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경상국립대학교/상징|{{{#!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대학 정보 | |||
역사 | 상징 | 동문 | 학부 | |
대학 생활 | ||||
부속 시설 | 대학 협정 | 학내 문화 | 사건 사고 | |
캠퍼스 | ||||
가좌캠퍼스 | 칠암캠퍼스 | 통영캠퍼스 | 창원산학캠퍼스 | |
대학병원 | ||||
경상국립대학교병원 |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 }}}}}}}}} |
1. 로고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 | 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 | }}}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 | 경상국립대학교 어솔리티 마크 | }}} | |
|
2. 마스코트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 | 경상국립대학교 마스코트 '지누' | }}} | |
|
경상남도 진주의 중생대 백악기 진주층에서 '세상에서 가장 작은 1cm의 소형공룡인 마이크로랩터'의 발자국이 발견되었다.
마이크로랩터의 발견은 '공룡은 크다'는 그동안의 상식을 깨버린 엄청난 사건으로 천연기념물 제 534호로 지정되었다.
경상국립대학교의 캐릭터는 진주에서 서식한 마이크로랩터를 형상화하여 경상국립대의 상징동물 공룡을 표현하였다.
마이크로랩터의 발견은 '공룡은 크다'는 그동안의 상식을 깨버린 엄청난 사건으로 천연기념물 제 534호로 지정되었다.
경상국립대학교의 캐릭터는 진주에서 서식한 마이크로랩터를 형상화하여 경상국립대의 상징동물 공룡을 표현하였다.
공룡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로, 수호랑과 반다비를 비롯한 기업 및 지자체 마스코트 개발을 주로 해왔던 브랜딩 전문 회사인 매스씨앤지에서 제작에 참여했다.
2022년 4월에 만들어졌는데 6개월 가량 이름이 없었다가 10월에 GNU에서 따온 '지누'라는 이름이 붙었다.
3. 교가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 | 경상국립대학교 교가 | }}} | |
1절 장백의 힘줄기는 뻗어솟은 방호산낙동강 칠백 리로 남가람은 흐른다 개천의 아득한 날 무지개 쌍돋을 때 비롯된 겨레들이 죽고 죽어 살았다 보라! 대학 가 없는 동해의 파도 부딪쳐 이끼 짙은 태고의 성을 2절 오양육주 산과 바다 너희들 차지하라 아세아 동편에서 무궁화 피는 반도 개국된 반만 살의 썩고 검은 국토를 한 말씨 한 핏줄로 살고 살아 지킨다 보라! 대학 빛나는 조국의 장엄 짓밟아 잔디 푸른 불사의 원을 3절 사람으로 한 목숨 베푸심 은혜인 줄 한 줌 흙에 일체를 배워 보공하고자 바람 비 어지러운 혼돈의 모습들을 눈부신 만다라로 아로새겨 보겠다 보라! 대학 의젓한 청운의 전당 누리에 종을 울릴 낙락의 탑을 설창수 작사 윤이상 작곡 |
교가 영상 | 악보 영상 |
동백림 사건 이후 프랑스에서 활동하다 독일인으로 생을 마감한 작곡가 윤이상은 경남 산청 출신으로 통영시 등의 경상남도 지역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이후 일제강점기, 태평양 전쟁 등의 시대를 거친뒤 프랑스의 파리 국립음악원에 유학했다. 베를린국립음악대학을 졸업했으며 한국에서는 몇안되는 괴테메달 수여자로 경상국립대학교 뿐만아니라 고려대학교의 교가 등을 작곡했다 이밖에 독일연방공화국 공로훈장 대십자장, 북한 조국통일상 등을 수상하였다
작사가 설창수는 경상남도에서 활동하단 독립유공자였다. 경상대 교가 외에도 경남과학기술대학교[1], 대아중.고등학교, 진양고등학교와 같은 진주시 내의 교가 작사를 맡기도 했다.
4. 교색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 | 경상국립대학교 교색 | }}} | |
GNU Blue |
경상국립대학교 청색을 사용한다
5. 교훈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 | 경상국립대학교 교훈 | }}} | |
| ||||
개척(開拓) |
개척시 짧게 살고도 오래 사는 이가 있다. 그의 이름이 개척자다. 그의 눈은 앞을 보는 눈이요, 그의 가슴에는 보람으로 가득 차 있다. 그대는 무슨 일을 남기려고 이 세상에 태어났느냐? 그대는 무슨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 나는 언제나 이것을 묻기 위하여 이곳에 서 있습니다. 故려증동 지음(국어교육과 교수) |
6. 교화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 | 경상국립대학교 교화 | }}} | |
|
교화는 장미이다. 장미의 꽃말은 ‘애정’, ‘사랑의 사자’, ‘행복한 사랑’ 등이다. 장미의 꽃말에서 보듯이 우리 대학교 가족의 학문에 대한 사랑, 지역과 지역민에 대한 사랑, 나라와 겨레에 대한 사랑과 뜨거운 정열을 상징한다. 학문은 인류의 행복에 기여해야 할 것이므로 장미가 상징하는 바는 다시 온 인류에 대한 사랑으로 확대된다.
7. 교목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 | 경상국립대학교 교목 | }}} | |
|
흔히 정자나무라 불리는 느티나무는 유구한 역사속에서 조상들의 애환과 얼이 깃든 나무로 민족의 얼과 역사성을 담고 있으며, 늠름하고 꿋꿋한 기상과 정엄한 수형 굳센 저항력으로 많은 열매를 알차게 맺음으로서 어떠한 역경에도 굴하지 않는 개척인의 진취적 기상과 대학 본연의 이념을 추구하는 기본 정신을 담고 있다.
8. 과거 상징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 | 경상대학교 로고 |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 | 경상대학교 교색 | }}} | |
GNU 청색 GNU 옥색 | ||||
과거에는 청색과 옥색을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 | 경상대학교 심볼마크 | }}} | |
| ||||
웹페이지, 인쇄물 등에서 로고와 함께 사용되었다. 경남과기대와의 통합 직후 새 로고 선정 전까지 임시로고로 사용되기도 했다. |
[1] 2021년에 경상대와 통합되어서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