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름}}}에 대한 내용은 [[개똥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개똥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개똥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름: }}}[[개똥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개똥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개똥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개의 똥을 이르는 말이다. 강아지가 싼 똥은 강아지똥이라고 한다.2. 특징
후술하듯이 속담에 따르면 실제로도 약으로도 쓸 수 있다고 한다. 정확히는 동의보감에도 개똥을 약재로 취급해 그 효능과 섭취 방법을 설명하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이는 2000년대 초반에 SBS에서 방송되었던 퀴즈쇼 TV 장학회에서[1] 문제로 출제된 바 있다.전근대시대에는 아명과 노비의 이름으로 많이 쓰였다. 과거에는 '아명을 촌스럽게 지어야 장수한다.'라는 인식이 강했기 때문이다. 일부러 천한 이름을 지어 건강하게 오래 살길 기원하는 목적으로 개똥이라는 아명으로 흔히 사용되었다. 그 밖에도 개똥철학, 개똥벌레 등 작고 하찮은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 흔히 사용되었다.
개를 키우는 사람들을 위해 공원에는 개똥을 치우는 봉지가 구비되어 있으나, 안타깝게도 잘 치우지 않아 눈쌀을 찌푸리게 만드는 저질 에티켓을 가진 애견인이 많다.[2] 그 밖에도 떠돌이 개들이 길가에 싼 개똥을 못 보고 사람들이 밟는 안타까운 일이 종종 벌어지기도 한다. 프랑스 파리 길거리에서 개똥을 밟지 않은 사람은 파리 구경을 제대로 한 사람이 아니라는 말도 있다.
다만 비료로는 사용할 수 없다. 식물을 섭취하는 소의 배설물과는 달리 개는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짐승이기 때문에 개의 배설물은 분해 속도도 느릴 뿐만 아니라 분해 과정에서 토양의 산성화를 유발하기 때문에 식물에게 오히려 해롭다. 퇴비로 만들어도 박테리아와 기생충이 포함되어 있어 식용 작물에 사용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연조직염(봉와직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기사.
베트남 전쟁 당시 미공군에서는 개똥 모양의 무선 송신기를 만들어서 적군의 움직임을 파악하는데 사용했다. 제식명 자체가 T-1151 개똥 수신기(Dog Doo Transmitter)라고 매우 직관적으로 명명 되었다. 개똥이나 원숭이 똥의 형태로 제작된 이 장비는 내부에 센서와 수신기가 있어서 근처에서 움직임이 있으면 자동으로 신호를 보냈고, 길에 여기저기 뿌려 둬서 적군의 움직임을 파악해 항공기 유도를 하거나 구출 임무 등에 쓰였다 한다.
2023년 2월 13일 독일 발레단장이 신작을 지루하다고 혹평한 평론가의 얼굴에 개똥을 문질러 경찰 조사를 받는 일이 벌어졌다. 기사.
개떡, 개판처럼 욕설로 쓰이기도 한다.
3. 관련 속담
- 개똥이라도 씹은 듯(개똥 씹은 얼굴/표정): 바라던 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 상을 찌푸린 모습을 두고 하는 말.
-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 아주 보잘것 없는 것도 정작 필요로 할 때에는 없어서 아쉽다는 말.
- 똥이 무서워서 피하나 더러워서 피하지: 올바르지 못하고 어리석은 짓을 일삼는 사람은 상대해서 덕될 것이 없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