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7 15:42:52

개 술에서 넘어옴
개 술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6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ジュツ
일본어 훈독
いぬ
-
표준 중국어
qu, x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
2.1. 납음 오행
3. 상세4. 용례5. 여담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戌은 '개 술'이라는 한자로, '온기', '정성', '마름질', '열한째 지지[1] 등을 뜻한다.[2]

2. 상세

간지 (干支)
십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십이지













  • 戌은 12지지의 11번째이면서, 물상으로는 개, 강아지, 늑대, 큰 땅, 대지, 산, 노을에 해당하고, 천간에서 辰토, 戌토와 같은 물상이다.
  • 색상은 황금색, 금색, 노랑색이다.
  • 지장간에는 辛금, 丁화, 戊토가 들어 있다.
  • 음력 9월 6일 ~ 9월 14일은 辛금 지장간에서 담당한다.
  • 음력 9월 15일 ~ 9월 17일은 丁화 지장간에서 담당한다.
  • 음력 9월 18일 ~ 10월 6일은 戊토 지장간에서 담당한다.
  • 술군(戌): 술년에 태어난 사람
  • 술년(戌): 개띠 해
  • 술시(戌): 하루를 12등분 했을 때 11번째 등분에 해당하는 시각으로, 오후 7시부터 9시까지다. [3]
  • 술월(戌): 음력 9월. 양력으로는 10월에 해당. 윤달은 11월에 해당.
  • 갑술 (甲)
  • 병술 (丙)
  • 무술 (戊)
  • 경술 (庚)
  • 임술 (壬)

2.1. 납음 오행

戌이 들어 있는 오행
  • 갑술(甲戌) 山頭火, 산두화
산 정상의 불, 산불(혁명), 서산에 지는 해
  • 병술(丙戌) 屋上土, 벽상토
지붕의 흙, 댐, 화 기운이 가득한 집의 흙
  • 무술(戊戌) 平地木, 평지목
넓게 자란 숲, 벼, 보리 같이 연약한 나무
  • 경술(庚戌) 차釧金, 차천금
장신구의 쇠, 비녀(연예인), 연약한 금속
  • 임술(壬戌) 大海水, 대해수
큰 바다의 물, 바닷물, 강한 음의 기운

3. 상세

유니코드는 U+620C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戈竹一(IHM)로 입력한다.

도끼를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4. 용례

4.1. 단어

4.2. 인명

5. 여담

위의 개요에도 나와있지만 열한번째 지지에 해당하는 동물이 개일 뿐 해당 글자 자체에는 개라는 뜻이 없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 글자를 읽을 때 음독으로 읽지 않고 いぬ(개)라고 훈독한다.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경계할 계)
  • (창 과)
  • (천간 무)
  • (이룰 성)
  • (수자리 수)
  • (문채 욱)
  • (병장기/오랑캐 융)
  • (주살 익)
  • (다 함)
  • (혹 혹)


[1] 열한째 지지 술 이라고도 불리지만 나무위키에서는 '개 술'로 통일한다.[2] 다만 열한째 지지에 배속된 상징 동물이 라는 것이지, 戌이란 한자 자체에 개라는 뜻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른 지지들도 마찬가지다.[3] 오후 19시 30분 ~ 오후 21시 3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