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9:44:03

관내도(당)


당나라의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관 10도 (627년 ~ 733년)
관내도 하남도 하동도 하북도 농우도
산남도 검남도 회남도 강남도 영남도
개원 15도(733년 ~ 907년)
관내도 도기 하남도 경기 하동도
하북도 농우도 산남동도 산남서도 검남도
회남도 강남동도 강남서도 검중도 영남도 }}}}}}}}}

1. 개요2. 하위 행정구역
2.1. 서경경조부(西京京兆府)2.2. 화주(華州)2.3. 동주(同州)2.4. 방주(坊州)2.5. 단주(丹州)2.6. 봉상부(鳳翔府)2.7. 빈주(邠州)2.8. 경주(涇州)2.9. 농주(隴州)2.10. 영주(寧州)2.11. 원주(原州)2.12. 경주(慶州)2.13. 부주(鄜州)2.14. 연주(延州)2.15. 수주(綏州)2.16. 은주(銀州)2.17. 하주(夏州)2.18. 영주(靈州)2.19. 염주(鹽州)2.20. 풍주(豊州)2.21. 회주(會州)2.22. 유주(宥州)2.23. 승주(勝州)2.24. 인주(麟州)2.25. 안북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

1. 개요

관내도(關內道)는 당나라의 최상위 행정구역인 (道) 중 하나이다. 여기 적힌 정보들은 《구당서》 38권 지리지1과 《신당서》 37권 지리지1의 정보를 기준으로 한다.

2. 하위 행정구역

2.1. 서경경조부(西京京兆府)

옹주(雍州)로 불렸던 지역으로 양제가 즉위한 뒤 대업(大業) 3년(607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경조군(京兆郡)으로 개편되었다. 무덕(武德) 원년(618년) 다시 옹주가 되었으며 천수(天授) 원년(690년) 경조군이 되었다가 다시 옹주로 되돌렸다. 개원(開元) 원년(713년) 경조부로 승격되었으며 천보(天寶) 원년(742년) 서경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2.2. 화주(華州)

의녕(義寧) 원년(617년) 경조군(京兆郡) 정현(鄭縣)과 화음현(華陰縣)에 화산군(華山郡)을 설치했다. 당나라가 들어선 뒤 무덕(武德) 원년(618년) 화주로 개편되었다. 수공(垂拱) 2년(686년) 태주(太州)로 개칭되었다가 신룡(神龍) 원년(705년) 다시 화주로 개칭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화음군(華陰郡)으로 개편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화주가 되었다. 이후 상원(上元) 원년(760년) 686년부터 705년까지 사용했던 명칭인 태주로 개칭되고 화산도 태산(太山)으로 개칭되었다가 보응(寶應) 원년(762년) 다시 화주로 개칭되었다.
    • 정현(鄭縣), 화음현(華陰縣)[1], 하규현(下邽縣)[2]

2.3. 동주(同州)

전신은 빙익군(馮翊郡)으로 북위 때 화주(華州)가 설치되었고 서위 때 동주로 개칭되어 수나라 때까지 이 명칭이 이어졌다가 양제가 즉위한 뒤 대업(大業) 3년(607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다시 빙익군이 되었다.

당나라가 들어선 뒤 무덕(武德) 원년(618년) 동주로 개편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빙익군으로 개편되었고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동주가 되었다.
    • 빙익현(馮翊縣)[3], 합양현(郃陽縣)[4], 백수현(白水縣), 징성현(澄城縣)[5], 한성현(韓城縣)[6], 하양현(夏陽縣)[7], 조읍현(朝邑縣)[8]

2.4. 방주(坊州)

2.5. 단주(丹州)

의녕(義寧) 원년(617년) 연안군(延安郡) 의천현(義川縣)에 단양군(丹陽郡)을 설치했다. 당나라가 들어선 뒤 무덕(武德) 원년(618년) 단주로 개편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함녕군(咸寧郡)으로 개편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단주가 되다.
    • 의천현(義川縣), 분천현(汾川縣), 함녕현(咸寧縣)[9], 운암현(雲岩縣)[10], 문산현(門山縣)[11]

2.6. 봉상부(鳳翔府)

2.7. 빈주(邠州)

