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8 22:53:39

맏누이 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c1d1f>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c1d1f>
8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シャ, ソ
일본어 훈독
あね, あねご, ねえ
-
표준 중국어
jiě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누이 저, 교만할 저, 누이 자(姐). '누이', '아주머니' 등의 뜻을 가진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c1d1f>누이 <colbgcolor=#fff,#1c1d1f>교만하다
<colbgcolor=#fff,#1c1d1f>저
중국어 표준어 jiě
광동어 ze2 ze2-1 geoi6
객가어 chiá
민동어 ciā
민남어 chiá, ché
오어 ji (T2), jia (T2)
일본어 음독 ソ, シャ
훈독 あね, あねご, ねえ
베트남어 thư, tỉ, tả

유니코드는 U+59D0에 배정받았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女月一(VBM)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여자 녀)와 소리를 나타내는 (공경스러울 저)가 합쳐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저저(姐姐)
  • 소저(姐)
  • 송씨저(姐)

4. 유의자

  • 누이 저, 자
    • (누이 매)
    • (여자 녀, 너 여)
    • (여자 낭)
    • (여자 희)
    • (아가씨 저, 여자 이름 지, 그녀 타)
    • (아가씨 희)
  • 교만할 저
    • (교만할 교)
    • (교만할 교)
    • (교만할 저)
    • (거만할 오)
    • (아리따울 교)
    • (배 부를 창)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여자의 자 달, 허황할 탄)
  • (짤 조)
  • (서로 상, 빌 양)
  • (곧을 동)
  • (떨칠 단, 올릴 걸, 멜 담)
  • (교만할 저, 거칠 조)
  • (항아 항)
  • (도마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