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8 13:41:02

Tower Defense Simulator/Fallen Mode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NewLogo.png

[ 정규 게임 모드 목록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bgcolor=#191919> {{{#!folding [▼ 일반 게임 모드 펼치기· 접기 ▼] ||
(구) 게임 모드들 보러 가기



1. 트레일러2. 개요3. 특징4. 관련 배지5. 등장 인물 및 단체6. 등장 좀비7. 웨이브 1~22
7.1. 어브노멀(Abnormal)7.2. 퀵(Quick)7.3. 폴른 드래그 (Fallen Dreg)7.4. 폴른 스콰이어 (Fallen Squire)7.5. 브레이커2(Breaker2)
7.5.1. 브레이커(Breaker)
7.6. 폴른 소울 (Fallen Soul)7.7. 폴른 (Fallen)7.8. 폴른 자이언트 (Fallen Giant)7.9. 폴른 해즈맷(Fallen Hazmat)7.10. 포스드 아머(Possessed Armor)7.11. 폴른 네크로맨서(Fallen Necromancer)
7.11.1. 타락한 해골(Fallen Skeleton)
7.12. 커럽티드 폴른 (Corrupted Fallen)7.13. 폴른 세라프(Fallen Seraph)
8. 웨이브 23~29
8.1. 폴른 제스터(Fallen Jester)8.2. 폴른 히어로 (Fallen Hero)8.3. 브레이커4(Breaker4)
8.3.1. 브레이커3(Breaker3)
8.4. 네크로틱 스켈레톤 (Necrotic Skeleton)8.5. 폴른 러셔(Fallen Rusher)
9. 웨이브 30~39
9.1. 폴른 실드(Fallen Shield)9.2. 폴른 탱크(Fallen Tank)9.3. 폴른 엔젤(Fallen Angel)9.4. 폴른 아너 가드 (Fallen Honor Guard)9.5. 폴른 서머너(Fallen Summoner)9.6. 폴른 가디언(Fallen Guardian)
10. 최종 보스
10.1. 폴른 킹(Fallen King)

1. 트레일러

폴른 모드 리워크 트레일러
"Come on! Come on! Fallen King must see this!"
"어서! 어서! 타락한 왕께서 이걸 보셔야 한다고!"

"Attention your highness-"
"폐하께 말씀 드립니ㄷ-"[1]

"I finally retrieved it! Now are we ready to start the apocalypse again?"
"드디어 되찾아 왔습니다! 이제 다시 재앙을 시작할 준비가 됐을까요?"

타락한 해즈맷, 폴른 모드 리워크 트레일러에서.

2. 개요

파일:FallenHardcoreIcon.png Fallen Mode 파일:FallenHardcoreIcon.png
파일:FallenModeIconRework.png
[ 히든 웨이브 클리어 후 ]
파일:FallenHiddenWaveIcon.webp
레벨 제한 레벨 30 이상
총 웨이브 40 웨이브
42 웨이브[2]
스타트 캐시
그룹 보너스 X 파일:(k)타디시 돈.webp500$ 그룹 보너스 O 파일:(k)타디시 돈.webp600$
자금 분배량 12.5%
최종 보스 타락한 왕(Fallen King)[3]
각성한 타락한 왕[4]
승리 보상 파일:Coin.webp1000 코인 & 파일:TDSExp.png250 경험치

Tower Defense Simulator의 게임 모드인 Fallen Mode에 대한 문서.
등장 좀비를 비롯한 관련된 모든 정보를 서술한다.

3. 특징

파일:fallenthumbnail.png

모드에 등장하는 적들을 보아서 의역한다면 "타락한 군대"쯤 되겠다. 총 웨이브 40으로 몰튼과 동일하지만 더욱 튼튼하고 강력한 좀비들이 몰려오며, 처음으로 쉴드를 소유한 적들[5]과 타워를 기절시키는 적[6]과 특수능력을 지닌 적들[7]도 등장하기에 상당히 어렵다.[8] 참고로 게임 시작 전 난이도 선택 시간 도중 Fallen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선 플레이어 레벨이 30레벨 이상이여야 한다.

리워크로 인해 적들이 리워크되거나[9] 타락한 적으로 대체되면서[10] 맷집이 단단해지고 더욱더 강해지는 등 난이도가 이전보다 수직 상승하였다. 이전에는 몰튼 모드를 상위 버전으로 좀 더 어렵게 만든 정도였다면, 이제는 거의 특별 모드 수준으로, 아니 어쩌면 그 이상으로 난이도가 올라갔다. 게다가 위협적인 적들이 체력이 높은 채로 더 일찍 등장하고, 돈 수급도 데미지를 입히는 대로 돈을 주는 특별 모드와는 달리 중급과 하드코어처럼 적의 일정 체력이 깎일 시 지급+본인의 타워들이 입힌 피해 비례로 주는지라 재정 관리가 몇 배로 힘들어으니....[11]

리워크 이후 웨이브마다 랜덤하게 OST들이 재생된다.[12]

해커 업데이트때 폴른 모드가 미니 리워크되었다.[13] 물량이 크게 줄어들어서 이전보다 난이도가 훨씬 쉬워지다 못해 지나치다고 평가받아, 이후 다시 재조정되었다.

4. 관련 배지

"타락한 왕을 쓰러뜨리다"
파일:ErrorBusterNew.png
획득 가능
군단의 지도자.
보상: 파일:TDSExp.png250 경험치
"수상한데..."
파일:AprilFoolsBadgeSus.png
획득 불가 (만우절 기간 한정)
임포스터가 SUS 할 때! 1분의 시간만 있습니다.
보상: 파일:TDSExp.png150 경험치
"숨겨진 배지"
파일:CBadge.png
획득 불가 (Badlands Ⅱ클리어로 개편)
우리 둘이 있기엔 너무 좁네 형씨... Badland를 폴른으로 클리어 하세요!
보상: 카우보이 타워
"???"
파일:TDS ???.webp
획득 가능
설명없음.
보상:히든 웨이브 아이콘

5. 등장 인물 및 단체

5.1. Fallen Kingdom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allen Kingdom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allen Kingdom#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allen Kingdom#|]]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T.D.S 연맹

사령관
파일:REWCommanderNeutral.gif
정보
소속 T.D.S 연맹
직책 사령관
성우 Enthrallist

타락한 왕과 그의 군대를 저지하기 위해 나타난다.

6. 등장 좀비

7. 웨이브 1~22

BGM 공허 속으로
BGM 멜랑콜리 언덕
BGM 반란
BGM 비의 춤
BGM 무리
5개의 OST중 하나가 무작위로 재생된다.

7.1. 어브노멀(Abnormal)

비정상
파일:AbnormalFallen.png 파일:AbnormalFallenAnim2.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folding [▼ 다른 게임 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첫 출현 웨이브 1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8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8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9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평균 이상(3.5)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없음
추가 속성[14]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15]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8$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파일:사령관 공격적인.gif
"Look alive! We got Fallen incoming!"
"주위를 주시해라! 폴른이 오고 있다!"
파일:사령관 은밀하게.gif
"These guys mean buisness, be ready for anything."
"저놈들은 장난 따위가 아니다, 무엇이 오든 준비하도록."

사령관, 웨이브 1 돌입시.

이지, 몰튼, 중급 모드에서 연이어 등장하던 노멀의 강화판. 웨이브 1 부터 출현한다. 스탯이 노멀에 비해 비정상적인데, 체력이 8으로 상승하였으며, 이동 속도 역시 체감 날 정도로 상승하였다.

타락한 군대의 영향을 받은 걸 표현 한 건지 노멀과 유사하지만 좀 더 회색 빛이 도는 색을 지녔고, 얼굴과 팔에 핏줄이 여럿 떠오른 외형을 지녔다.

7.2. 퀵(Quick)

재빠른
파일:QuickFallen.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folding [▼ 다른 게임 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첫 출현 웨이브 3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1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11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12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빠름(6.5)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없음
추가 속성[16]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17], 파일:CorpseAttribute.png 시체[18], 파일:TDSNimble.webp 재빠른[19]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8$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Quick enemies incoming!"
"재빠른 적들이 접근 중이다!"
파일:사령관 공격적인.gif
"Don't let them catch you off guard!"
"놈들이 방심한 틈을 노리지 않게 해라!"

사령관, 웨이브 3 돌입시.

스피디의 강화판. 웨이브 3에서 등장한다. 또, 하드코어 난이도 웨이브 4에 등장한다. 속도가 원래 빠르던 게 더 빨라졌다.

매우 빠름이라 하기엔 조금 느리고, 빠름이라 하기엔 조금 빠른, 애매한 속도를 가지고 있다. 그 말은 즉슨, 볼트나 쇼크 보단 느린데, 탱크 같은 고속계 보스보단 빠르단 소리다.

그런데 저 속도도 프로스트 업데이트 이후로 속도가 약간 감소한 거다.[20]

인 게임에선 '빠른'이라고 직역으로 번역되었다.

폴른 모드 리워크로 체력이 약 2배가량인 10이 되어 버려서 방어하기 조금 더 까다로워진다. 즉, 기존의 비정상 수준의 방어 수준으로는 잘 막던 리워크 이전과는 달리 뚫려버릴 뿐만 아니라 초반부터 기지 체력이 야금야금 씹히는 현상도 발생한다.

