 공화국도 동프로이센을 통해 월경 후 억류된 붉은 군대 장병들을 그대로 석방하여 도움을 주었다. 9월 1일 서부전선군은 병력 7만 3천에 대포 220문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 러시아 본토에서 계속 지원병력이 도착하여 네만강 전투가 벌어질 즈음에는 9만 명 이상으로 불어났다.한편 멸망 직전에 몰렸다가 기사회생한 폴란드는 총 반격을 개시했다. 피우수트스키는 바르샤바 전투의 승리에서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그와 비슷한 대승을 한 번 더 거둘 필요가 있음을 자각했다. 9월 당시 폴란드의 각 사단과 여단들은 장비는 부족했지만 경험많은 장교들이 통솔하고 있었다. 여기에 매주 전선에 새로운 부대가 배치되어 병력이 늘어났다. 투하쳅스키의 각 부대는 명목 병력의 20-40%밖에 충원하지 못했지만 폴란드군은 50-60%에 달했다. 폴란드군은 화력도 압도적이었다. 서부전선군을 상대로 배치된 폴란드 2군과 4군의 대포는 총 432문으로 붉은 군대의 2배에 달했다. 전투 직전 붉은 군대의 화력이 근소하게 우세했던 바르샤바 전투와 처지가 뒤바뀐 것이다.
3. 작전 계획
투하쳅스키의 작전 계획은 서부전선군 예하 4개 군(3군, 4군, 15군, 16군) 중 3개를 남쪽으로 기동하여 브레스트 요새와 비아위스토크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최종 목표는 루블린이었다.피우수트스키는 네만 강변의 붉은 군대 방어선이 강력해지기 전에 공격을 걸어 무너뜨려 일체의 반격 시도를 차단하는 것이 목표였다. 9월 10일 피우수트스키는 2군 소속 보병사단 2개가 중포병대의 지원을 받아 그로드노와 보우코비스크(Wołkowysk)[7] 방면으로 공격하여 적의 주력부대를 묶어놓는 사이, 기동집단(Grupa Manewrowa)로 편성된 2군의 주력이 북쪽으로, 4군이 남쪽으로 우회하여 적군을 포위공격하는 내용의 계획을 짰다.
4. 전투 진행
네만강 전투 진행도 |
또다시 서부전선군이 포위되어 붕괴될 위기에 처하자 26일 투하쳅스키는 서부전선군의 모든 야전군에 후퇴를 명령했다. 서부전선군이 후퇴함에 따라 26일 그로드노는 폴란드군의 손에 넘어갔다. 후퇴 소식을 들은 피우수트스키는 즉시 기동집단에 서부전선군 후방의 리다(Lida)[9]로 진군하라고 명령했다. 리다는 28일 기동집단의 손에 떨어졌지만 도시를 되찾으려는 3군의 반격으로 29일 아침까지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리다와 그 인근에서만 폴란드군은 총 1만의 포로를 잡고 막대한 물자를 노획했다.
남쪽에서도 26일 폴란드-벨라루스인 혼혈의 스타니슬라우 불라크발라호비치[10]가 이끄는 폴란드 기병대[11]가 핀스크(Pińsk)[12]를 점령하여 붉은 군대 4군의 보급선을 끊고 야전군 사령부를 점령했다. 이날 붉은 군대 4군은 사실상 붕괴되었고, 핀스크에서만 5천여 명이 포로로 잡혔다. 폴란드 제4군은 30일 중요한 철도 요충지인 바라노비체(Baranowicze)[13]를 점령하였다. 비록 포위를 완성하진 못했으나 이 시점에서 붉은 군대의 후퇴는 무질서한 패주로 바뀐 지 오래였다. 폴란드군은 북동쪽으로 패주하는 붉은 군대를 뒤쫓아 전과를 확대했다. 10월 14일 폴란드군은 민스크를 점령했다.
5. 결과
네만강 전투에서 폴란드군은 총 4만여 명의 소비에트측 포로를 잡았다. 이로써 폴란드군은 서부전선군을 한번 더 섬멸하여 볼셰비키의 서유럽 진출을 완전히 단념시켰다. 1921년 3월 폴란드와 볼셰비키 양측은 리가 조약을 체결하여 폴란드의 우세로 전쟁을 종결지었다.폴란드군은 이 전투에서 붉은 군대뿐만 아니라 리투아니아군과도 싸웠다. 리투아니아는 이전부터 수바우키(Suwałki) 지방을 두고 폴란드와 영토분쟁을 빚었는데, 1920년 여름 폴란드군이 붉은 군대의 공세에 밀리면서 분쟁지에서 후퇴하자 이 지방을 차지하고 병력을 배치했다. 그러나 바르샤바 전투에서 승리한 폴란드군은 다시 동북쪽으로 진격했고, 붉은 군대의 우익을 우회하여 후방으로 진출할 목적으로 리투아니아의 점령지를 지났다. 그 결과 폴란드군과 리투아니아군 사이의 세이니 전투(Battle of Sejny)가 벌어졌고, 이 전투에서 붙잡힌 리투아니아군 포로만 1,700-2,000명에 달했다.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분쟁은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를 폴란드가 점령하고 괴뢰국을 세웠다가 얼마 후 병합하는 최악의 방식으로 끝나버렸다.
[폴] 폴란드어. "니에멘 강 전투".[러] 러시아어. "네만 강 전투"[벨] 벨라루스어. "뇨만 강 전투"[4] Neman. 벨라루스 서부에서 발원하여 쿠로니아 모래톱으로 빠져나가는 국제하천. 네만강은 러시아어 지명이고, 폴란드어로는 니에멘강(Niemen), 벨라루스어로는 뇨만강(Нёман)이라고 한다.[5] 제2군 4만 4000명, 제3군 2만 3000명, 예비대 3만 명[6] 북쪽에서는 폴란드군과 리투아니아군 사이에서 전투가 벌어졌다.[7] 현 벨라루스 바우카비스크(Vaŭkavysk).[8] 현 리투아니아 드루스키닝카이(Druskininkai).[9] 현 벨라루스 서부 리다(Lida).[10] Станіслаў Булак-Балаховіч. 폴란드식 이름은 스타니스와프 부와크바와호비치(Stanisław Bułak-Bałachowicz). 원래 붉은 군대에 자원해 독일군과 싸웠으나 전향 후 니콜라이 유데니치의 북서군에 합류했다. 1920년 1월 22일 유데니치가 항전을 포기하고 북서군을 해체하자 엿새 후 그를 체포하고 유데니치가 소지하던 거액의 자금을 북서군 장병들에게 마지막 봉급으로 뿌려 인기를 얻은 바 있다. 이후 장거리를 달려 의용군을 모집 후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의 폴란드측 진영에 가담했다.[11] 이 기병대는 레오나르트 스키에르스키(Leonard Skierski)가 이끄는 폴란드 제4군이 아니라 브와디스와프 시코르스키의 폴란드 제3군 소속이었다. 붉은 군대 탈주병과 러시아인 및 벨라루스인 자원병으로 구성되었다.[12] 현 벨라루스 서부 핀스크(Pinsk).[13] 현 벨라루스 서부 바라나비치(Baranavič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