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LCK 중계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1c192B,#1c192B><colcolor=white> 진행 | 전용준 | 성승헌 | ||
해설 | 고수진 | 이채환 | 이현우 | 임주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분석위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9년 | 2020년 |
하광석 · 강형우 · 홍민기 · 현수환[1] | 하광석 · 김배인 · 남태유 · 허원석[2] | |
2021년 | 2022년 | |
하광석 · 강범현 · 이서행 · 신정현[3] | 하광석 · 강범현 · 남태유 · 이서행[4] · 정민성[5] | |
<rowcolor=#fff> 2023년 · 2024년 | 2025년 | |
강형우 · 고수진 · 신동진 · 임주완 | 고수진 · 신동진 · 임주완 · 이채환 · 이현우[6] | |
<colbgcolor=#ffffff,#1f2023> [1] 2019 서머 플레이오프부터 합류. [2] 2020 서머에 합류. [3] 2021 서머에 합류. [4] 2022 스프링 시즌까지만 진행. [5] 2022 서머부터 합류. [6] 2025 LCK 컵 플레이인부터 합류. |
<colbgcolor=#1C192B><colcolor=#fff>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 |
<nopad> | |
Ggoggo 고수진 (Go Su-jin) | |
출생 | 1990년 3월 15일 ([age(1990-03-15)]세) |
국적 |
|
가족 | 배우자 박소현(2025년 12월 14일 결혼 예정) |
출신지 | 충청북도 제천시 |
시즌별 티어 |
|
ID | 꼬꼬갓 계정 목록 # |
포지션 | 바텀 |
소속 팀 | MiG Blitz (2013.06.03 ~ 2013.09.11) Invengers (2014.03.03 ~ 2014.05.30) |
플랫폼 |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 해설자. 선수 시절 포지션은 바텀 라이너.아이디의 유래는 군대에서 자주먹었던 치킨집 이름이 '꼬꼬머꼬'여서 꼬꼬갓이라는 닉네임을 짓게 되었다고 한다.[2]
2. 선수 경력
학창 시절 당시 모범생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프로게이머에 도전한다고 했을 때 집안의 반대가 굉장히 심했다고.그래도 한달 동안 열심히 설득해서 1년이라는 시간을 얻게 되고 장건웅이 만든 MiG 2기팀 중 MiG 블리츠의 원거리 딜러로 LCK 서머 2013에 출전하였지만 별다른 성적을 거두지 못한 뒤[3] 그대로 팀이 해체되었고 이후 인벤 방송국 등에 얼굴을 비추며 인터넷 방송인 및 해설가로 전향하게 되었다. 당시 선수 생활을 빠르게 마무리한 이유는, 데프트를 상대했는데 다시 태어나도 못 이길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프로게이머의 길은 접었다고.
3. 방송인 경력
2014년 초반에 인벤방송국의 알바생 비슷한 형식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더불어 인벤의 LOL팀인 인벤져스의 에이스이자 AD캐리. 탑 레디다, 정글 라오칭, 미드 네클릿, 서포터 0903, 코치 놀자가 팀 멤버이며 롤챔스 스프링 2014 예선에서 제닉스 스톰을 만나 2대 0으로 지고 NLB 16강에 진출하였다.하지만 4월 8일 인벤저스 1기 마지막 방송 이후로 방송에 출연하지 않게 되었고 인벤져스에서 탈퇴하면서 인벤 방송국에 더이상 고정적으로 출연하지 않게 되었다. 네클릿에 의하면 자신의 개인방송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하며 결국 하차가 확실시 됐다.
2020년부터 아프리카TV에서 트위치로 방송플랫폼을 이전하였고, 3월 1일부터 DRX와 Griffin의 경기 중계로 LCK 개인방송 해설을 시작하였다.
2024년 3월 5일부터 치지직으로 방송 플랫폼을 옮겼다.
3.1. 해설
2016년까지 LPL 한국 해설, 아프리카TV 레이디스 배틀 해설을 했고, 2017년부터는 챌린저스 코리아의 해설로 활동하고 있다.2018년 4월 15일, 김재원의 후임으로 전용준 캐스터, 김정민와 함께 PUBG SURVIVAL SERIES 2018 Season 1 해설위원으로 투입됐다.