7.3. 폴른 드래그 (Fallen Dreg)

타락한 부산물
파일:Fallen_Dreg.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5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50
체력(추가 인원)[21] 파일:TDSHealthIcon2.0.png 6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65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평균 이상(4)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없음
추가 속성[22]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23]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8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파일:사령관 가르치는.gif
"Reports say that Fallen Dregs are inbound."
"보고에 따르면 타락한 부산물들이 다가 오고 있다고 한다."
파일:사령관 생각중.gif
"Definitely a step up from the Abnormals."
"확실히 비정상에서 한 단계 나아갔군."

사령관, 웨이브 5 돌입시. [24]

기존의 헤비를 대체하는 적. 웨이브 5에 등장한다.

헤비보다 체력이 더 높아진 대신 방어력이 사라졌는데, 그만큼 이동 속도가 오히려 어브노멀보다 더 빠르다.

여담으로 해당 적의 모습은 The Hunt 이벤트의 적군인 코블록스 언데드의 모델링을 재탕한 것이지만, 아주 미묘하게 색감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니다.

7.4. 폴른 스콰이어 (Fallen Squire)

타락한 견습 기사
파일:FallenSquireAnim1.png 파일:FallensquireAnim2.png 파일:FallensquireAnim3.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7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275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31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34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평균(3)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파일:BossIcon.png보스[Boss][26]
추가 속성[27] 파일:AggroIcon.png 도발[28],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29], 파일:TDSTank.webp 탱크[30]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30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폴른 리워크 트레일러
파일:SquireCharge.gif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A Fallen Squire is leading the charge!"
"폴른 스콰이어가 공세를 이끌고 있다!"
파일:사령관 가르치는.gif
"Fallen Squires have aggro meaning they'll force your units to attack them."
"놈에겐 도발이 있어 자신을 우선적으로 공격 하도록 강제할 것이다."

사령관, 웨이브 7 돌입 시.

폴른 모드의 첫 번째 미니 보스이자 처음 폴른 모드에 도전하는 초보자들의 1차 관문. 웨이브 7부터 등장한다.

엘리트 어브노멀보다 이동 속도는 조금 더 느리지만 그만큼 방어력과 체력이 더 높다.

특히 주의해야 할 개체는 도발 특성을 지닌 폴른 스콰이어. 도발 특성 때문에 화력이 부족하다면 폴른 스콰이어가 공격을 받아내는 동안 다른 적들이 빠져나갈 위험이 있다. 그냥 화력으로 빠르게 죽이는 게 정석이고, 박격포 같은 광역 공격 타워나 한번에 다수를 타격 가능한 일렉트로 쇼커를 사용해 보스를 잡으면서 동시에 그 틈을 노려 질주 하는 적들을 잡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7.5. 브레이커2(Breaker2)

분해자2
파일:NEWBreaker2.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folding [▼ 다른 게임 모드 등장 여부 펼치기· 접기 ▼]
첫 출현 웨이브 9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8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95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10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약간 빠름(4.5)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없음
추가 속성[31] 파일:HiddenDetection2.0.png 히든[32],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33], 파일:TDSSlime.webp 슬라임[34], 파일:TDSHealthRegen.webp 체력 재생[35]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25$
소환자 브레이커3, 무덤 도굴꾼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스킬
분해 브레이커2가 사망하는 즉시, 브레이커를 소환한다.

죽으면서 더 약한 적을 소환 하는 특징을 지닌 적. 이지부터 하드코어까지 모든 게임 모드에서 얼굴을 내미는 개근상이기도 하다. 체력이 꽤 단단한 데다 죽으면서 추가로 적을 소환 하기 때문에 웨이브 시간을 지체하게 만드는 적. 제 시간 안에 웨이브를 끝내지 못할 경우 웨이브 클리어 보너스를 얻지 못하므로 경제적으로 손해를 가져다 주는 셈이다. 거기다 브레이커 2 + 소환되는 브레이커의 체력을 모조리 상대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가 더뎌지는 경우가 잦은 편.

하위 버전으로 아무것도 소환하지 않는 브레이커가 있고 상위 버전으로 좀 더 튼튼하며 자신을 소환하는 브레이커 3, 그리고 체력이 높은 미니 보스 버전이면서 브레이커 3를 셋이나 소환하는 브레이커 4가 있다.

죽으면서 "팡!" 하는 소리는 내는데, 처음 추가 됐을 당시엔 이게 "유리 깨지는 소리"였다. 하필 브레이커 계열 적이 처음 추가 된 게임 모드가 적들이 3배로 나오는 Badlands Ⅱ 였다. 안 그래도 쨍그랑 소리라 요란한데 그런 애들이 3배로 나온다 상상해보자. 실제로 엄청난 청각 테러가 발생 했었고 많은 유저들이 이 점을 지적 하였다. 결국 이후 유리 깨지는 소리에서 돌이 부숴지는 소리로 변경 되어 덜 시끄러워졌다. 이후 또 업데이트 되어 현재의 팡 터지는 소리가 되었다.
브레이커 2의 첫 디자인
파일:Breaker2.png
처음 게임에 추가 됐을 당시에는 지금과 달리 매끈하고 단순한 디자인을 지녔었다.[36] 복부에 조그맣게 소환하는 브레이커가 박혀 있는 건 덤. 이후 폴른 모드 리메이크와 함께 디자인이 전면 수정되어 지금의 선물 상자 같은 모습이 되었다. 사망하면서 색종이를 뿌리는 건 덤이고.
미스터리(수수께끼)
파일:Mystery6.png
본래 브레이커 2의 자리에는 미스터리(Mystery)라는 이름의 적이 있었는데, 이 적의 주 특징은 사망하면서 무작위 적으로 변신 하는 능력이다. 오히려 이 때문에 미니 보스가 잔뜩 소환 되는 등 골치 아픈 상황이 잦아지는 문제가 있었고 결국 시간이 흐르며 천천히 미스터리의 자리를 이 브레이커 2가 대체 하게 된 셈.

7.5.1. 브레이커(Breaker)

분해자
파일:NEWBreaker.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folding [▼ 다른 게임 모드 등장 여부 펼치기· 접기 ▼]
첫 출현 웨이브 N/A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4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5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55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약간 빠름(5.35)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없음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0$
소환자 브레이커2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브레이커2에게서 소환되는 적. 체력이 높고 빠른 편이라 브레이커2 만큼 위협적인 적이다. 특히 소환 될 때 짧은 시간 동안 적용 되는 무적 시간이 존재 하기 때문에 주변 타워의 공격을 예상 보다 더 많이 받아 낼 수 있다.
브레이커의 첫 디자인
파일:Breaker1.png
처음 추가 됐을 때는 위 사진처럼 완전 칙칙했다. 이후 폴른 리메이크와 함께 수정 되어 좀 더 밝은 색으로 변경되고 몸과 하체에 삼각 무늬가 추가 되었다.

7.6. 폴른 소울 (Fallen Soul)

타락한 영혼
파일:Fallensoul.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13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8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9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95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평균 이상(4)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파일:HiddenDetection2.0.png 히든[37]
추가 속성[38]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39]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 10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파일:사령관 은밀하게.gif
"Make sure you have some hidden detection prepared."
"히든을 감지할 수 있도록 준비 해뒀길 바란다."
파일:사령관 은밀하게.gif
"Got a feeling some stealth units are coming soon."
"곧 은신한 적들이 올 것 같은 기분이 들거든."

사령관, 웨이브 9 돌입시.

웨이브 13부터 출현하는 적. 이전 난이도에서 등장하던 히든의 강화 버전이다.

등장하는 시기가 히든보다 좀 늦은 대신, 체력이 80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 전에 히든 감지가 가능한 타워들을 잘 세워놓고 막자.

의외로 외형은 더 헌트 이벤트의 코블록스 영혼의 디자인을 재탕한 것이다.

7.7. 폴른 (Fallen)

타락한 자
파일:FallenAnim1.png 파일:NEWFallenAnim2.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14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3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34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37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빠름(7)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50%
속성 없음
추가 속성[40]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41]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300$
소환자 타락한 왕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A Fallen?! So Soon?!"
"폴른?! 이렇게 일찍?!"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The Fallen are acting more aggressive then usual!"
"폴른이 평소보다 더욱 공격적으로 나오고 있다!"

사령관, 웨이브 14 돌입시.

웨이브 14부터 등장하는 좀비. 타 난이도 전용으로 등장하는 아머드, 몰튼과는 다르게 상당히 위협적이다.

체력이 300으로 수준급인 주제에 이동 속도는 퀵 이상으로 빠르다. 딜링이 부족하면 막기가 굉장히 힘들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나마 아머드, 몰튼보다는 비교적 적게 등장하는 것이 위안이지만, 14 웨이브부터 일찍 등장하는 만큼 서둘러 강한 후반 타워들을 준비해두는 것이 좋다.

여담으로, 폴른 모드 리워크 트레일러 도입 부분에서 감옥에 갇힌채 철창을 흔드는 모습이나, 빙의된 갑옷 등장 웨이브때 사령관의 대사를 보면 타락한 군대의 최하위 계급으로 보인다.

