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자고 시리즈 & 마스코트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닌자고 (2011) | 그린 닌자고 (2012) | 골드 닌자고 (2013) | 리부티드 (2014) | 티타늄 닌자고 (2015) |
카이 | 로이드 | 로이드 | 쟌 | 카이 | |
고스트 닌자고 (2015) | 스카이 해적 (2016) | 유령의 날 (2016) | 타임 블레이드 (2017) | 마스터즈 (2018) | |
로이드 | 제이 | 콜 | 카이 니야 | 가마돈 | |
드래곤 헌터 (2018) | 도깨비 습격! (2019) | 불의 닌자 VS 얼음의 황제 (2019) | 게임 속으로 레벨 업! (2020) | 스컬 던전 속으로! (2020) | |
마스터 우 | 카이 | 카이 | 제이 | 콜 | |
미지의 섬 (2021) | 미지의 바다 (2021) | 어둠의 크리스털 (2022) | 드래곤 라이징 시즌 1 (2023) | 드래곤 라이징 시즌 2 (2024) | |
로이드 | 니야 | 로이드 | 아린 지로 | 카이 에갈트 로이드 모션의 근원의 드래곤 | |
드래곤 라이징 시즌 3 (2025) | 닌자고 레전드: 괴물들 (2025) | 카이의 괴물스러운 여정 (2025) | |||
쟌 소라 포커스 드래곤 | 카이 | 카이 | }}}}}}}}} |
레고 닌자고 공개 순서 | ||||
그린 닌자고 | → | 골드 닌자고 | → | 닌자고 리부티드 |
<colbgcolor=#ffd700> 골드 닌자고 (2012~2013) Ninjago: The Final Battle | ||||
| ||||
{{{#FFF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3b42d 40%, #228b22 100%)" {{{#!folding 작품 정보 ▼ | <colbgcolor=#d3b42d><colcolor=#ffffff> 방송 시간 | 월 / 오후 04:00 ~ 04:30 | ||
원작 | 레고 닌자고 (레고의 제품 테마) | |||
방송 기간 | 2012년 7월 18일 ~ 2012년 11월 26일[1] | |||
방송 횟수 | 13부작 | |||
장르 | 애니메이션, 레고, 닌자, 빛, 어둠 | |||
제작 | 윌필름 | |||
채널 | 카툰네트워크 | |||
제작진 | <colbgcolor=#d3b42d><colcolor=#ffffff> 제작 | 토미 안드레아센 | ||
연출 | 피터 하우스너 | |||
극본 | 헤이그먼 형제 | |||
음악 | 제이 빈센트, 마이클 크래머 | |||
OST | The Fold | |||
국내연출 | 유선주 | |||
국내번역 | 박재영[2] | |||
국내출연 | 신용우, 문남숙, 엄상현, 김두희, 정재헌, 박지윤[3], 이윤선, 송준석, 김영선, 이호산, 안장혁, 현경수 外 | |||
스트리밍 | 네이버TV | |||
시청 등급 | ||||
링크 | 네이버TV | 유튜브 | 레고 | 카툰네트워크 | }}}}}}}}} |
1. 개요
|
원판의 부제는 최후의 전투(The Final Battle).[4][5] 마스코트 및 주인공은 로이드, 인트로 캐릭터는 카이[6], 메인 보스는 가마돈과 오버로드, 메인 빌런은 스톤 아미이다.
가마돈의 몸으로 육체를 얻은 뒤, 스톤아미와 암흑물질로 닌자고를 파괴하려는 오버로드와 이에 맞서는 닌자들과 골드 닌자의 대결을 그린다.