2019년에는 PKL을 아프리카TV가 단독중계하면서 OGN이 맡은 2부리그인 PUBG Korea Contenders 해설위원을 담당하게 됐다.
2020년 트위치로 이적한 이후부터 트위치 공식 방송인 트위치 버서스의 해설을 맡고 있다.
2020년 12월 21일부터 2020 LoL KeSPA Cup ULSAN의 해설로 참여하였다. 그러나 편파적이고 챔피언을 영웅이라 언급하는 등 평가가 좋지 않았다. 하지만 대회 중반부로 넘어가며 새로 투입된 이동진 캐스터와 호흡을 맞춰가며 안정된 해설을 보여주었다. 특히 결승전 2세트에선 농심 원딜러 덕담의 카이사가 궁으로 날아가는 순간 담원 서포터 베릴이 탈진을 시전한걸 정확히 캐치해내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2021년 1월 11일에는 LCK의 2군 리그인 LCK CL의 해설가로 영입되었다. 영입 후 부동의 챌린저스 해설로서 활약하며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21년 6월부터 전임자 정노철을 대신해, 윤수빈 아나운서와 함께 LCK 위클리 코멘터리 S2의 진행을 맡고 있다. #
김블루 배린이 챔피언스 리그에 해설로 참가했다.
2022년 2월 26일, 「Pokémon UNITE 챔피언십 시리즈 코리아」 2월 컵 결승 토너먼트를 시작으로 포켓몬 유나이트 대회의 해설에도 참가하고 있다. # 2024년 아시아 챔피언스 리그 해설도 진행 중이다. #
2022년 10월 9일, 2022 월즈 그룹 스테이지 2일차에 객원 해설로 참여했다. 선수 경력과 LCK CL을 위시한 각종 대회에서 쌓아온 긴 해설 경력 덕분에 게임을 보는 시야가 매우 좋은 편이고, 준수한 발성 덕분에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또한 DK vs JDG의 밴픽 단계에서는 주류픽이 아닌 그라가스의 밴을 정확히 예측하기도 하였으며, 이러한 활약으로 앞으로 객원 해설로 자주 보고 싶다는 반응부터 2023년부터 공석이 많아지는 LCK 정규 해설로 영입해야 한다는 반응도 적지 않은 편이다.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LOCK//IN São Paulo에 해설로 참가했다.[4]
3.1.1. LCK
2023년 1월 5일, 2023 LCK 스프링 시즌부터 LCK 해설로 합류하였다. 1월 19일 스프링 1주차에 분석데스크로 모습을 드러냈는데, 임주완 해설의 건강 문제로 윤수빈 아나운서와 분석데스크를 진행하고, 윤수빈이 인터뷰를 위해 경기장으로 이동하면 혼자 분석데스크를 진행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주로 분석데스크에 자주 출연하고 경기 중계는 주 1회 소화하는 중. 2023 스프링 기준으로 김동준, 강승현, 하광석 등의 경력자들이 대거 이탈한 LCK 해설진 중에선 이현우 해설 다음으로 긴 해설 경력을 보유중이라 진행이 중요한 분석데스크에 주로 기용되는 편[5]. 아나운서 학원에 잠깐 다녀 웬만한 캐스터 이상으로 좋은 목소리 톤에 발성도 좋아 샤우팅도 준수하고, 오랜 경력 덕에 말을 더듬는 모습이 거의 나오지 않고 멘트도 깔끔해 전달력도 좋은 평을 받고 있다. 상당히 좋은 동체 시력을 보유하고 있어 시청자들이나 타 중계진들이 놓치는 선수들의 플레이 디테일을 잘 포착한다. 스킬 콤보를 변칙적으로 사용하거나 선수가 상대방의 노림수에 왜 반응을 못했는지 같은 정보들을 디테일하게 풀어서 설명해준다.