7.8. 폴른 자이언트 (Fallen Giant)

타락한 거인
파일:FallenGiant.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16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3,0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3,40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3,70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약간 느림(2)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파일:BossIcon.png보스[Boss][43]
추가 속성[44]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45], 파일:TDSNimble.webp 재빠른[46], 파일:TDSHealthRegen.webp 체력 재생[47]
지급 캐시 체력의 25%당 파일:(k)타디시 돈.webp1,000$
소환자 타락한 왕, 각성한 타락한 왕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O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wiki style="margin: 10px"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A Fallen Giant is approaching!"
"폴른 자이언트가 다가온다!"
파일:사령관 공격적인.gif
"Don't be intimidated by its size, we got this!"
"그것의 크기에 쫄지 마라, 우리는 할 수 있다!"
사령관, 웨이브 16 돌입시.

웨이브 16부터 출현 하는 미니 보스이자 (구) 폴른 모드의 자이언트 보스의 타락한 버전.

일전에 등장한 몰튼 모드의 몰튼 골렘과 비교하면 방어력은 사라졌지만, 체력이 3,000으로 늘어났다.

공략법은 몰튼 골렘과 큰 차이가 없다. 화력으로 때려잡으면 된다.
자이언트 보스
파일:Reworked Giant Boss.gif
여담으로 타락한 거인의 모델은 본래 자이언트 보스의 리메이크 디자인 이었다.[48] 제작 도중에 계획이 바뀌어 기존 모델을 재사용하되 약간의 변화를 준 것으로 보인다. 해당 모델은 이후 챌린지 트라이얼 모드에서 사용되었다.

7.9. 폴른 해즈맷(Fallen Hazmat)

타락한 위험 물질
파일:Fallen_hazmat.png 파일:FallenHazmatAnim2.png 파일:FallenHazmatAnim3.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17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4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45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47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평균 이상(3.5)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60%
속성 없음
추가 속성[49]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50], 파일:AggroIcon.png 도발[51]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35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O 마비 면역 O 화염 면역 O 폭발 면역 X

웨이브 17 부터 등장하는 적. 캐주얼 & 중급 모드의 해즈맷과 몰튼 모드의 엘리트 해즈맷의 타락한 버전이다.

엘리트 해즈맷의 상위호환으로, 이동 속도는 조금 느려졌지만 체력이 더 늘어났다. 엘리트 해즈맷처럼 온갖 면역들을 가진 만큼 순수하게 화력로 때려잡아야 한다.
여담으로, 폴른 모드 리워크 트레일러에서 타락한 왕에게 신의 큐브 조각을 가져다 준 녀석이 이 녀석이다. 나름대로 엄청난 공을 세운 셈.

7.10. 포스드 아머(Possessed Armor)

빙의된 갑옷
파일:PossesedArmor.png
[ 갑옷이 벗겨진 상태 ]
파일:PossessedArmorBrokenCover.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19
능력치
체력 파일:ShieldHealth2.0.png 650 + 파일:TDSHealthIcon2.0.png 75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835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91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약간 빠름(3.5), 빠름(7[52])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60%
속성 파일:HiddenDetection2.0.png 히든[53][54]
추가 속성[55]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56]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1250$
소환자 타락한 왕, 타락한 소환사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파일:사령관 생각중.gif
"It it just me or is that piece of Armor possessed?"
"나만 저 갑옷이 빙의된 것처럼 보이는 건가?"
파일:사령관 생각중.gif
"Looks like the Fallen have been upgrading their ranks lately."
"보아하니 폴른이 최근 들어 자신들의 계급을 높이고 있는 모양이군."

사령관, 웨이브 19 돌입 시.

폴른 모드 19 웨이브에서 출전하는 적.

총 체력은 1,400에 방어력이 60%로 히든 보스류 적답지 않게 상당히 튼튼한 편인데, 쉴드 체력이 점점 깎여 나가면서 갑옷이 점점 벗겨지고 끝내 쉴드 체력이 모두 소진 되어 갑옷이 모두 벗겨지면 히든 특성이 붙는 유령으로서의 본 모습을 드러내는 게 특징이다.

의외로 방어력이 수준급이고 체력도 많은지라, 히든 보스를 상대하듯이 대처하면 화력 부족으로 빙의된 갑옷이 방어선을 뚫고 나가는 경우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특히 레인저나 추적자를 메인으로 쓰는 경우엔 보조로 크룩 보스나 미니 거너같은 타워를 챙겨가는 것도 좋다. 트래퍼나 로켓 티어로 광역 쓸기도 쏠쏠한 편.
설정화
파일:PossessedArmorCA.png
컨셉 아트가 존재한다. 본래 유령 상태에서도 뿔이 있을 예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7.11. 폴른 네크로맨서(Fallen Necromancer)

타락한 강령술사
파일:FallenNecromancer.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20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2,8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3,20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3,50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평균 이하(2.5)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파일:BossIcon.png보스[Boss][58]
추가 속성[59]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60]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200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O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스킬
타락 소환 지팡이를 땅에 내리쳐 타락한 해골 10마리를 소환한다.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A Fallen Necromancer is approaching!"
"폴른 네크로맨서가 다가온다!"
파일:사령관 공격적인.gif
"Take them out before they summon more enemies!"
"놈이 더 많은 적들을 소환하기 전에 처치하도록!"

사령관, 웨이브 15 돌입시.

웨이브 20부터 등장하는 미니 보스. 기존에 등장하던 네크로맨서의 강화 버전이면서 (구) 폴른 모드의 다크 네크로맨서를 대체한다.

몰튼 네크로멘서보다 굉장히 튼튼해졌는데, 깡체력만 2,800인 데다 주기적으로 체력 100짜리 해골 10마리를 소환하는지라 의외로 잘 버틴다.

네크로멘서를 때려잡을 단일 화력과 해골들을 잡을 범위 화력 모두 구비해두는 것이 좋다. 특히 로켓티어, 박격포가 카운터.
어둠의 강령술사
파일:(k)타디시 다크 네크로멘서 3.png
기존의 (구) 폴른 모드에 출현 하던 다크 네크로맨서. 타락한 네크로맨서로 대체 되면서 현재는 일부 주간 챌린지와 샌드박스 모드에서만 볼 수 있다.

7.11.1. 타락한 해골(Fallen Skeleton)

타락한 해골
파일:Necro_skele.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folding [▼ 다른 게임 모드 등장 여부 펼치기· 접기 ▼]
첫 출현 웨이브 N/A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1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115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125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평균 이상(4)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없음
추가 속성[61] 파일:HiddenDetection2.0.png 히든[62],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63]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60$
소환자 타락한 네크로맨서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타락한 해골의 사운드 효과음
사망 시

폴른 네크로멘서에게서 소환 되는 적. 한번에 5명씩 거기다 일부는 히든을 달고 나오기 때문에 조금 골치 아파질 수도 있다. 폭발 타워인 데모맨, 로켓티어나 물량에 특화된 파이로맨서로 제압하는 쪽이 편하다.

7.12. 커럽티드 폴른 (Corrupted Fallen)

잠식된 타락한 자
파일:CorruptedFallenAnim1.png 파일:CㅇrruptedFallenAnim2.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32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1,0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1,11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1,21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빠름(7.5)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20%
속성 없음
추가 속성[64]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65]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750$
소환자 타락한 왕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웨이브 21부터 등장하는 적. 기존의 폴른의 강화형이자 (구) 폴른 모드의 에러를 대체하는 적이다.

폴른과 상대법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체력이 폴른의 3배 이상인 만큼 더 많은 화력을 요구한다.

7.13. 폴른 세라프(Fallen Seraph)

타락한 세라프
파일:TheFallenSeraph.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22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225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26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289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평균 이상(4)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파일:FlyDetection2.0.png 비행[66]
추가 속성[67]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68]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25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We got some flying enemies on the way!"
"날아다니는 적들이 접근 중이다!"
파일:사령관 공격적인.gif
"If you haven’t prepared any anti-air detection, now’s the time to do so!"
"아직 대공 감지를 마련해두지 않았다면, 이제는 할 시간이다!"

사령관, 웨이브 22 돌입시.

웨이브 22부터 등장하는 적. 체력은 그다지 높지 않지만, 무려 비행 특성을 가졌다. 정규 모드에서 최초로 대공 화력을 요구하는 적.

대공 화력이 충분한지를 시험하는 적으로, 대공 대비가 아예 되어있지 않다면 말 그대로 지나가는 세라프들을 그냥 눈 뜨고 지켜봐야 한다. 대공 화력만 잘 갖췄다면 체력이 낮은 세라프들은 그다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

가장 좋은 카운터는 바로 박격포와 일렉트로 쇼커. 박격포는 애초에 절벽 타워 + 광역 공격 타워 + 레인저와 달리 빠른 공속과 저렴함으로 피자 파티에서도 자주 채용 되고 있었던 만큼 여기서도 효율이 매우 좋고, 일렉트로 쇼커는 최대 레벨 기준 100의 피해량에 최대 8명까지 연쇄 공격이 가능한데다가 스턴까지 붙어있어 한번에 세라프 여럿을 쓸어 버릴 수 있다. 다만 둘 다 설치 제한이 4개 밖에 되지 않다는게 함정 아닌 함정.