2. 시놉시스
골드 닌자고 닌자고 2013년! 골드 닌자의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된다. 2013년 닌자고 시리즈의 새로운 적 무적군단스톤 아미 의 공격으로 위기에 빠진 닌자고 시티. 서민들을 구하기 위해 싸우며 스톤 아미에 대적할 힘을 찾아 떠나는 닌자들. 골드 닌자의 탄생! 닌자고의 새로운 만화 시리즈가 시작된다. 네 개의 황금 무기를 모두 갖고 사라졌던 제왕 가마돈이 뱀 부족의 지배자가 되어 다시 나타났어요. 그런데 닌자들은 뭘 하고 있죠? 어린 로이드를 훈련시키느라 여념이 없는 모습이네요. 최종 결전에서 제왕 가마돈을 물리치려면 막강한 힘이 필요할 테니까요. 한편, 제왕 가마돈은 네 개의 황금 무기를 메가 황금 무기로 바꾸기 위해 황금 봉우리를 찾아가요. 메가 황금 무기에 깃든 창조주의 힘을 노린 거죠. 위대한 파괴자와 파이토가 사라진 후 닌자고 시티는 다시 평화를 되찾는다. 하지만 닌자들은 갈 곳을 잃고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는데... 한편 황금무기를 차지한 제왕 가마돈은 해골 군단을 버리고 스네이크 군단을 자신의 부하로 두려고 한다. |
3. 등장인물
3.1. 주연
닌자고 주연 | |||
카이 Kai | 제이 Jay | 콜 Cole | 쟌 Zane |
로이드 Lloyd | 니야 Nya | 마스터 우 Master Wu | 가마돈 Garmadon |
닌자고 주연 | ||||||||
카이 Kai | 제이 Jay | 쟌 Zane | 콜 Cole | 로이드 Lloyd | 니야 Nya | 마스터 우 Master Wu | 가마돈 Garmadon |
3.2. 기타 인물
- 스톤 아미
- 거대 바위 전사
- 소토 해적단
- 그 외
- 우체부 - CV: 마이클 애덤스웨이트/정재헌
- 미스타케 - CV: 맥켄지 그레이/문남숙
4. 예고편
<colcolor=#ffffff> |
골드 닌자고 1부 예고편 |
5. 에피소드 목록
<colcolor=#ffffff> |
레고 닌자고 잉글리쉬 풀영상 - 시즌2 골드 닌자고 |
회차 | 제목 |
1 | 또 다른 시작 Darkness Shall Rise |
2 | 해적과 닌자의 한판 승부 Pirates Vs. Ninja |
3 | 위험에 빠진 닌자들 Double Trouble |
4 | 닌자고 레이싱 Ninjaball Run |
5 | 닌자, 어린이가 되다 Child's Play[12] |
6 | 닌자들, 과거로 돌아가다 Wrong Place, Wrong Time |
7 | 바위로 된 군사들, 스톤 아미 The Stone Army |
8 | 스톤 아미의 습격 The Day Ninjago Stood Still |
9 | 어둠의 섬을 향하여 The Last Voyage |
10 | 빛의 신전 발견! Island of Darkness |
11 | 가마돈의 헬멧 The Last Hope |
12 | 오버로드의 등장 Return of the Overlord |
13 | 새로운 스핀짓주 마스터의 탄생! Rise of the Spinjitzu Master |
6. 제품 목록
| | |
70500 카이의 파이어 로봇[13] | 70501 워리어 바이크[14] | 70502 콜의 드릴 머신[15] |
| | |
70503 골드 드래곤 | 70504 가마트론[16] | 70505 빛의 신전 |
좋은 평가를 받은 본편과는 달리 제품의 평가는 좋지 않다.
에피소드 두 편 정도 밖에 나오지 않는 스네이크 레킹볼까지 제품화 되던 전작 그린 닌자고와는 달리 제품도 6개 정도로 줄어들고 메카나 사원의 모습도 애니메이션의 모습에서 크게 하향화되었다. 게다가 로이드는 골드버전만 들어있고 그린버전은 6개의 제품 전부 다 들어있는게 없기에 구하는게 은근 극한에 속했다.[17]
7. 평가
시리즈 중 최고의 명작이자 전성기. 사실상 정통 닌자고의 스토리는 여기에서 완결되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18] 스토리가 이어지는 속편들이 지금까지 계속 나오고 있지만, 방영 연장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설정 붕괴, 로이드 등 주요 캐릭터의 성우 변경등으로 예전같은 분위기가 나지 않는다는 점은 팬들 사이에서 지배적이다.(물론 저연령층이던 시청자들이 14년의 새월 동안 성인이 되었기 때문도 크지만) 게다가 파일럿~그린닌자고에서 등장한 모든 설정들은 오직 골드 닌자고 완결을 전제로 잡혀있는 것이므로 리부티드 부터는 온갖 급조된 설정오류들이 넘쳐난다.전체적으로 스타워즈 느낌이 많이 난다는 평가가 많다.[19] 오버로드 = 다스 시디어스, 제왕 가마돈 = 다스베이더, 로이드 = 루크 스카이워커 , 원소 블레이드 = 라이트세이버 등.
다른 시리즈에 비해 꽤나 전형적인 용사물의 구성을 하고 있는게 특징. 선택받은 닌자(용사)로 알려진 로이드가 모험과 탐험을 통한 성장과 단련을 거치며 진정한 용사로 각성해 마왕을 물리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일련의 과정이 매끄럽게 전개된다.
