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甕 독 옹 |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瓦, 1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8획 |
| 미배정 | 2급 | ||
| - | |||
| 일본어 음독 | オウ | ||
| 일본어 훈독 | かめ, みか, もたい | ||
| 瓮 | |||
| 표준 중국어 | wèng | ||
1. 개요
甕은 '독 옹'이라는 한자로, '독', '항아리', '옹기(甕器)' 등을 뜻한다.2. 상세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fff,#1c1d1f>독 |
| 음 | 옹 | |
| 중국어 | 표준어 | wèng |
| 광동어 | ung3 | |
| 객가어 | vung | |
| 민북어 | o̤̿ng | |
| 민동어 | áe̤ng | |
| 민남어 | òng[文] / àng[白] | |
| 어 | on (T2) | |
| 일본어 | 음독 | オウ |
| 훈독 | かめ, みか, もたい | |
| 베트남어 | úng | |
유니코드에는 U+751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VGN(卜女土弓)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瓦(기와 와)와 소리를 나타내는 雍(화할 옹)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㽫(가시연밥/북돋울 옹)
- 𢶜[⿱雍手](낄 옹)[3]
- 壅(막을 옹)
- 𦡚[⿱雍⺝](부스럼 옹)[4]
- 饔(아침밥 옹)
- 𦡈[⿱雍肉](악창 옹)
- 㻾(옥돌 옹)
- 䗸(옴벌레 옹)
- 罋(항아리 옹)
- 𠂅[⿱雍丸]
- 𠙰[⿱雍凡]
- 𬐷[⿱雍皿]
- 𲁅[⿱雍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