둘다 사용하기 꺼린다면 크룩 보스나 골든 크룩 보스로 비행 & 초방 & 서브딜의 3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

의외로 모델은 크람푸스의 복수 이벤트의 우는 천사의 모델을 재 사용 한 것이다.

8. 웨이브 23~29

BGM 셸쇼크
BGM 신경 파괴
BGM 손자병법
BGM 벌집으로 만들어라
4개의 OST중 하나가 무작위로 재생된다.

8.1. 폴른 제스터(Fallen Jester)

타락한 어릿광대
파일:FallenJester.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24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1000
체력(추가 인원)[69] 파일:TDSHealthIcon2.0.png 1,11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1,21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보통(3)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100%
속성 없음
추가 속성[70]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71]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80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교활한 속임수 길에 폭발하는 선물을 던져 폭발에 휘말린 적들에게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72]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 또는 "파일:TDSNimble.webp 재빠른[73]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 특성을 부여한다. 재빠른 특성은 여러 차례 중첩이 가능하다. 타락한 제스터 자신 및 보스 특성이 붙은 적들은 강화 시킬 수 없다. 타락한 제스터가 사망 할 때 자폭하며 1회 더 사용한다.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A Fallen Jester is approaching! This is no laughing matter!"
"폴른 제스터가 다가온다! 이건 웃을 상황 따위가 아니다!"
파일:사령관 공격적인.gif
"Those aren't regular presents they're throwing, they'll buff other enemies!"
"놈들이 던지는 것들은 평범한 선물이 아니다. 저건 다른 적들을 강화시킬 것이다!"

사령관, 웨이브 18 돌입시.

24 웨이브에 등장하는 폴른 모드의 적. 체력은 1,000에 100%에 달하는 방어력을 가졌다. 다만 24 웨이브에 등장하는 적 치고는 딱히 튼튼한 적은 아니지만, 교활한 속임수라는 스킬 때문에 위협적인 적이다.

교활한 속임수 스킬은 길에 선물을 던져 맞은 적에게 육중한 또는 재빠른 속성을 부여하는데, 사실상 오염된 황무지 Ⅱ에 등장하는 서킷의 성능 열화 버전이다. 단순 이속 버프로 끝나서 최대한 화력을 동원해 빨리 잡으면 되는 서킷과 달리 체력 2배 버프도 추가로 뿌리기 때문에 극도로 위험하다.

사망할 때도 그 자리에 폭발을 일으키는데, 이 또한 좀비에게 버프를 줄 수 있다. 스피디 킹 이나 방사능 모드의 서킷 같은 역할도 하는 셈. 쓰러질 때 고속계 좀비가 끼게 되어 방어선이 순식간에 무너지는 광경도 일어나지만, 보통 타락한 제스터가 죽을 때에는 선행한 좀비들이 다 떠나고 마지막에 쓰러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

미니 리워크 이전보다는 악명이 꽤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교활한 속임수가 성가신 스킬인 만큼 빠르게 처치하는 것이 좋다.

폴른 모드 미니 리워크 이전에는 체력과 방어력이 더 적었지만, 그만큼 더 일찍, 더 자주 등장해 폴른 모드의 최대 변수 요소이자 가장 짜증나는 적이었다. 사실상 미니 리워크 이전 악명높았던 웨이브는 대부분 폴른 제스터가 원인이었으며, 경우에 따라 극단적인 변수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공략들[74]에서도 운빨로 치는 경우가 있을 정도.

다른 웨이브에서도 까다롭지만 특히 웨이브 19, 31에서는 특히 조심해야 했다. 웨이브 19에선 폴른, 폴른 해즈맷 무리에게 육중한, 재빠른 속성을 부여해 강력한 체력, 이와는 대조적인 아주 빠른 속도와 적지 않은 물량으로 초반 방어가 허술하다면 이 폴른 & 폴른 해즈맷 러쉬에서 뚫리기 쉽다. 31웨이브에선 이미 맷집이 높은 폴른 자이언트, 비행 특성이 있어 성가신 폴른 세라프들에게 버프를 부여하기 때문에 자이언트가 탱킹을 하고 공중 적인 세라프가 앞으로 치고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대공 화력을 충분히 대비해두지 않았다면 그대로 뚫릴 수 있으니 주의.

그나마 위안이라면 후반 ~ 극후반 웨이브에서는 비교적 체력이 낮은 폴른 제스터는 육중한 특성을 달고 나와도 광역 딜링에 순식간에 삭제되곤 한다. 물론 그 와중에도 여전히 죽을 때마다 선물을 뿌려대기 때문에 성가신 건 매한가지지만.

일전에 달의 서곡 이벤트에서 Act 2의 적으로 등장한 마녀가 체력 2배 버프를 부여하는 물약을 던지는 스킬이 있었다. 이후에는 Hexscape 이벤트에서 같은 코드와 애니메이션을 쓰는 헥스 직조공이 나온다.[75]

외형이나 버프를 거는 선물을 던진다 거나 광대인 점 까지 아무래도 제스터 타워의 타락한 모습 일지도.[76]

8.2. 폴른 히어로 (Fallen Hero)

타락한 영웅
파일:FallenHero.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25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4,0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4,50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4,90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약간 빠름(4.5)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30%
속성 없음
추가 속성[77]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78], 파일:TDSNimble.webp 재빠른[79]
지급 캐시 체력의 50%당 파일:(k)타디시 돈.webp1,500$
소환자 타락한 왕, 각성한 타락한 왕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O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웨이브 25부터 등장하는 적. 폴른 리워크로 새로운 왕관과 제대로 된 갑옷을 차려 입은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체력은 4,000에 방어력은 30%. 사실상 좀 더 튼튼한 타락한 거인 정도에 그치는 적인지라 그다지 위협적이지 않은 적이다. 화력이 어지간히 부족한 상황이 아니라면 뚫릴 일도 거의 없는 편.
타락한 영웅
파일:(k)타디시 타락한 영웅 3.png
본래 타락한 영웅의 모습. 지금과 달리 전신이 검은 컬러고 도미누스를 쓰고 있으며 해골 견갑을 차고 있다. 이 시절엔 웨이브 39는 돼야 소환되는 적이다. 이 시절엔 체력 5,000에 방어력 50%에서 지금보다 더욱 강했다는 게 아이러니.

8.3. 브레이커4(Breaker4)

분해자4
파일:NEWBreaker4.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folding [▼ 다른 게임 모드 등장 여부 펼치기· 접기 ▼]
첫 출현 웨이브 30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2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23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25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평균(3)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35%
속성 없음
추가 속성[80] 파일:TDSHealthRegen.webp 체력 재생[81],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82], 파일:TDSNimble.webp 재빠른[83]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375$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스킬
분해 사망하는 즉시 3마리의 브레이커3를 소환한다.

폴른 모드 26 웨이브부터 등장하는 적.

브레이커2의 보스 버전이자 브레이커 계열의 마지막이다. 브레이커2가 그렇듯이 사망하면서 더 약한 브레이커3을 소환한다. 문제는 한 명만 소환하는 브레이커2와 달리 한번에 셋을 소환 한다는 것. 즉, 브레이커4 > 브레이커3 > 브레이커2 > 브레이커로 이어지는 4단 분리의 절정이 놈의 상징이나 다름 없다. 사실상 TDS에서 가장 많은 분열 횟수를 지닌 적이 된 셈.[84] 그런데 단순 4단 분리가 아니라 브레이커 4 > 브레이커 3 3마리> 브레이커 2 3마리> 브레이커 3마리로 한번에 총 10마리의 적이 튀어나오는 경이로운 수량이 더 큰 문제다. 한번에 10마리의 적이 튀어나오는 특성 상 실제 체력은 더욱 높다. 게다가 브레이커들이 소환되며 가지는 짧은 무적 시간 까지 있어 생각 보다 더욱 오래 버틴다. 박격포나 로켓 티어 같은 장거리 폭발 타워로 상대하거나 미니거너/액셀러레이터 + 사령관 스킬의 공격 속도 버프로 녹여버리는 쪽이 좋다.
브레이커 4의 첫 디자인
파일:Breaker4.png
처음 추가 됐을 때는 위 사진처럼 완전 단순한 디자인이었다. 이후 폴른 리메이크와 함께 수정 되어 좀 더 밝은 색으로 변경되고 몸과 하체에 별 무늬와 나오려다 만 브레이커 3가 추가 되었다.
미스터리 보스(수수께끼 보스)
파일:MysteryBoss2.webp
본래 브레이커 4의 자리에는 미스터리 보스(Mystery Boss)라는 이름의 적이 있었는데, 이 적의 주 특징은 사망하면서 무작위 보스로 변신 하는 능력이다. 오히려 이 때문에 중간 보스가 잔뜩 소환 되는 등 골 때리는 상황이 잦아지는 문제가 있었고 결국 시간이 흐르며 천천히 미스터리 보스의 자리를 이 브레이커 4가 대체 하게 된 셈.