의녕(義寧) 2년(618년) 북지군(北地郡) 신평현(新平縣)과 삼수현(三水縣)에 신평군(新平郡)을 설치했다. 당나라가 들어선 뒤 무덕(武德) 원년(618년) 빈주로 개편되었다. 개원(開元) 13년(725년) 빈(豳)이 유(幽)와 글자가 비슷해서 빈(邠)으로 고쳐졌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신평군(新平郡)으로 개편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빈주가 되었다.
    • 신평현(新平縣), 삼수현(三水縣), 영수현(永壽縣)[12], 의록현(宜祿縣)[13]

2.8. 경주(涇州)

경주의 전신은 안정군(安定郡)으로 북위 때 경주가 설치되었으며, 수나라 때까지 이어졌다가 대업(大業) 3년(607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안정군으로 개편되었다. 무덕(武德) 원년(618년) 당나라가 설인고를 토벌한 뒤 다시 경주가 설치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안정군으로 개편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경주가 되었다.
    • 안정현(安定縣), 영태현(靈台縣)[14], 양원현(良原縣), 반원현(潘原縣)[15], 임경현(臨涇縣)[16]

2.9. 농주(隴州)

의녕(義寧) 2년(618년) 견원현(汧源縣)에 농동군(隴東郡)이 설치되었다. 무덕(武德) 원년(618년) 농주로 개편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견양군(汧陽郡)으로 개편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농주가 되었다.
    • 견원현(汧源縣)[17], 견양현(汧陽縣), 남유현(南由縣)[18], 오산현(吳山縣)[19], 화정현(華亭縣)[20]

2.10. 영주(寧州)

2.11. 원주(原州)

2.12. 경주(慶州)

2.13. 부주(鄜州)

2.14. 연주(延州)

2.15. 수주(綏州)

2.16. 은주(銀州)

정관(貞觀) 2년(628년) 양사도를 토벌한 뒤 조음군(雕陰郡) 유림현(儒林縣)에 은주를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은천군(銀川郡)으로 개편되었고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은주가 되었다.
    • 유림현(儒林縣), 무녕현(撫寧縣)[21], 진향현(眞鄉縣)[22], 개광현(開光縣)[23]

2.17. 하주(夏州)

2.18. 영주(靈州)

2.19. 염주(鹽州)

2.20. 풍주(豊州)

수나라 대인 개황(開皇) 5년(585년) 처음 설치되었고 양제가 즉위한 뒤 대업(大業) 3년(607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오원군(五原郡)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태종 정관(貞觀) 4년(630년) 돌궐이 귀순하면서 도독부를 설치하되 현을 두지 않았다. 정관(貞觀) 11년(637년) 영주(靈州)로 통폐합되었다가 정관(貞觀) 23년(649년) 다시 설치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구원군(九原郡)으로 개편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풍주가 되었다.
    • 구원현(九原縣)[24], 영풍현(永豊縣)[25]

2.21. 회주(會州)

2.22. 유주(宥州)

2.23. 승주(勝州)

2.24. 인주(麟州)

개원(開元) 12년(724년) 승주(勝州) 연곡현(連穀縣)과 은성현(銀城縣)을 분할하여 설치했다가 개원(開元) 14년(726년) 폐지한 적이 있었다. 이후 천보(天寶) 원년(742년) 왕충사의 건의에 따라 다시 설치했고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신진군(新秦郡)으로 개편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인주가 되었다.
    • 신진현(新秦縣)[26], 연곡현(連穀縣), 은성현(銀城縣)