특히나 해설 내용에서 호평 받는 점은 바텀 디테일. 본 포지션이 원딜이기도 하다보니 이현우, 정노철 해설이 정글 출신이라 전체적인 게임 운영, 구도 전달에 능하다면, 꼬꼬갓은 바텀 라인전 구도를 디테일하게 예상하고 교전에서의 핵심 포인트를 강조하는 편. 예를 들어, 'A보다는 B가 라인전이 좋다'처럼 간단히 언급하는 것보단 이즈리얼-렐과 루시안-라칸 구도면 이즈리얼이 루시안에 비해 라인전에서 밀리지만 렐이 라칸보다는 라인전에서 강하기에 2대2 구도에서는 서로 할만하지만 서포터가 로밍을 간다면 루시안이 라인을 박아놓고 먼저 움직일 수 있다는 식으로 라인전 구도를 풀어서 설명한다. 또한 이즈리얼의 정수의 흐름(W) 투사체가 적중하기 전에 비전 이동(E) 스킬을 시전하면 구체가 폭발하지 않아 마나를 돌려받을 수 없다거나[6] 패시브 상태의 죽은 사이온이 포탑에 가하는 피해량은 60% 감소한다는 등 챔피언의 스킬과 패시브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반면 바텀 라인 구도가 아닌 다른 포지션이나, 패치/메타에 대한 해석 및 경기 구도 예상에서는 아쉬움이 살짝 있는 편. 특히 똑같이 원딜출신인 '프린스' 이채환 해설이 합류하면서 꼬꼬-프린스 조합이 나오면 2원딜 조합이 되는데, 프린스도 똑같이 '숟' 이슈가 있다보니 이 때는 인게임을 잘못 해설하여 문제로 지적받는 일이 잦아졌다. 예를 들어, 오리아나가 25.09 패치에서 Q의 마나 소모량이 30/35/40/45/50에서 35로 고정되는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이를 3분 30초 경 라인전 버프를 받은 4레벨 오리아나가 라이즈를 잘 견제했다고 평하거나[7], LCK컵 플레이오프 1라운드 2경기에서 5세트 제우스가 올라프를 잡았을 때 올라프의 유통기한을 강조했으나 결과적으로 T1 조합이 올라프를 막아낼 힘이 없어 올라프의 극후반 활약으로 한화생명이 승리하게 되었다. [8]
또한 제일 혹평받는 부분은 다름아닌 호들갑떠는 해설 스타일 때문이다. 한국 해설들이 전반적으로 클템의 영향때문에 호들갑 떠는 스타일이 조금씩은 장착되어있는 편이긴한데, 꼬꼬는 유독 심하다. 정확히 말하면 샤우팅을 지를 타이밍과 안 지를 타이밍의 구분이 희미해서, 중요한 부분에서 소리 지르는거면 딱히 거슬리지 않을텐데 별로 소리 지르지 않아도 되는 장면에서 "으아아아!!" 하면서 소리를 질러대는 스타일이라 싫어하는 사람은 '꼬들갑'이라고 부르며 질색하는 편.
2024 MSI 결승전 중계진으로 낙점되어 처음으로 공식 대회 결승전 중계를 하게 되었다.
2025년에도 여전히 중계진에서 맹활약하는 중이긴 한데, 2025년 8월 15일 광복절때 상당히 목이 맛이 간 상태로 등장하더니 경기가 진행될수록 목이 쉬어버리는게 눈에 띌 정도로 발성 문제와 컨디션 난조가 심했다. 성대결절이 의심되며, 노페 하차 이후 들어온 프린스가 있다고는 해도 기존 해설진들이 사정없이 갈리고 있기에 제발 해설진 좀 늘리라는 팬들의 성화가 잦다.[9] 다행히 2025 LCK 결승부터 노페가 다시 해설진으로 합류하여 컨디션 관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4. 여담
- 현역 시절 직관을 왔던 팬들 중 플래카드에 "얼굴로 이긴다" 라는 응원글이 있을 정도로 실제로 출중한 외모와 게임 실력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실제로 아프리카TV에서 열렸던 '멸망전 올스타전'에서 꼬꼬갓 얼굴이 카메라에 비춰질때, 잘생겼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었다. 그리고 LCK 해설자로 전향한 뒤에도 중계석이나 분석데스크에서 비쳐지면 외모에 대한 반응이 자주 나온다. 그의 프로필 사진을 두고 '면접 프리패스 상이다', '면접 경쟁자로 만나면 망한다'라는 드립이 이슈를 타기도 했다. #
- 리그 오브 레전드를 처음으로 접한 시기는 군대에 있을 때라고 한다.