8.3.1. 브레이커3(Breaker3)

분해자3
파일:NEWBreaker3.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folding [▼ 다른 게임 모드 등장 여부 펼치기· 접기 ▼]
첫 출현 웨이브 N/A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8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115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125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평균 이상(4)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20%
속성 없음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0$
소환자 브레이커4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스킬
분해 사망하는 즉시 브레이커2를 소환한다.

브레이커4로 부터 소환 되는 적.

사망하면서 브레이커2를 소환 하기 때문에 은근 잡기가 꺼리는 놈. 거기다 브레이커 4에서 소환 될 때는 아예 3마리씩 튀어나와서 배로 골치 아프다.
브레이커 3의 첫 디자인
파일:Breaker3.png
처음 추가 됐을 때는 위 사진처럼 그냥 브레이커 2의 색놀이에 불과했다. 이후 폴른 리메이크와 함께 수정 되어 좀 더 밝은 색으로 변경되고 몸과 하체에 마름모 무늬가 추가 되었다.

8.4. 네크로틱 스켈레톤 (Necrotic Skeleton)

괴사성 해골
파일:NecroticSkeleton.webp
출연하는 모드 Fallen
{{{#!folding [▼ 다른 게임모드 등장여부 펼치기· 접기 ▼]
첫 출현 웨이브 N/A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1000
체력(추가 인원)[85] 파일:TDSHealthIcon2.0.png 1,11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1,21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약간 빠름(7)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없음
소환자 타락한 소환사, 타락한 왕, 각성한 타락한 왕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스킬
질척한 절망 사망하면서 자폭, 자폭에 휘말린 주변 타워에게 4초 간 150% 공격 속도 증가 디버프를 걸고 유닛에게 40의 피해를 입힌다.
삶의 정수 사망하면서 10초 간 지속되는 보라색 웅덩이를 남긴다. 이때 웅덩이는 지나가는 모든 적들의 체력을 0.05초 간격으로 2 회복 시킨다.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That Skeleton look unstable! It must be cursed with Fallen magic!"
"저 해골은 불안정해 보이는군! 틀림없이 타락 마법으로 저주받았을 것이다!"
"Get some extra firepower on the field if you can!"
"가능하면 필드에 화력을 더 쏟아부어라!"

사령관, 웨이브 26 돌입시.

웨이브 26부터 등장하는 적. 타락한 소환사와 타락한 왕의 소환 패턴으로만 볼 수 있던 적이었으나, 폴른 모드의 미니 리워크 후 정식 적이 되었다.

폴른의 상위호환 쯤 되는 적. 단순하게 강한 화력으로 빠르게 처치하면 된다.

죽을 때 주변 타워들에게 공속 디버프를 걸고, 아군을 치유 할 수 있는 보라색 웅덩이를 생성하기도 하지만 거슬리는 정도에 그친다.

8.5. 폴른 러셔(Fallen Rusher)

타락한 돌격병
파일:TheFallenRusher.png
[ 방패가 파괴된 상태 ]
파일:FallenRusherNoshield.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28
능력치
체력 파일:ShieldHealth2.0.png 600 + 파일:TDSHealthIcon2.0.png 8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89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97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극도로 재빠름(12), 약간 빠름(6[86])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80%
속성 없음
추가 속성[87]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88], 파일:TDSNimble.webp 재빠른[89]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70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O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폴른 모드 웨이브 28부터 나오는 적. 12에 달하는 정신나간 수준의 이동 속도가 특징이다.

평상시 속도가 매우 빠른 데다 하드코어에 나오는 녀석과 달리 맷집도 좀 있는 편이라 타워의 수가 적거나 레인저 같이 공속이 느린 타워, 추적자처럼 재장전해야 하는 타워로만 상대하기 어렵다. 순간 화력으로 빠르게 방패를 박살내버리거나, CC기로 최대한 움직임을 늦춘 다음 잡아내야 한다.

9. 웨이브 30~39

BGM 카타르시스
BGM 황량한 디스토피아
BGM 지옥으로의 차원문
3개의 OST중 하나가 무작위로 재생된다.

9.1. 폴른 실드(Fallen Shield)

타락한 방패
파일:FallenShield.png 파일:FallenShieldSideView.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30
능력치
체력 {{{#white 파일:ShieldHealth2.0.png 5,000 + 파일:TDSHealthIcon2.0.png 10,000[90]15,000] }}}
체력(추가 인원)[91] 파일:TDSHealthIcon2.0.png 11,10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12,10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보통(3), 약간 빠름(5[92])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50%
속성 파일:BossIcon.png보스[Boss][94]
추가 속성[95] 파일:AggroIcon.png 도발[96],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97], 파일:TDSNimble.webp 재빠른[98]
지급 캐시 체력의 25%당 파일:(k)타디시 돈.webp3,000$
소환자 각성한 타락한 왕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O 마비 면역 O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스킬
경-여단의 돌격 쉴드 체력 파일:ShieldHealth2.0.png 5,000을 모두 소진하는 순간 방패를 땅에 내리꽂은 후 5초간 파일:SpeedIcon2.0.png약간 빠름(5)의 속도로 돌진한다.
인게임
파일:Fallen Shielder.png
"What's that rumbling? Do you hear something?"
"이 진동은 뭐지? 뭔가 들리나?"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WAIT A SECOND! There's a Fallen Shield storming down the field!"
"잠깐! 폴른 실드가 전장으로 돌진해오고 있다!"

사령관, 웨이브 30 돌입시.

웨이브 30부터 소수 정예로 등장하는 적, 60%의 만만치 않은 방어력과 총합 15,000의 쉴드 + 본체 체력을 지니고 있는 미니 보스이자 폴른 모드의 또 다른 고비. 자기 몸집 만한 방패를 들고 다니며 아군을 전선 중반 까지 제대로 끌고 가는 진정한 탱커다.

게다가 거기서 끝이 아니라 쉴드 체력 5,000이 전부 깎이는 즉시 방패를 땅에 내리 꽂은 후에 5초 간 빠르게 돌진한다. 보통 체력이 높은 적들은 속도가 느린 터라 앞서 나가는 빠른 속도의 적들을 탱킹 해주는데 무리가 있는데 돌진기가 있는 만큼 어느 정도 거리를 좁혀 폴른 히어로 등의 적들이 새어나가기 딱 좋은 상황을 만든다. 거기다 한술 더 떠서 빙결, 마비 면역까지 갖추고 있다보니 묶어두기가 여간 쉬운게 아니다. DJ의 모라색 트랙 스킬은 넉백은 먹히지 않으나 이속 저하는 가능해 이걸로 늦춰버리거나 붉은색 트랙 스킬이나 파이로맨서의 화염으로 방어력을 깎아 더 빠르게 잡을 수 있게 하는 것도 나쁘진 않다.

죽을 때 방패를 뒤로 내 던진 후 두고 보자는 듯이 철퇴를 앞으로 겨누다 그대로 쓰려져 버린다.

9.2. 폴른 탱크(Fallen Tank)

타락한 탱크
파일:TheFallenTank.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31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10,000
체력(추가 인원)[99] 파일:TDSHealthIcon2.0.png 11,10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12,10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빠름(7.5)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없음
추가 속성[100]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101], 파일:TDSNimble.webp 재빠른[102], 파일:TDSHealthRegen.webp 체력 재생[103]
지급 캐시 체력의 50%당 파일:(k)타디시 돈.webp5,00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31 웨이브에서 첫 등장하는 고속계 좀비[104]의 상위 보스 버전. (구) 폴른 모드의 탱크의 타락한 모습이다.

몰튼 메크의 상위 호환 답게 체력 대비 속도가 매우 빠르다. 체력이 10,000으로 실드 없는 폴른 실드와 동급인 주제에, 속도는 오히려 폴른보다도 빠르다. 덕분에 화력이 조금만 부족해도 타워들을 지나치며 미친 속도로 기지를 향해 돌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적은 38 웨이브에서 갑자기 등장하는 재빠른 특성을 단 폴른 탱크. 38 웨이브에서 갑자기 게임이 터진다면 십중팔구 이 탱크가 타워들의 순식간에 뚫어버리고 방어 포인트로 질주한 것이다. 안 그래도 빠른 이동 속도가 15라는 경악스러운 수준까지 높아지므로, 강력한 화력이나 디버프로 잡아내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방어력이 없는 맨몸에 면역도 전무해, 마비나 빙결 타워로 상대하면 쉽게 속도를 늦춰버릴 수 있고 방어력이 없는 만큼 화력이 취약해 만렙 액셀 / 골미 여럿에 쉽게 갈려 나간다.
탱크
파일:Tank3.webp 파일:Tankbet.png
일반 적군 베타
(구) 폴른 모드에 출현 하던 탱크. 이 당시엔 체력이 6,000으로 지금에 비해 좀 더 적었었다. 이 당시에도 아무것도 모르는 이제 막 폴른 모드에 도전한 입문자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적으로 악명 높았다. 그나마 위안인 점은 스피디 보스와는 달리 미스터리 보스에게선 절대 소환되지 않았다는 것.
탱크
파일:Tank-0.png
그 보다 더 예전인 2020년 10월 오버홀 이전으로 내려가면 탱크가 진짜로 악명 높았던 메가 업데이트 시절이 있다. 이 시절 탱크는 속도도 빠른데 거기다 바위를 던져 타워를 대량으로 마비 시키는 스킬에 체력이 무려 "12,000"이었다. 그 당시 스피디 보스의 체력이 겨우 1800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미쳐 돌아갈 수준의 체력이다. 지금 타락한 탱크가 10,000인데 반해 상당히 높았던 것.[105]

9.3. 폴른 엔젤(Fallen Angel)

타락한 천사
파일:FallenAngelV2.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33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5,000[106]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6,10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보통(4)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파일:FlyDetection2.0.png 비행[107] 파일:BossIcon.png보스[Boss][109]
추가 속성[110]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111], 파일:TDSNimble.webp 재빠른[112]
지급 캐시 파일:(k)타디시 돈.webp2,50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A Fallen Angel has made its appearance!"
"폴른 엔젤이 모습을 드러냈다!"
파일:사령관 공격적인.gif
"This is no ordinary flying enemy, its a lot bulkier then the rest!"
"놈은 단순한 날아다니는 적이 아니지, 다른 적들보다 훨씬 튼튼하다!"

