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20:09:44

가정확대범


1. 개요2. 집필 활동
2.1. 2021년~2024년(1완결 3연중)2.2. 2025년 이후 복귀 가능성?2.3. 연중작의 향방
3. 평가
3.1. 긍정적인 평가3.2. 부정적인 평가
4. 독자로서의 활동
4.1. 리뷰 활동4.2. 업적 및 이모티콘 보유 현황4.3. 작품 취향
5. 기타
5.1. 노벨피아 연중 현황5.2. 노벨피아 캐릭터 일러스트5.3. 2023년 노벨피아 우주최강 공모전 수상자 명단5.4. 기타 사이트에서의 활동(없음)5.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연중확대범.png
작가 프로필 보기(노벨피아 로그인 필요)[1]
가정확대범은 한국의 웹소설 작가다. 닉네임의 기원은 '가정 학대'를 변형한 인터넷 용어인 '가정 확대'로 추정되며[2] 대표작으로는 이세계 갤러리 주딱이 되었다가 있다.

자기 소개말은 다음과 같다.
허접.,,. 작가에용,.,.,..

파일:ab367c26a91a0a1d74b0f8bfe579f512_648217.png
한편, 프로필 이미지에 나오는 은발 은안 여캐는 엘프로 추정되는데, 그린 이는 Theo로 보여진다.[3][4] 2021년 1월 14일자 X(구 트위터)를 참고하기를 바란다.

2. 집필 활동

2.1. 2021년~2024년(1완결 3연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정확대범/집필 활동/2021년~2024년(1완결 3연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2025년 이후 복귀 가능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정확대범/집필 활동/2025년 이후 복귀 가능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연중작의 향방

작가의 의중이 어디에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만약 신작으로 복귀할 생각이 있다면 기존 연중작에 대한 태도를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대표작인 <이세계 갤러리 주딱이 되었다>만이라도 연재를 재개하여 완결을 내든, 도저히 완결을 낼 용기가 나지 않는다면 공지로서 연중을 확정하든 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렇지 않는다면 독자들로서는 '어차피 이번 작품도 조금 쓰다가 연중해 버리겠지. 공모전 수상작마저 연중해 버렸는데 뭔들 연중 못 하겠어.'라고 생각하게 될 수밖에 없다.

현실적으로 작품 전개에 대한 독자들의 문제 제기를 전부 수용하기가 어렵다면 에피소드 수정보다는 완결 그 자체에 방점을 두고 기존에 생각해두었던 전개에 따라 집필을 이어나가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이 경우 작품 전개에 불만을 가진 독자들을 달랠 수는 없겠지만 어차피 모든 독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글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고, 적어도 작가가 어떠한 생각으로 이토록 많은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는 전개를 꾸렸는지·혹은 독자들의 비판을 받는 전개를 조금이라도 설득력 있는 결말로 이끌어 낼 계획을 가지고 있었는지·그것도 아니라면 고구마를 섭취한 독자들의 불만을 상쇄할 만한 사이다를 준비해 두었는지는 분명히 할 수 있다.

또한 연중작의 연재 재개와 확실한 완결은 3연속 연중으로 인해 촉발된 신뢰도 저하 문제를 해소하고, 독자들과 웹소설 서비스 회사들에게 작가의 차기작이 도중에 연중되지 않을 거라는 믿음을 심어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작가의 활동이 완전히 중단된 현재에는 복귀 가능성이 현저하게 낮은 것도 사실이다. <이세계 갤러리 주딱이 되었다>에 비해 낮은 성적을 기록한 데다 더 오래 전에 연중된 <마왕의 딸을 테이밍했다>와 <치한 어플>의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 2025년 1월 초 시점에서는 좀 더 시간이 지나봐야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평가

3.1. 긍정적인 평가

마지막 작품인 <이세계 갤러리 주딱이 되었다>가 노벨피아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것을 보면 소설에 재능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정말로 재능이 없는 사람이라면 공모전에서 입상조차 하지 못하고 고배를 마셨을 것이다.