- 2024년 기준으로 개인방송 및 LCK 해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활동하고 있다. 30대의 나이에도 원딜로 마스터 티어를 유지하는 등 괜찮은 실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개인방송 시청자가 많지 않아 채팅창으로 질문을 하면 친절하게 잘 받아준다.
- 걸그룹 프로미스나인의 열렬한 팬이다. 데뷔 이후부터 계속해서 팬심을 밝혀왔으며, 한화생명 롤 팀의 유튜브 컨텐츠인 "이덕후"에 출연하게 되면서 팬심이 결실을 맺기도 했다.
- 람머스 원딜 장인으로 테스터훈 장인초대석에 출연했다.# 본인 스스로도 '날먹' 챔피언을 좋아하는데, 베릴 선수가 기용해서 화제를 모았던 서폿 하이머딩거도 사실 2~3년 전부터 솔로랭크에서
욕 먹어 가면서하고 있었다고. - MiG에서 현역에서 뛰던 시절, 여타 다른 2기 MiG 선수들처럼 큰 족적은 남기지 못했지만 준수한 외모에 힘입어 본인의 데뷔 시즌인 2013 서머에서는 무려 단독 정면샷으로 출연했다. # 전설이 된 그 페이커의 주먹쥐기 직전에 출연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당시 스타리그의 잔재가 많이 남아있던 OGN의 열렬한 띄워주기의 주인공이 될 기미가 보였지만 아쉽게도 성과는 나지 못했고, MiG가 해체되며 데뷔 시즌이자 사실상 롤챔스 은퇴 시즌이 되고 만다. 그 뒤로 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다른 은퇴선수들과 달리 계속 롤을 놓지 않으면서 선출임에도 오랜 경력의 인터넷 스트리밍 경력을 살려 방송인으로서 뒤늦게 빛을 보는 중.
-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분석데스크에서 배혜지 아나운서의 말실수로 인해 일시적으로 꼬꼬무로 소개되었다. 본인은 '꼬꼬무입니다' 라고 재치 있게 반응하면서 한동안 채팅창 등에서 꼬꼬무로 불렸다.
-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을 우승한 T1 덕분에 YTN에 출연해 인터뷰를 했는데 앵커들을 포함해 관련지식이 없는 사람들에게 잘 풀어 설명하였다.# 전날 술을 먹었는데, 배혜지 아나운서가 추천해서 가게 됐다고.
- 인터뷰에 따르면 게임 외적으론 인터넷 검색, 옷 구입을 좋아하고 운동을 1순위로 하기에 큰게 올 거라고 자신하는 분위기라고...#
- MSI 2024 결승전에서 LCK의 승리에 취해 전용준 캐스터와 합세해
찢었다…갑분 젠지 티셔츠를 보여주며 퍼포먼스를 펼쳤다.어흥하면서 현타온건 덤...팬들은 점점 쓰레기화, 헐크 호건이 왔냐고 하더라... - 2024년 6월 8일, OGN에서 진행한 'Game Not Over Day1 티모부대 vs 하오골레비앝탄'에 출연했다. #
- 롤파크에 직관을 온 팬들에게 도전 롤든벨이라는 퀴즈를 진행하고 있다.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업로드되고 있다.
- 캬하하 헬퍼사건 당시 "헬퍼가 아니라면 내 롤계정을 삭제하겠다."라는 공약을 걸었다.결국 직접 만나서 사과했고 삭제 하려고 했으나 캬하하의 만류로 하진 않았다. 추가로 사과 당시 선물 보따리를 가지고 왔다고 한다.