사령관, 웨이브 33 돌입시.

웨이브 33부터 등장하는 적이자, 폴른 세라프의 상위 버전.

체력이 폴른 세라프의 10배에 달하지만, 이 시점에는 이미 대공 화력이 충분히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그다지 위협적이지 않은 적이다. 박격포와 일렉트로 쇼커로 충분히 상대가 가능하며, 레인저를 챙겨왔다면 보스 판정의 폴른 엔젤이더라도 그냥 썰려나간다.

9.4. 폴른 아너 가드 (Fallen Honor Guard)

타락한 의장병
파일:FallenHonorGuardV2.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35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80,0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88,10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96,10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약간 느림(2)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파일:BossIcon.png보스[Boss][114]
추가 속성[115] 파일:TDSHealthRegen.webp 체력 재생[116]
지급 캐시 체력의 25%당 파일:(k)타디시 돈.webp18,75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O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스킬
명예를 위하여 타락한 의장병이 지면을 향해 양 팔의 강철 도리깨를 휘둘러 원 형태의 파장을 일으킨다. 퍼져나가는 파장 내의 모든 타워가 기절 당하고, 유닛에게 피해를 입힌다.
경비대의 은혜 지나가는 자리에 2초 간 지속되는 보라색 웅덩이를 0.5초 간격으로 남긴다. 이때 웅덩이는 지나가는 모든 적들에게 2초 간 지속되는 5% 속도 증가 효과를 부여한다. 이 효과는 여러 차레 중첩 된다.
파일:사령관 실망한.gif
"Just when I thought we saw the worst of it."
"우리가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다고 생각했는데."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That is the most menacing champion of the Fallen I've ever seen!"
"저건 내가 본 것 중 가장 매서운 타락한 군대의 투사인 것 같군!"
파일:사령관 공격적인.gif
"We need to do something quick if we got any chance of surviving this!"
"우리에게 살아남을 가능성이 있다면 뭐라도 빨리 해야 한다!"

사령관, 웨이브 35 돌입시.

웨이브 35부터 소수 정예로 출전하는 적. 말이 소수 정예지, 폴른 모드 전체를 통틀어 딱 1번만 등장하고 후술할 스탯도 위협적인 만큼 몰튼 처형자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 골치 아픈 적이다.

체력이 무려 80,000 으로 후에 등장할 폴른 가디언의 2배 가까이 되는데, 4인 플레이 시엔 무려 96,100으로 체력 10만의 실험체 제 0호의 체력에 근접하게 된다. 거기다 지나가는 자리에 아군의 속도를 5% 증가시키는 웅덩이를 남기며, 주기적으로 광역 마비 패턴을 사용한다.

체력은 많지만 이동 속도가 느린 만큼, 화력을 꾸준히 누적시키면 잡아낼 수 있다. 여유가 있다면 광역 마비를 풀어줄 메딕을 챙기는 것도 도움이 된다.

무덤 도굴꾼 업데이트 이후에 아너 가드이 스킬을 쓰지 않는 치명적인 버그가 생겼다. 다행히 TDS X PLS donate 업데이트 이후 수정 됐다.

카메라 진동 설정을 켜두면 걸을 때마다 화면이 조금씩 흔들린다. 덩치도 준 보스 수준이고 갑옷에 도리깨 무게도 더해져 상당한 체급을 자랑하는 모양이다. 흔들리는 정도가 어찌나 심한지 후에 패치로 흔들리는 강도가 줄었을 정도.

9.5. 폴른 서머너(Fallen Summoner)

타락한 소환사
파일:FallenSummonerV2.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37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20,0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22,10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24,10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매우 느림(1.25)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파일:HiddenDetection2.0.png 히든[117][118], 파일:BossIcon.png보스[Boss][120]
추가 속성[121] 파일:TDSHealthRegen.webp 체력 재생[122],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123]
지급 캐시 체력의 25%당 파일:(k)타디시 돈.webp10,00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스킬
타락한 자의 비상 지팡이를 땅에 내리쳐 6마리의 빙의 된 갑옷(65%) 또는 괴사성 해골(35%)을 소환 한다.
유령 상태 체력이 50% 이하가 될 경우 {{{#white 파일:HiddenDetection2.0.png 히든[124]히든 감지(Hidden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 속성을 가지게 된다.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We got reports of a Fallen Summoner making its way here!"
"폴른 서머너가 오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
파일:사령관 공격적인.gif
"This is a step up from the Necromancer, we can’t give it the chance to bolster their numbers!"
"네크로멘서에서 한 단계 나아갔군, 놈들이 수를 불릴 기회를 줘서는 안 된다!"

사령관, 웨이브 37 돌입시.

웨이브 37부터 등장하는 적. 포지션만 놓고 보면 (구) 폴른의 소환사 보스네크로맨서 보스와 거의 유사하다.

체력은 20,000이며, 37 웨이브에서는 육중함과 재빠름을 모두 달고 나온다. 딱히 별 면역이 없다는 점을 이용해 일렉트로 쇼커나 빙결 타워로 묶어 놓는 쪽에 최대한 상대하기 편하다. 거기다 체력의 반이 깎이면 히든 특성이 붙어 레인저, 엔지니어의 센트리들, 추적자[125]와 같은 타워는 공격 할 수 없으니 액셀, 포탑, 골미와 같은 타워로 빠르게 잡아버리자.
소환사 보스
파일:(k)타디시 소환사 보스 3.png
네크로맨서 보스
파일:Bnecropw2.png
(구) 폴른 모드에 출현하던 소환사 보스와 네크로맨서 보스는 이렇게 생겼다. 각각 8,000, 14,000의 체력을 가지고 있었고 소환사 보스는 미스터리와 미스터리 보스를, 네크로맨서 보스는 저주 받은 해골을 소환 했었다. 소환사 보스는 일부 주간 챌린지 및 샌드박스의 레거시 폴른 모드에서 볼 수 있고, 네크로맨서 보스는 오염된 황무지 소규모 리워크로 "네크로맨서 킹(Necromancer King)"으로 개명 되고 능력치가 급증했다.

9.6. 폴른 가디언(Fallen Guardian)

타락한 수호자
파일:FallenGuardianV2.png
출연하는 모드 Fallen
첫 출현 웨이브 38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40,0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44,10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48,10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약간 느림(2)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30%
속성 없음
추가 속성[126] 파일:TDSBloated.webp 육중한[127], 파일:TDSNimble.webp 재빠른[128]
지급 캐시 체력의 25%당 파일:(k)타디시 돈.webp8,00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X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스킬
황실 참격 부채꼴 모양으로 검을 휘둘러 범위 내의 모든 타워를 3초간 기절시키고 유닛에게 150의 피해를 입힌다. 경우에 따라 2연속으로 휘두르는 경우도 있다.
파일:사령관 무서운.gif
"A Fallen Guardian on the field!"
"타락한 수호자가 전장에 등장했다!"
파일:사령관 은밀하게.gif
"But, If he is here, then you know who is coming soon."
"허나, 만약 놈이 여기 있다면, 곧 누가 올진 잘 알겠지."

사령관, 웨이브 38 돌입 시.

웨이브 39에서 등장하는 미니 보스이자, 후에 웨이브 40에서 타락한 왕을 호위하며 등장하는 호위무사.

폴른 아너 가드의 하위호환이지만, 준보스급 적 아니랄까봐 상당히 거슬리는 적이다. 체력이 40,000으로 매우 높으며[129] 여기에 범위가 다소 좁긴 해도 다수의 타워를 마비시키는 페턴을 사용한다. 일전의 보스들이 그렇듯이 화력으로 밀어버리는 게 최우선.

39 웨이브에서 1기, 40 웨이브에서 3기 등장하는 것이 끝이다.
타락한 수호자
파일:(k)타디시 타락한 수호자 3.png

본래 도미누스를 쓰고 창을 휘두르는 창병 컨셉이었으며, 웨이브 40에서만 소환되었다. 이 시절엔 체력이 지금의 절반인 14,000이었다.

