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릴 문자 (Кириллица) |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Ђ ђ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Ѕ ѕ | И и | І і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Ћ ћ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Џ џ | Ш ш | Ъ ъ | Ы ы | Ь ь | Ю ю | Я я |
기타 문자 |
제(Ђе).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 쓰이는 키릴 문자. 오스트리아 제국의 세르비아계 성직자이자 시인 루키얀 무쉬츠키(Лукијан Мушицки,1777~1837)에 의해 고안된 문자로, 중세 세르비아어와 보스니아어에서 치경구개 파찰음을 표기할 때 쓰이던 문자인 고대 키릴 문자 제르브(Ђерв, Ꙉ ꙉ)를 변형시킨 문자다. 세르비아의 언어학자 부크 카라지치가 키릴 문자 철자법을 세르비아어에 알맞게 개선하면서 이 문자를 도입했다. 세르비아어에서의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1] /d͡ʑ/, 유성 권설 파찰음 /ɖ͡ʐ/를 표기하는 데 쓰인다. 가이식 라틴 문자 표기법으로는 Đ đ로 옮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