霍 곽란 곽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雨,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6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カク | ||||||
일본어 훈독 | にわ-か, はや-い | ||||||
- | |||||||
표준 중국어 | huò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霍은 '곽란 곽'이라는 한자로, '곽란(霍亂)', '빠르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곽란 |
음 | 곽 | |
중국어 | 표준어 | huò |
광동어 | fok3 | |
객가어 | vok | |
민북어 | hŏ̤ | |
민동어 | huók | |
민남어 | hok | |
오어 | hoq (T4) | |
일본어 | 음독 | カク |
훈독 | にわ-か, はや-い | |
베트남어 | hoắc |
유니코드에는 U+970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一月人土(MBOG)로 입력한다.
雨(비 우)와 隹(새 추)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옛 자형에는 지금처럼 隹가 하나만 들어간 꼴도 있기는 하나 隹가 셋인 雦(모을 집)이 주로 들어갔다가, 나중에는 둘인 雔(새 두 마리 수)로 줄었고, 마지막으로 새가 한 마리인 지금의 자형으로 고정되었다.[1] 새 여러 마리가 빗속을 날아다니는 데에서 날갯소리, 빠르다는 뜻이 나왔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𩧏(별박이 각)
- 𡾜(산이름 각)
- 𠐶(성씨 각)
- 𤣅(이를 각)
- 㰌(탱자나무 각)
- 㱋(흙높을 각, 굳을 확)
- 𠠛(가를 곽)
- 籗(가리 곽/착)
- 癨(곽란 곽)
- 瀖(물결소리 곽)
- 㸌(밝을 곽)
- 𨟓(빠를 곽)
- 藿(콩잎/미역 곽)
- 𦒧(빠르게나는모양 괵)
- 𤜅(흰소 옥)
- 𩟯(고깃국 학)
- 矐(눈멀게할 학/획/확)
- 鸖(학 학)[4]
- 嚯(희롱할 학, 놀라는소리 확)
- 皬(흴 학)
- 𨯟(가마솥 확)[5]
- 臛(고깃국 확/학/혹)
- 㺢(동물이름 확)
- 曤(밝을 확)
- 𥽥(볶은기장 확)
- 攉(손뒤집을 확)
- 礭(회초리 확)
- 𡓘(곽)
- 𨘾(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