10. 최종 보스

10.1. 폴른 킹(Fallen King)

파일:NewLogo.png
모든 최종 보스 일람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보스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반 게임 모드
Easy
브루트
Casual
무덤 도굴꾼
Intermedate
실험체 제 0호
파일:Brute_BannerV2.png
[[Tower Defense Simulator/Casual Mode#s-8.1|
파일:Grave_Digger_Banner.png
]]
[[Tower Defense Simulator/Intermediate Mode#s-8.1|
파일:P_Zero_Banner.png
]]
Molten
몰튼 워로드
Fallen
타락한 왕
Hidden Wave
각성한 타락한 왕
[[Tower Defense Simulator/Molten Mode#s-8.1|
파일:Molten_Warlord_Banner_V2.png
]]
[[Tower Defense Simulator/Fallen Mode#s-8.1|
파일:Fallen_King_Banner.png
]]
[[Tower Defense Simulator/Hidden Wave#s-6.2|
파일:A_Fallen_King_Banner.png
]]
특별 게임 모드
Polluted Wasteland Ⅱ
방사능 괴수
Badlands Ⅱ
총잡이
Pizza Party
욱스 더 폭스
[[Tower Defense Simulator/Polluted Wasteland Ⅱ#s-6.4.1|
파일:Nuclear_Monster_Banner.png
]]
[[Tower Defense Simulator/Badlands Ⅱ#s-6.1|
파일:Gunslinger_Banner.png
]]
[[Tower Defense Simulator/Pizza Party#s-6.1|
파일:Wox_Banner.png
]]
챌린지 모드
Challenge Trials
챔피언 템플러
[[Tower Defense Simulator/Challenge Trials|
파일:Templar_Banner.png
]]
하드코어
Hardcore
타락한 소드마스터
공허 파괴자
[[Tower Defense Simulator/Hardcore Mode|
파일:HardcoreRender.png
]]
이벤트 보스들 보러 가기
기타 보스들 보러 가기
}}}}}}}}} ||

타락한 왕
파일:MatchmakingFallenKingRender.webp
파일:FallenKingReworkV3.png
출연하는 모드 & 웨이브 40 (Fallen)
능력치
체력 파일:TDSHealthIcon2.0.png 200,000
체력(추가 인원) 파일:TDSHealthIcon2.0.png 220,100 (트리오), 파일:TDSHealthIcon2.0.png 240,100 (쿼드)
속도 파일:SpeedIcon2.0.png 매우 느림(1.3)
방어력 파일:Defense2.0.png 0%
속성 파일:BossIcon.png보스[Boss]
지급 캐시 체력의 10%당 파일:(k)타디시 돈.webp20,000$
면역
파일:Freezeimmune.png 파일:Nostun.png 파일:Fireimmune.png 파일:TDSexplosionno.png
빙결 면역 X 마비 면역 O 화염 면역 X 폭발 면역 X
(구) BGM 타락한 보스[131][132]
(신) BGM 공허의 발걸음
타락한 왕의 사운드 효과음
지휘 하는 지도자 스킬 사용시

병력 투입 스킬 사용시
포일, 에페, 사브르 스킬 사용시
타락한 왕이 죽으면서
히든 웨이브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죽을 때
스킬
지휘하는 지도자 검을 앞으로 겨누고 10명의 괴사성 해골을 0.25초 간격으로 소환한다.
병력 투입 포효하며 검을 위로 들어 올려 다수의 빙의 된 갑옷(35%), 타락한 거인(15%), 타락한 영웅(15%), 잠식된 타락한 자(35%)을 소환한다.
포일, 에페, 사브르 검을 총 3번 휘둘러 범위 내의 모든 타워를 6초 간 기절 시키고 유닛에게 큰 피해를 입힌다. 이때 1, 2번째 공격은 반원, 마지막 3번째 공격은 완전한 원형 범위로 공격한다.
타락한 혜성 검을 땅에 꽃아넣고 오른쪽 팔을 들어올려 보라색 가시들을 타워 바로 위에 생성한뒤 그대로 내려꽂아 5초간 기절시키고 휘말린 유닛에게 50 피해를 준다.
골격 갑옷 타락한 왕이 체력이 줄어들 수록 더 많은 방어력을 지니게 되어 최종적으로 60%의 방어력을 지니게 된다. 체력이 20%로 줄어들 때 한번, 35%로 줄어들 때 한번, 50%로 줄어들 때 한번 방어력 20%를 얻는다.
파일:사령관 은밀하게.gif
"He's coming..."
"그가 오고 있군..."
파일:사령관 공격적인.gif
"I hope you ready. soldier. The Fallen King is upon us!"
"제군이여. 난 자네가 준비되어 있길 바라네. 타락한 왕이 오고 있다!"
파일:사령관 공격적인.gif
"TAKE HIM OUT QUICKLY!!!"
"당장 저 자를 쓰러트리도록!!!"

사령관, 웨이브 40 돌입시.

폴른 난이도 웨이브 40에 등장하는 적이자 Tower Defense Simulator의 최종 보스.

강력한 체력[133]과 더불어 스킬의 압박도 상당하다. 그리고 그 높은 체력에 맞지 않게 속도도 만만치 않은 편이다. 실제로 보면 엄청나게 빠르게 느껴진다.

패턴이 많고 매우 튼튼한 만큼 솔로 클리어로 도전한다면 타워 5개 모두 고성능의 타워들로 구비해 놔야 안정적으로 클리어할 수 있다. 엑셀, 엔지니어, 골든 미니거너가 당연히 강력한 메인 딜러들로 꼽히나, 아직 저 타워들이 없는 중수라도 터렛이나 레인저 같은 상점 타워, 혹은 레벨 보상 타워도 괜찮은 성능을 지녔으니[134] 이들을 메인으로 삼고 안정적인 초반 방어를 위해 밀리턴트나 크룩 보스[135]를 챙겨가자.

파일:Sussy한 타락한 왕.png
타락한 왕의 Among Us 버전이 있다. 원래는 Among drip이 유행할 때 한 팬이 합성해 만들었는데 이게 쓸때 없이 엄청난 퀄리티로 인해 관련 영상에서 거의 항상 쓰였고 개발진이 공식적으로 2021년 만우절 당시 로블록스 배너에 사용하는 상황까지 오게 되었다.

파일:fkproblem?.webp
그 외에도 공식 Discord 서버에서 쓸 수 있는 이모지 중에는 Troll Face 버전도 존재한다.

(구)방사능 폴른에서 강화 버전인 방사능 타락한 왕이 대신 등장하기도 했으나, 서리 침략 업데이트로 삭제되고 이후 오염된 황무지 ll가 추가 되면서 방사능 괴수로 대체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폴론 모드가 리워크 되면서 완전히 리메이크 되었다. 일단 외형이 더욱 위협적으로 변하고 그에 맞게 푸른 눈 또한 상시로 보이게 변경되었으며 분노 모드가 삭제되었다. 다만 하드코어 모드에서는 여전히 리워크 전 모습으로 등장한다. 무려 4년 가까이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던 게 더욱 놀라운 수준.[136]

TDS 보스들 중에서 유일하게 패턴 사용이 랜덤이 아닌 정해진 순서 대로 사용 한다. 사용하는 순서는 "포일, 에페, 사브르 > 병력 투입 > 지휘하는 지도자 > 포일, 에페, 사브르 > 병력 투입 > 포일, 에페, 사브르 > 지휘하는 지도자 > 포일, 에페, 사브르 > 병력 투입 > 포일, 에페, 사브르 > 지휘하는 지도자 > 병력 투입 > 포일, 에페, 사브르" 순서로 사용하고 이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반복한다.

사망 시 리워크 전에는 그냥 쓰러졌었으며, 리워크 후에는 검을 던져버린 직후 그대로 푸른 빛 기둥에 휩싸여 소멸한다.[137] 허나 특정 조건을 맞출 경우 사망할 때 기존과 달리 땅을 짓밟은 후 검을 내던지고 그대로 조용히 소멸하는 더 빠른 모션이 나온다.

2025 Null & Void 이벤트의 컷씬에서 간접적으로 재등장. 패배 후 남겨진 갓 큐브 조각은 TDS 연맹이 회수해갔다.
이전 디자인
파일:FallenKing.webp 파일:FallenKingHardcore.webp 파일:(k)타디시 타락한 왕 3.png
2019년 10월 13일 ~ 2020년 8월 27일 [138] 2020년 8월 28일 ~ 2020년 10월 28일 [139] 2020년 10월 29일 ~ 2024년 8월 2일 [140]