서로 싸워야 하는 가마돈과 로이드의 내적갈등을 잘 연출해 낸 것이 주 호평으로 뽑혔다. 특히 로이드와 가마돈의 관계성에 대해서는 후기의 시리즈에서도 잘 찾아보기 어려운 특별한 아치 에너미, 그리고 부자관계를 성립시켰다. 단순히 가마돈을 절대적인 악으로 묘사하지 않고 부자관계의 시퀀스를 통해 둘이 맞서야 하는 어쩔 수 없는 숙명과 그럼에도 자신의 단 하나 뿐인 자식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복합적인 인물로 재탄생시켰으며, 로이드 역시도 단순히 절대악을 무찌르는 단편적인 영웅상 뿐만이 아니라 악의 기운에 고통받는 아버지를 걱정하고 세상의 평화와 아버지의 목숨 사이에서 갈등하고, 그런 고민을 이겨내고 마침내 스핀짓주 마스터로 각성하여 절대악(오버로드)를 무찌르는 모습을 보였다.[20]
모든 시리즈들 가운데 당연 으뜸으로 뽑히는 시리즈이다. 이후 신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골드 닌자고와 비교하는 것이 전통. 거기다가 골드 닌자고에서 박수칠 때 떠나야 했었다고 말하는 팬들도 있다. 그 만큼 골드 닌자고의 작품성이 좋은데다 결말도 가장 깔끔하고 후속작들의 평가가 일부를 제외하면 점점 떨어지고 있기 때문.[21][22]
골드 닌자고가 완결되고 10년이 지난 현재, 돌고돌아 다시금 시리즈 최종장이라고 할 수 있는 어둠의 크리스털이 방영됐지만 아쉬움을 넘어 혹평을 받는 수준의 낮은 완성도를 보여줬기 때문에 팬들은 진정한 정통 닌자고의 마무리라고 부를 수 있는 골드 닌자고를 그리워하거나 원래도 높았던 위상과 평가가 더욱 더 올라가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8. 여담
- 해당 시즌의 제목과 관련하여 오해가 잦지만 시즌2의 공식제목은 레고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시즌2 풀영상의 제목 및 썸네일에 골드 닌자고로 기재되어 있고, 2014년 발매된 The Visual Dictionary의 한글판에서도 '골드 닌자고'로 표기하였고 그외에 2013년 대교어린이TV에서 닌자고 시즌2를 방영할 당시 골드 닌자고라는 제목을 썼기 때문에 공식 제목은 골드 닌자고가 맞다.[23]
- 시즌 1과 마찬가지로 13편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1~6화는 가마돈과 그의 부하가 된 스네이크 군단과 싸우는 편, 7~13화는 어둠의 섬에서 오버로드, 스톤 아미와 싸우는 편으로 파트가 나뉘어 있으며 실질적인 스토리의 시작은 오버로드 에피소드가 전개되는 7화 부터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 다만, 국내판의 경우 7화인 바위로된 군사들 스톤아미 편까지 그린 닌자고의 에피소드로 묶어 국내판 한정으로 그린닌자고의 에피소드는 20개, 골드 닌자고 8화인 스톤아미의 습격편부터는 골드 닌자고 명의로 방영시켜 에피소드가 6개로 줄었다.
8.1. 오프닝
이번 시즌부터 로이드도 오프닝 영상에 등장하는 것을 제외하면 오프닝의 전반적인 구성은 전 시즌과 동일하다. 또한 로이드가 어른이 된 이후인 6화부터는 로이드가 다른 닌자들처럼 오프닝에서 스핀짓주를 사용한다.[1] 국내판은 2012년 ~ 2013년 방송.[2] 현재 레고 공식 채널에서는 오동희로 기재되어있어 헷갈리는 사람이 있지만 당시 방영본을 보면 박재영이라고 기재돼있다.[3] 니야, 마사코 몽고메리 가마돈 1인 2역[4] ![파일:파이널 배틀.jpg]()
레고 제품 박스 아트 및 포스터에 부제목이 The Final Battle로 명시되어 있다.[5] 그외에도 레고 공식 홈페이지에는 The Green Ninja로, WilFilm의 공식 홈페이지에는 Return of the Dark Lord로 불린다. 또한 토미 안드레아센은 본작을 Legacy of The Green Ninja라고 부른다고 밝힌 바가 있다. 북미에서는 LoTGN쪽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여진다. 다만 2013년에 공식적으로 홍보할때 사용된 부제목은 The Final Battle이고 레고 제품 박스 아트와 포스터에도 해당 부제목이 명시되어 있기에 나무위키는 해당 부제목을 사용한다.[6]![파일:닌자고 지난 이야기.png]()