- 유튜버 김데데의 영상에서 김데데 정글 플레이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채팅을 치는 모습을 보였다. #
- 2025년 9월 3일, 스포티비뉴스 단독 보도로 KBS 아나운서 박소현과의 결혼 소식이 전해졌다.# 배혜지의 소개로 만나 교제를 시작했으며#, 2년 동안 교제를 이어왔다고 한다. 당시 꼬꼬는 긴장한 나머지 자리에서 말이 거의 없었고, 헬리오스는 술을 엄청 마셔댔다고(...). 당시 박소현과 꼬꼬는 가장 멀리 떨어져 앉아 있었다고 했다.
- 마침 결혼 사실이 발표된 당일, 2025 LCK 플레이-인 1라운드 1경기 해설로 들어갔던 터라 LCK 측에서 축하 슬라이드를 관전 포인트 맨앞에 배치하여 송출하였으며, "소현아, 사랑해. 내가 잘할게."라며 영상 편지를 보냈다. 이를 본 관객들은 보자마자 일제히 비명을 질렀고, 전용준 캐스터는 닭살 돋은 표정으로 "시키지 말 걸."이라는 멘트를 쳤고, 이현우 해설위원은 "비상!" 콜을 했다.
빅라 자이라 랜덤픽을 뛰어넘어 최단기 비상 갱신그리고 채팅창은 특검하라로 도배되었다그리고 다음 날, 분석데스크에 출현하자마자 역대 최악의 해설러라는 자막이 붙어서 나왔다(...)그리고 이 날 아나운서는 하필 둘을 이어지게 해준 배디디였다옆에 있던 헬리오스는 기대 중을 외치면서 배디디, 해줘를 외쳤다. 한편 강성규, 조항리 아나운서는 자기들의 게임 메이트가 장가를 가는 데 대해 아쉬움(?)을 보였다. - 결혼소식이 발표되자마자 9월 4일 치지직 개인방송에서 박소현 아나운서의 유튜브 영상을 봤는데, 졸지에 본인의 최애 영상인 박소현, 강성규 아나운서의 내 귀에 캔디를 봐버렸다(...). 또한 집안에서 시청률 경쟁(?)을 하는지 MBC에서 자기가 하는 LCK 결승전과 KBS 1TV에서 아내가 하는 열린음악회가 겹치자 그냥 자기 걸 보라고 농담을 했는데, 결국 아내도 LCK 결승 당일에는 MBC로 관전을 했다.
그리고 4세트에서 끝나서 열린음악회 본방사수를 성공... - MBC 해설 시에는 시청자들에게 리그 오브 레전드 규칙을 알기 쉽게 전달하고, 성승헌 캐스터, 정노철 해설과 함께 중계 차력쇼를 선보여 호평을 받았다. 다만 그도 '캐리'란 단어는 순화하지 못했다고 개인방송에서 밝혔다.
[1] 송출 중단[2] 결혼 소식이 알려진 이후 개인방송에서 밝힌 바로 따르면, 본인도 12년 전으로 돌아가면 닉네임을 제우스나 룰러 같이 멋있는 것으로 지었을 것이며, 최소한 갓은 뺐을거라며 닉네임은 신중하게 지으라고 엄청나게 후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3] 예선 포함 세트 전적 4승 5패, 당시 팀 미드라이너가 'Pawn' 허원석이었다.[4] 발로란트에 조금 관심이 있었는데 해설로 참가하게 되어서 좋다고 한다...[5] 여성 아나운서들이 인터뷰를 위해 마지막 세트 이후 중간에 자리를 비우기 때문에 진행 능력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 빛돌이 분석데스크 터줏대감이었던 이유도 이 때문이다.[6] #[7] #[8] 사실 올라프가 프로 경기에서는 극후반 단계에 가는 경우가 잘 없기도 하고, 대부분 강한 라인전을 위해 뽑는 챔피언이다보니 같은 원딜 출신인 프린스 해설이나 중계하던 울프는 올라프가 썩었다고 말했지만, 탑 출신인 강퀴와 칸은 올라프가 T1 조합 때문에 후반에 힘이 남아있다고 평했다.[9] 애초에 프린스가 해설로 합류하긴 했어도 분석데스크에서 캡틴잭이 하차하면서 인력 자체가 1명 줄어든 상황이고, 클템을 제외한 해설 3명 모두 분석데스크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인력 부족의 여파를 정면으로 얻어맞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