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3 15:12:04

그때처럼 우리가 살고 있는가




[대한민국 국가보안법 제7조(찬양·고무등) 여닫기]
국가보안법 제7조(찬양·고무등) ① 국가의 존립·안전이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태롭게 한다는 점을 알면서 반국가단체나 그 구성원 또는 그 지령을 받은 자의 활동을 찬양·고무·선전 또는 이에 동조하거나 국가변란을 선전·선동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개정 1991·5·31>
② 삭제  <1991·5·31>
③ 제1항의 행위를 목적으로 하는 단체를 구성하거나 이에 가입한 자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개정 1991·5·31>
④ 제3항에 규정된 단체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질서의 혼란을 조성할 우려가 있는 사항에 관하여 허위사실을 날조하거나 유포한 자는 2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개정 1991·5·31>
⑤ 제1항·제3항 또는 제4항의 행위를 할 목적으로 문서·도화 기타의 표현물을 제작·수입·복사·소지·운반·반포·판매 또는 취득한 자는 그 각항에 정한 형에 처한다.  <개정 1991·5·31>
⑥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의 미수범은 처벌한다.  <개정 1991·5·31>
⑦ 제3항의 죄를 범할 목적으로 예비 또는 음모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1. 개요2. 상세3. 영상4. 가사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그때처럼 우리가 살고 있는가(영어 : Are We Living Like in Those Days?)는 1992년에 발표된 북한의 선전가요이다. 보천보전자악단리종오 작사 리정술 작곡이다.

2. 상세

여느 북한노래가 대부분 그렇듯 이 노래도 북한 정권을 찬양하는 선전가요이나 다른 노래와는 다르다. 김씨일가의 찬양보다는 6.25 전쟁에 참여했던 인민군의 회상으로 시작해 현재까지로의 흐름으로 다만 조선로동당을 찬양하는게 가사인 것이 특징이다.

3. 영상


[1][2]

4. 가사

원문 표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의미 단위로 띄어쓰는 북한식 맞춤법을 적용하였다.
내 젊은 시절 추억도 많은 사진첩을 펼칠때면
전화의 그날 옛 전우들이 나를 보고 물어보네
그때처럼 우리가 살고 있는가
그때처럼 우리가 살고 있는가
락동강을 넘으며 더운 피를 뿌리던
그때 그 나날처럼

잊을수 없는 색날은[3] 사진 한장 두장 번질[4]때면
빈터우에서 첫삽을 뜨던 전우들이 나를 보네
그때 일을 우리가 어이 잊으랴
그때 일을 우리가 어이 잊으랴
허리띠를 조이며 혁명가를 부르던
그때 그 나날들을

세월은 흘러 젊은 시절의 그 모습은 변했어도
어머니 당을 따르는 마음 청춘으로 남아있네
그때처럼 영원히 우리 살리라
그때처럼 영원히 우리 살리라
굳게 다진 그 맹세 심장으로 지키던
그때 그 나날처럼

5. 여담

이 노래의 기타반주 부분이 영화 공작의 흑금성과 리명운의 간부 파티자리에서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영어권 웹에서 'juchewave'라는 밈으로 소비되는 음악이기도 하다. #

6. 관련 문서


[1] 이적표현물이어서 가사 없이 반주만 하는 영상으로 게재함[2] 왕재산경음악단일렉 기타 연주자인 김영란이 연주한 영상.[3] '색이 날아갔다'는 표현으로, 빛이 바랬다는 등의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북한말. '색낡은'이라는 버전도 있다.[4] 종이, 다른 물건 등을 넘긴다는 의미로 쓰인 말로,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준어로 실려 있지만 다소 고어투의 표현을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