碩 클 석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石,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4획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セキ | ||
일본어 훈독 | - | ||
硕 | |||
표준 중국어 | shuò | ||
1. 개요
碩은 \'클 석'이라는 한자로, '크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fff,#1c1d1f>크다 |
음 | 석 | |
중국어 | 표준어 | shuò |
광동어 | sek6 | |
객가어 | sa̍k | |
민북어 | sĭ | |
민동어 | sĭk | |
민남어 | se̍k | |
오어 | zaq (T5) | |
일본어 | 음독 | セキ |
훈독 | - | |
베트남어 | thạc |
뜻을 나타내는 頁(머리 혈)과 소리를 나타내는 石(돌 석)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래의 의미는 '머리가 크다'였지만 시간이 흐르며 그냥 '크다'로 전의되었다. 그 외에도 학식이나 덕망이 높다, 멀다, 견고하다 등 뜻으로도 쓰인다.
유니코드에는 U+78A9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口一月金(MRMBC)으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강민석(康珉碩)
- 권석현(權碩賢)
- 김석진(金碩珍)
- 나석현(羅碩鉉)
- 목진석(睦鎭碩)
- 박수석(朴秀碩)
- 양석환(梁碩桓)
- 이방석(李芳碩)
- 이석훈(李碩薰)
- 장두석(張斗碩)
- 정양석(鄭亮碩)
- 최윤석(崔允碩)
- 함인석(咸印碩)
- 홍석준(洪碩晙)
- 후숴제(胡碩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