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27 07:55:14

에서 넘어옴
무거울 균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キン
일본어 훈독
はか-る, ひと-しい, ろくろ
표준 중국어
jū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鈞은 '무거울 균'이라는 한자로, '무겁다', '서른 근', '고르다', '녹로[1]' 등을 뜻한다. 그래서 '서른근 균'이라고도 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쇠 금)과 소리를 나타내는 (고를 균)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921E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金心戈一(CPIM)로 입력한다.

주로 정승이 행하는 언행이나 글에 관한 용례 등 정승과 관련한 용례로 쓰인다. 또한 정승과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국균(國鈞)의 균 또한 이 글자로 쓰인다.[2]

3. 용례

3.1. 인명

4. 유의자

  • (무거울 근)
  • (무거울 수)
  • 𠍪(무거울 저)
  • (무거울 중)

5. 상대자

  • (가벼울 경)
  • 𩇫(가벼울 비)
  • (가벼울 엽)
  • 𡛟(가벼울 월)
  • (가벼울 유)
  • (가벼울 탈)
  • (가벼울 편)
  • /(가벼울 표)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轆轤.
주로 도자기를 만드는 데에서 볼 수 있는 회전 도르래를 일컫는 말이다. 자세한 설명
[2] 이 단어는 均과 같이 쓰인다.[3] (학 학)의 속자[4] (무늬 현)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