<이세계 갤러리 주딱이 되었다>가 해당 장르의 시초격이라 할 수 있는 조무송 작가의 <종말 후 외톨이 갤러리>[5]에 이어서 노벨피아 내 갤러리물 유행의 단초가 되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소위 '이세계 현대 문물 전파물'이라고 불리는 치트 요소가 일부 가미된 것을 제외하면 순전히 특정 커뮤니티의 재현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이세계 풍으로 재현된 갤러리를 읽는 재미가 풍부하여 이것이 이 작품을 550만 조회수+공모전 우수상 수상으로 인도했다는 것이다.[6]

작품의 재미는 독자들의 후원을 유발하였는데, 작품을 그다지 인상 깊게 보지 않은 사람이나 안티팬이 자신의 돈을 지불해가며 작가에게 후원을 할 가능성은 낮으므로 긍정적인 평가 요인으로 보아도 될 것이다.[7]

[ 2025년 1월 11일 시점 누적 후원내역 스크린샷 보기(2개) ]
파일:1000079491.jpg

파일:1000079492.jpg
참고로 노벨피아 시스템상 1코인=100원이다. 다시 말해 후원 랭킹 1위는 가정확대범 작가에게만 35만원을 사용한 것이다.

3.2. 부정적인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정확대범/평가/부정적인 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참고로 해당 문서는 나무위키 검색창에 '연중확대범'을 입력하는 방법으로도 조회가 가능하다.

4. 독자로서의 활동

파일:가정확대범님의 회원카드.png
위의 이미지는 2025년 1월 31일 노벨피아 PC 웹에서 촬영된 스크린샷이다.

4.1. 리뷰 활동

파일:1000080577.jpg
2023년 10월 30일: 노벨피아 리뷰 게시판에 시간금속 작가의 나만 유령이 안보임에 대한 리뷰를 작성한 적이 있다. <이세계 갤러리 주딱이 되었다>를 연재하기 시작한 지 채 한 달도 되지 않은, <마왕의 딸을 테이밍했다>와 <치한 어플>이 아직 연중되지 않았던 시기의 일이다.

당시 작가는 '유령 무협은 실존하며, 그것은 고구려 수박도에 적혀있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해당 작품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그 속에서 주인공 유하진은 유령을 보지(look) 못 합니닷...!

혼자 유령, 심령현상에 면역인 상태로 살아갑니닷...!!!!

하지만 이 곳은 뒤틀리고 망가진 세계.

인륜과 도덕을 챙긴다는 건 유머가 되어버린 무서운 곳입니닷...!

우리 주인공은 무서운 곳에서도 남을 챙기는 스윗 가이...!!!

인지는 사실 모르겠는데 그냥 재밋슴니닷!!!!!!!!!

공포물 소재 판타지는 가뭄의 단비...!!!!!!!!

저는 나폴리탄 스파게티를 먹으며 오열하고 정독해버렷습니닷!!!!!!!!!!

조금 걸리는 부분은 있지만...!!!

주인공 왜 이럼? x
아. 주인공은 이미 오염됐구나. o
라고 생각하면 더욱 재밋습니닷!!!!!!!!!
무협느낌도 나서 재밋습니닷!!!!!
추천입니닷!!!!!!!

이외에 노벨피아 홍보 게시판이나 리뷰 게시판에서 추가로 검색되는 게시물은 없다. 작가 프로필을 열람해보면 알겠지만, 소장 내역과 후원 내역 그리고 댓글을 비공개로 해두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도 알 수 있는 게 없다.

4.2. 업적 및 이모티콘 보유 현황

  • 2025년 1월 13일 기준 보유 업적(24개)
    파일:1000079606.jpg
    '대협(大俠)' 뱃지(최상단 좌측에서 두 번째)를 보유 중이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해당 뱃지는 2024년 말 노벨피아의 월 구독료 인상에 대하여 일정 기간 내에 동의를 표한 회원들에 한해 주어지는 뱃지이기 때문에, 가정확대범 작가가 2024년 11월~12월 무렵에 노벨피아에 접속한 적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이다.
  • 2025년 1월 13일 기준 보유 이모티콘(일반 이모티콘 172개+로열티콘 12개)
    파일:1000079607.jpg
    노벨피아의 이모티콘 보유 현황은 보유 개수만 보여줄 뿐, 정확히 어떤 이모티콘을 보유 중인지까지 보여주지는 않으므로 여기서 알 수 있는 건 작가가 그렇게 많은 이모티콘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는 것뿐이다.

4.3. 작품 취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정확대범/독자로서의 활동/작품 취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5.1. 노벨피아 연중 현황

  • <마왕의 딸을 테이밍했다>의 2024년 12월 27일 시점 스크린샷
    파일:마왕 테이밍 연중.jpg
    • 마지막 회차 업로드 시점(2023년 12월 6일)으로부터 경과한 일수: [dday(2023-12-06)]
    • 마지막 공지 업로드 시점(2023년 5월 11일)으로부터 경과한 일수: [dday(2023-05-11)]
  • <치한 어플>의 2024년 12월 27일 시점 스크린샷
    파일:치한 어플 연중.jpg
    • 마지막 회차 업로드 시점(2024년 4월 16일)으로부터 경과한 일수: [dday(2024-04-16)]
    • 마지막 공지 업로드 시점(2023년 8월 16일)으로부터 경과한 일수: [dday(2023-08-16)]
  • <이세계 갤러리 주딱이 되었다>의 2024년 12월 28일 시점 스크린샷
    파일:이세주 우수상.png
    • 마지막 회차 업로드 시점(2024년 11월 5일)으로부터 경과한 일수: [dday(2024-11-05)]
    • 마지막 공지 업로드 시점(2024년 11월 7일)으로부터 경과한 일수: [dday(2024-11-07)]