시즌 1과 동일하다.[오른머리] [왼머리] [오른머리] [왼머리] [11] 이때는 소토 선장의 부하로 나온다. 현재는 이탈.[12] 사탄의 인형 영어판 제목의 패러디이다.[13] 원소 기모노 카이가 들어가 있는 유일한 제품.[14] 원소 기모노 제이가 들어가 있는 유일한 제품.[15] 원소 기모노 콜이 들어가 있는 유일한 제품.[16] 원소 기모노 쟌이 들어가 있는 유일한 제품.[17] 닌자고 캐릭터 대백과 한정으로만 들어가 있었어서 그린 닌자 버전을 구하려면 반드시 대백과를 구입해야만 했다.[18] 원래 닌자고는 2013년에 사업을 마무리될 예정이었으나(닌자고 이후로는 키마로 바톤터치를 하려고 했었던듯 하다.) 파이토의 생존 여부 등에 대한 맥거핀과 팬들의 아쉬워하는 마음을 풀어주기 위해 시즌 2 제작 중에도 리부티드 기획을 시작으로 더더욱 연장했다고 한다.[19] 닌자고 제작진이 스타워즈 덕후들이기 때문.[20] 특히 스핀짓주 마스터로 각성하는 모습은 전율이 느껴질 정도로 큰 호평을 받았다.[21] 실제로 기획 당시 골드 닌자고로 닌자고 시리즈는 마무리 될 예정이었다. 아쉽다는 팬들의 반응을 받아들여 연장하긴 했지만, 그 연장이 10년이 넘어가는만큼 힘이 처지는 것은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22] 아직까지도 전작과 골드 닌자고에 비빌만한 작품은 티타늄 닌자고나 고스트 닌자고 밖에 없으며 고스트 닌자고 이후 나온 작품들은 전체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은 시리즈가 드래곤 헌터와 도깨비 습격, 미지의 바다, 드래곤 라이징이 전부고, 대부분 아쉬운 평가를 받거나 호불호가 크게 갈리거나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23]
![파일:골드 닌자고 123.png]()
레고 제품 박스 아트 및 포스터에 부제목이 The Final Battle로 명시되어 있다.[5] 그외에도 레고 공식 홈페이지에는 The Green Ninja로, WilFilm의 공식 홈페이지에는 Return of the Dark Lord로 불린다. 또한 토미 안드레아센은 본작을 Legacy of The Green Ninja라고 부른다고 밝힌 바가 있다. 북미에서는 LoTGN쪽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여진다. 다만 2013년에 공식적으로 홍보할때 사용된 부제목은 The Final Battle이고 레고 제품 박스 아트와 포스터에도 해당 부제목이 명시되어 있기에 나무위키는 해당 부제목을 사용한다.[6]
시즌 1과 동일하다.[오른머리] [왼머리] [오른머리] [왼머리] [11] 이때는 소토 선장의 부하로 나온다. 현재는 이탈.[12] 사탄의 인형 영어판 제목의 패러디이다.[13] 원소 기모노 카이가 들어가 있는 유일한 제품.[14] 원소 기모노 제이가 들어가 있는 유일한 제품.[15] 원소 기모노 콜이 들어가 있는 유일한 제품.[16] 원소 기모노 쟌이 들어가 있는 유일한 제품.[17] 닌자고 캐릭터 대백과 한정으로만 들어가 있었어서 그린 닌자 버전을 구하려면 반드시 대백과를 구입해야만 했다.[18] 원래 닌자고는 2013년에 사업을 마무리될 예정이었으나(닌자고 이후로는 키마로 바톤터치를 하려고 했었던듯 하다.) 파이토의 생존 여부 등에 대한 맥거핀과 팬들의 아쉬워하는 마음을 풀어주기 위해 시즌 2 제작 중에도 리부티드 기획을 시작으로 더더욱 연장했다고 한다.[19] 닌자고 제작진이 스타워즈 덕후들이기 때문.[20] 특히 스핀짓주 마스터로 각성하는 모습은 전율이 느껴질 정도로 큰 호평을 받았다.[21] 실제로 기획 당시 골드 닌자고로 닌자고 시리즈는 마무리 될 예정이었다. 아쉽다는 팬들의 반응을 받아들여 연장하긴 했지만, 그 연장이 10년이 넘어가는만큼 힘이 처지는 것은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22] 아직까지도 전작과 골드 닌자고에 비빌만한 작품은 티타늄 닌자고나 고스트 닌자고 밖에 없으며 고스트 닌자고 이후 나온 작품들은 전체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은 시리즈가 드래곤 헌터와 도깨비 습격, 미지의 바다, 드래곤 라이징이 전부고, 대부분 아쉬운 평가를 받거나 호불호가 크게 갈리거나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