2.25. 안북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북도호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수공(垂拱) 2년(686년) 선장현(仙掌縣)으로 개칭되었다. 천수(天授) 2년(691년) 동진현(同津縣)을 설치했다가 장안(長安) 연간에 폐지했다. 신룡(神龍) 원년(705년) 다시 화음현으로 개칭되었다. 상원(上元) 원년(760년) 태음현(太陰縣)으로 개칭되었다가 보응(寶應) 원년(762년) 다시 화음현이 되었다.[2] 본래 동주(同州)의 속현이었으나 수공(垂拱) 원년(686년) 화주의 속현이 되었다.[3] 북위 때 명칭은 화음현(華陰縣)으로 서위 때 무향현(武鄕縣)으로 개칭되었다. 수나라 때 빙익현으로 개칭되었다. 무덕(武德) 9년(626년) 일부를 분할하여 임저현(臨沮縣)을 설치했다가 정관(貞觀) 9년(635년) 폐지했다.[4] 무덕(武德) 3년(620년) 서한주(西韓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정관(貞觀) 8년(634년) 서한주를 폐지하면서 다시 동주의 속현이 되었다.[5] 무덕(武德) 3년(620년) 일부를 분할하여 장녕현(長寧縣)을 설치했다가 정관(貞觀) 8년(634년) 폐지했다.[6] 수나라 대인 개황(開皇) 18년(598년) 신설된 현으로 무덕(武德) 7년(624년) 서한주(西韓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정관(貞觀) 8년(634년) 서한주를 폐지하면서 다시 동주의 속현이 되었다.[7] 무덕(武德) 3년(620년) 합양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하서현(河西縣)을 설치했고 건원(乾元) 3년(760년) 하양현으로 개칭되었다.[8] 무덕(武德) 3년(620년) 일부를 분할하여 하빈현(河濱縣)을 설치했다가 정관(貞觀) 원년(627년) 폐지했다. 건원(乾元) 3년(760년) 하서현(河西縣)으로 개칭되고 하중부(河中府)의 속현이 되었다가 대력(大曆) 5년(770년) 다시 조읍현으로 개칭되어 동주의 속현이 되었다.[9] 치소는 백수천(白水川)에 있었다가 경룡(景龍) 2년(708년) 장송천(長松川)으로 옮겨졌다.[10] 무덕(武德) 원년(618년) 의천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신설했다.[11] 무덕(武德) 3년(620년) 분천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 치소는 송사보(宋斯堡)에 있었다가 총장(總章) 2년(669년) 고리천(庫利川)으로 옮겨졌다.[12] 무덕(武德) 2년(619년) 신평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 신룡(神龍) 3년(707년) 옹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다음해에 다시 빈주의 속현이 되었다.[13] 정관(貞觀) 2년(628년) 신평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14] 수나라 때 명칭은 순번현(鶉觚縣)으로 천보(天寶) 원년(742년)에 영태현으로 개칭되었다.[15] 수나라 때 명칭은 음반현(陰盤縣)으로 천보(天寶) 원년(742년)에 반원현으로 개칭되었다.[16] 수나라 때 추곡현(湫穀縣)으로 설치되었다가 머지않아 임경현으로 개칭되었다.[17] 서위 때 견음현(汧陰縣)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고 뒤에 두양현(杜陽縣)으로 개칭되었다. 북주 때 견음현으로 다시 개칭되었다가 개황(開皇) 5년(585년) 견원현으로 개칭되었다.[18] 무덕(武德) 원년(618년) 남유현에 함주(含州)를 설치했다가 무덕(武德) 4년(621년) 함주를 폐지하면서 다시 농주의 속현이 되었다.[19] 수나라 때 장사현(長蛇縣)이 설치되었으며 정관(貞觀) 원년(627년) 오산현으로 개칭되었다. 치소는 괴아보(槐衙堡)에 있었다가 상원(上元) 원년(760년) 용반성(龍盤城)으로 옮겨졌다.[20] 수공(垂拱) 2년(686년) 정주(亭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신룡(神龍) 원년(705년) 다시 농주의 속현이 되었다.[21] 서위 때 설치된 현으로 정관(貞觀) 2년(628년) 수주(綏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정관(貞觀) 8년(634년) 은주의 속현이 되었다.[22] 서위 때 설치되었다.[23] 정관(貞觀) 2년(628년) 수주(綏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정관(貞觀) 8년(634년) 자주(柘州)의 속현이 되었고 정관(貞觀) 13년(639년) 자주가 폐지되면서 은주의 속현이 되었다.[24] 영휘(永徽) 4년(653년) 설치되었다.[25] 개황(開皇) 5년(585년) 설치된 현으로 무덕(武德) 6년(623년) 폐지되었다가 영휘(永徽) 원년(650년) 다시 설치되었다.[26] 천보(天寶) 원년(742년) 연곡현(連穀縣)과 은성현(銀城縣)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