5.2. 노벨피아 캐릭터 일러스트

  • <이세계 갤러리 주딱이 되었다>의 등장인물이자 '오센 왕국'의 여왕인 베아트리스
    파일:이세주 베아트리스.jpg
    그린 사람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작가가 일러스트를 따로 정리하여 공지로 올려놓지 않았고, 구글 이미지 검색으로도 소스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8]

    'AI 딸깍 그림인데 이거 전에 쓴 새끼는 눈이 없나?'라는 주장이 있다. r309판의 주장에 따라 AI그림 판독 사이트에 이미지를 집어넣어본 결과, 92.7% 확률로 AI그림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9]

    해당 이미지에서 베아트리스의 앞에 체스 기물로 추정되는 물체가 놓여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베아트리스가 여왕으로서 주딱을 보호하기 위해 식객으로 거두어 들이고 왕궁 내에서 지내게 하며 체스와 같은 놀이를 즐기는 에피소드의 내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주딱에게 체스를 권유한 것을 보면 알겠지만, 주딱에 대해 이성적인 호기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비록 파딱은 아니지만, 왕국에 소속되어있는 헤센 백작령이 스마트폰 생산을 위한 공장 부지를 제공하게 만듦으로써 갤러리가 훨씬 더 광범위하게 퍼지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 <이세계 갤러리 주딱이 되었다>의 등장인물이자 '마제로스'의 지배자인 아르셀라 베네 필리바에스 (1)
    파일:이세계주딱.png
    이 이미지에서 들고 있는 잔에 들어있는 음료수가 술이 아니라 콜라라는 의견[10]이 있다. 작품 내에서 콜라로 대표되는 현대 문물들이 판타지 세상의 주민들 사이에서 크나큰 인기를 끄는 현대인 천재론 전개가 많이 보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역시 그린 사람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11]

    작가 본인이 AI그림이라고 명시해놓은 것은 아니지만, '이것도 AI인데 뭐라는걸까'라는 주장이 있다. 마찬가지로 r309판의 주장을 검증해본 결과 45.8%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일치율이 나왔지만, 이것만으로 해당 그림이 AI가 그리지 않았다고 단정내릴 수는 없다.[12]

    참고로 이 인물이 작중 갤러리에서 사용하는 닉네임은 '마왕쨩'이다. 앞서 소개한 베아트리스의 경우에는 갤러리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이 없었기에 갤러리에 접근 가능한 신하들에게 의뢰하여 종이 인쇄물로 정리된 갤러리의 내용을 읽고 국정 운영에 참고하다가 주딱이 스마트폰을 개발하여 모두가 갤러리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자 그제야 밤이 새도 모를 정도로 갤러리에 푹 빠져들었지만, 마왕쨩의 경우에는 예전부터 활발하게 갤러리에 똥글을 올리다가 주딱에 의해 파딱으로 선택받았다.

5.3. 2023년 노벨피아 우주최강 공모전 수상자 명단

2023년 6월 23일자 공지에서 신착 챌린지 및 성실 이벤트 개편과 함께 우최공의 개최가 예고된 이후 2023년 8월 31일에 모집 요강이 발표되었다.
예선 10월 5일(목) 12:00 ~ 11월 2일(목) 23:59, 총 29일
예선 심사 11월 3일(금) ~ 11월 15일(수), 총 13일
본선 진출 발표 11월 16일(목) 12:00
본선 11월 16일(목) 12:00 ~ 11월 30일(목) 23:59, 총 15일
본선 심사 12월 1일(금) ~ 12월 6일(수), 총 6일
수상작 발표 12월 7일(목) 12:00

최종적으로 2023년 12월 7일에는 공모전 수상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가정확대범 작가의 <이세계 갤러리 주딱이 되었다>가 우수상 수상작 목록에 포함되어 있었다.

5.4. 기타 사이트[13]에서의 활동(없음)

파일:1000080636.jpg
네이버 웹소설 검색 결과
2025년 1월 31일에 검색한 결과, 네이버 웹소설에서는 동일한 닉네임으로 활동하는 작가가 없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네웹소 자체가 무료 연재를 통한 데뷔를 노릴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네이버 시리즈에 종속되어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일 정도로 자체 인기가 저조해서 작가 입장에서 그다지 매력적인 연재처가 아니기는 하다.

파일:1000080642.jpg
네이버 시리즈 검색 결과
검색 결과에 아무것도 뜨지 않는 것은 시리즈도 동일하다. 편결 사이트 특성상 정액제 사이트인 노벨피아 이상으로 데뷔가 까다롭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파일:1000080637.jpg
문피아 검색 결과
마찬가지로 문피아에서도 동일한 닉네임으로 활동하는 작가의 부재가 확인되었다.

파일:1000080638.jpg
조아라 검색 결과
조아라에서도 동일한 닉네임으로 활동하는 작가의 부재가 확인되었다. 19금 작품의 검색이 가능한 로그인 상태에서 조회해보면 한 작품이 추가로 결과창에 떠오르긴 하지만, 이 역시 가정확대범은 작가와는 무관한 BL 소설이다.

해당 BL 작품의 제목은 '나의 어른', 집필 작가의 닉네임은 '노가정'이다.[14] 아마도 두 작가의 닉네임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있는 '가정'이라는 키워드 때문에 검색 결과에 포함된 것으로 보여진다.

파일:1000080640.jpg
카카오페이지 검색 결과
카카오 페이지에서도 동일한 닉네임으로 활동하는 작가의 부재가 확인되었다. 시리즈처럼 데뷔가 어려운 편결 사이트의 특성 탓으로 추정된다.

5.5. 관련 문서

가정확대범 가정확대범 작가와 관련된 모든 문서 중 최상위의 문서
가정확대범/집필 활동/2021년~2024년(1완결 3연중) 가정확대범 작가의 2021년~2024년의 집필 활동에 대해 별도로 다루는 문서
가정확대범/집필 활동/2025년 이후 복귀 가능성? 가정확대범 작가의 2025년 이후의 집필 활동에 대해 별도로 다루는 문서
가정확대범/평가/부정적인 평가 가정확대범 작가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별도로 다루는 문서
가정확대범/독자로서의 활동/작품 취향 가정확대범 작가의 선호 장르선호 작품, 전체 누적 읽은 회차 수에 대해 별도로 다루는 문서

[1] 회원 번호는 11626이다. 2023년 6월 7일자 이코노미스트 기사에 따르면 이 시점에서 노벨피아에 가입한 사람의 수는 200만 명을 넘어섰다고 하는데, 회원 번호가 10000번대라면 상당히 빠르게 가입했다고 볼 수 있다.[2] '확대범' 등 인터넷 용어에 대해 다룬 2021년 6월 21일자 조선일보 기사, 동년 9월 1일자 한글문화연대 누리집 기사. 해당 기사들은 인터넷 용어의 사용을 비판적인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지만, 범죄자를 미화하기 위해서 해당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데다 닉네임은 개인의 자유에 속하므로 '가정확대범'이라는 닉네임을 문제로 삼는 것은 어렵다고 보여진다.[3] 파일:elfboiii.png[4] 파일:__original_drawn_by_elfboiii__sample-7aac80d8ef457b5ae49ef6303e248e6a.jpg[5] 2024년 12월 28일 기준 조회수 6,321,818 / 선호작 27,411 / 알람 등록 4,260 / 추천수 445,954. 참고로 연중 직전 마지막에 연재된 회차는 143화로, 2022년 2월 22일에 연재되었다.[6] 2023년 10월 11일 장르소설 갤러리에 올라온 리뷰, 동년 10월 13일 장르소설 채널에 올라온 리뷰, 동년 10월 16일 노벨피아 리뷰 게시판에 올라온 리뷰, 동년 12월 27일 노벨피아 리뷰 게시판에 올라온 리뷰, 2024년 1월 12일 티스토리에 올라온 리뷰, 동년 4월 27일 네이버 블로그에 올라온 리뷰, 동년 9월 25일 장르소설 갤러리에 올라온 리뷰[7] 후원 정산금에 관해서는 2021년 2월 11일자 노벨피아 공지를 참고하면 좋다.[8] 파일:1000080769.jpg[9] 파일:1000080771.jpg[10] 2023년 12월 18일 아카라이브 장르소설 채널에 올라온 게시물에 등록된 댓글을 참고하기를 바란다.[11] 파일:1000080770.jpg[12] 파일:1000080772.jpg[13] 네이버웹소설, 네이버 시리즈, 문피아, 조아라(웹사이트), 카카오페이지[14] 파일:조아라 가정확대범.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