[1] 이때 타락한 왕에게 갓 큐브 조각을 건내주려다가 넘어져서 말이 끊어진다.[2] 히든 웨이브[3] 총 체력 200,000, 40 웨이브에 소환, 4가지 스킬 사용.[4] 총 체력 1,000,000, 42 웨이브에 소환, 5가지 스킬 사용.[5] 방어력은 업데이트로 몰튼 등의 모드에도 생겼다[6] 철퇴를 휘두르며 광역 스턴을 일으키는 타락한 의장병, 레이저 방출로 장거리 스턴을 유발하는 템플러, 검으로 타워들을 광역으로 썰고 다니는 타락한 수호자가 있다.[7] 본인부터 공격하게 하여 다른 적들을 놓치게 하는 타락한 견습기사와 적들에게 버프를 거는 타락한 어릿광대, 자폭으로 타워들에게 디버프를 거는 부머와 괴사성 해골 등[8] 거기에 더해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 타락한 자나 타락한 러셔, 타락한 탱크 같은 고속계 적들과 타락한 세라프나 타락한 천사같이 날아다니는 적이 가득하기 때문에 이런 적들이 방어선을 뚫고 패배를 유발 할 수도 있다.[9] 비정상, 퀵, 헤비, 폴른, 타락한 영웅, 타락한 수호자, 타락한 왕 등[10] 비정상 보스->타락한 견습기사, 네크로맨서->타락한 네크로맨서, 탱크->타락한 탱크, 네크로맨서 보스->타락한 소환사 등[11] 재정 관리가 하드코어에 버금갈 정도로 어렵다. 적어도 하드코어는 방어에 충실히 임하면 돈이 잘 들어오기는 하지만 폴른은 입힌 피해 비례+ 각 좀비별 들어오는 돈의 배분 때문에 거의 돈이 안 들어오는 수준으로 굉장히 적다. 체력 5000짜리의 적을 기준으로 1500의 피해를 입힐때마다 500씩 주고 최종 처치 시 500을 준다고 가정했을 때 대미지 비중이 40%일 경우 200씩 4번 얻기 때문에 기껏 5000짜리 적을 잡아도 800 혹은 그 이하로밖에 얻지 못하는 상황이 흔하게 나온다. 트리오 이상에서는 유저들이 타워들을 다량으로 설치하기에 더더욱 배분이 높아져 여기에서 훨씬 더더욱 줄어든다. 다만 설치 가격과 업그레이드 가격 50% 증가로 농장을 만렙 찍기도 부담스러운 하드코어와는 달리, 폴른은 농장을 통해 상술한 수입 문제를 상쇄할 수 있으므로 하드코어에 비할 바는 돼지 못한다.[12] 이후 이지 모드와 중급 모드에도 적용됬으며 리워크 이후 몰튼 모드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13] 타락한 제스터가 다수에서 단일 개체로 타락한 전사는 어그로가 사라졌다. 그리고 몇몇 적들의 등장 시기가 늦춰지거나 마비 면역이 없어졌다. 그리고 폴른 킹의 새로운 스킬이 생겼고 헤비 대신 타락한 드레그가 대체되고 템플러, 엘리트 부머는 사라졌다.[14]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15]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16]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17]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18] 특성이 적용된 적이 사망할 경우 그 자리에 녹아내린 시체를 소환 한다.[19]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20] 프로스트 업데이트 전엔 볼트랑 쇼크 심지어 글리치랑 에러보다 빨랐다.[21] Fallen[22]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23]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24] 현재 타락한 부산물로 대체되었으나, 대사는 변경되었다.[Boss] 파일:Freezeimmune.png빙결 면역, 파일:Nostun.png마비 면역, 파일:ToxicGunnerImmune2.0.png독 면역, 파일:ConfusionBomb.png혼란 면역, 파일:NukeIcon.png낙진 면역, 파일:TDSKnockback.png넉백 면역, 파일:TDSoundtrack.pngDJ 트랙 면역, 파일:Defense2.0.png방어력 감소 면역을 포함함.[26] 첫 등장에 한해 적용되며, 이 이후론 이 특성 없이 등장한다.[27]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28] 모든 타워가 자신을 최우선으로 공격하도록 유도 한다.[29]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30] 받는 모든 피해를 최대 1로 제한함.[31]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32] 유닛의 충돌 및 히든 감지(Hidden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33]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34] 특성이 적용된 좀비가 사망할 경우 슬라임을 소환함.[35] 2초 마다 최대 체력의 2%를 회복함.[36] 자세히 보면 바느질 한 듯한 재봉 자국이 있다.[37] 유닛의 충돌 및 히든 감지(Hidden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38]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39]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40]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41]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Boss] [43] 첫 등장에 한해 적용되며, 이 이후론 이 특성 없이 등장한다.[44]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45]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46]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47] 2초 마다 최대 체력의 2%를 회복함.[48] 그래서 그런지 뒷모습을 보면 등에는 본래 자이언트 보스와 동일하게 칼빵이 꽂혀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칙칙한 색 배열 또한 아주 유사하다.[49]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50]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51] 모든 타워가 자신을 최우선으로 공격하도록 유도 한다.[52] 갑옷이 파괴 된 후.[53] 유닛의 충돌 및 히든 감지(Hidden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54] 갑옷이 파괴 된 후.[55]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56]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Boss] [58] 첫 등장에 한해 적용되며, 이 이후론 이 특성 없이 등장한다.[59]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60]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61]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62] 유닛의 충돌 및 히든 감지(Hidden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63]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64]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65]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66] 비행 감지(Flying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67]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68]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69] Fallen[70]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71]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72]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73]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74] NST 공략이나, 폴른 스킨 미션 퀘스트 공략 등.[75] 이후 오염된 황무지 소규모 리워크로 "돌연변이성 충해"로 개명 되어 등장한다. 체력도 제스터 보다 높은데다 같이 등장하는 적들의 체력이 상대적으로 더욱 압도적이다 보니 이쪽이 타락한 제스터 보다 더 싫다는 유저도 생겨나고 있다.[76] 실제로 타락한 제스터의 선물이 터질 때 나오는 효과는 다름 아닌 제스터 타워의 혼란 폭탄 폭발 효과다.[77]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78]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79]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80]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81] 2초 마다 최대 체력의 2%를 회복함.[82]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83]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84] 덕 헌트 전까지는[141] 일식 이벤트의 태양의 파편 > 달의 파편 > 달의 먼지의 3단 분리가 최대였다.[85] Fallen[86] 방패 파괴 된 후.[87]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88]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89]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90] 총합[91] Fallen[92] 경-여단의 돌격 스킬 사용 중에 한해.[Boss] [94] 첫 등장에 한해 적용되며, 이 이후론 이 특성 없이 등장한다.[95]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96] 모든 타워가 자신을 최우선으로 공격하도록 유도 한다.[97]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98]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99] Fallen[100]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101]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102]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103] 2초 마다 최대 체력의 2%를 회복함.[104] 이지, 캐주얼, 중급 모드의 볼트, 격분한 자, 스피디 보스, 실패한 실험체와 몰튼 모드의 몰튼 메크, 몰튼 하운드.[105] 사실 12,000이라는 체력도 파워 인플레가 진행된 현 시점에선 체력이 매우 높은 수준까진 아니나, 당시에는 순간 화력이 제일 강했던 타워가 무법자 정도밖에 없었다는 것이나 당시 탱크보다 체력이 높았었던 정예 몹들은 템플러, 소환사 보스가 끝이였던 점도 감안해야한다.[106] 샌드박스에선 2,500[107] 비행 감지(Flying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Boss] [109] 첫 등장에 한해 적용되며, 이 이후론 이 특성 없이 등장한다.[110]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111]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112]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 시킴.[Boss] [114] 첫 등장에 한해 적용되며, 이 이후론 이 특성 없이 등장한다.[115]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116] 2초 마다 최대 체력의 2%를 회복함.[117] 유닛의 충돌 및 히든 감지(Hidden Detection)가 가능한 타워 & 유닛만이 공격 가능.[118] 유령 상태 돌입 시.[Boss] [120] 첫 등장에 한해 적용되며, 이 이후론 이 특성 없이 등장한다.[121]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122] 2초 마다 최대 체력의 2%를 회복함.[123]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124] 유닛의 충돌 및[125] 미사일 특화 루트 제외.[126] 게임 도중 적용 될 수 있는 특성들이다.[127]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체력을 2배로 증가 시킴.[128] 특성이 적용된 좀비의 이동 속도를 2배로 증가시킴.[129] 특히 39 웨이브에 등장하는 폴른 가디언의 경우 폴른 제스터에게 버프를 받는 경우가 잦아 순간 화력으로 빠르게 잡아내는 게 아닌 이상 육중함과 재빠름을 모두 달게 되는데, 이 경우 깡스탯만큼은 폴른 아너 가드보다 뛰어나다.[Boss] [131] 다른 보스들과 달리 BGM이 등장과 동시에 재생되는 것도 아니고 거의 모든 이벤트 보스들처럼 마지막 웨이브가 시작하자마자 재생되는 것도 아닌 보스가 등장하기 몇 초 전부터 브금이 나오는 상당히 특이한 케이스이다.[132] 아마 타락한 수호자가 먼저 나오면서 BGM이 재생되는 걸로 봐선 수호자를 통해 긴장감을 고조 시키고 그 뒤에 보스가 출현하여 증폭 시키려는 의도 일지도. 현재는 음악이 슬슬 강해지기 시작하는 구간부터 수호자가 나오고, 박자가 한번 더 격해지는 구간에서 폴른 킹이 등장한다.[133] 무려 이전 난이도의 실험체 제 0호2배 다. 둘 사이의 체력 격차가 어마어마하다. 거기에 더해 몰튼 워로드랑은 고작 50,000 차이다.[134] 레인저는 느린 공속이 단점으로 잡혀있으나 역으로 절벽 타워라 공격에 면역이고 강력한 보스급 적에게 한번에 1,100에 달하는 피해를 박는다. 터렛도 엄청난 사거리와 400을 넘기는 Dps덕에 괜찮은 편.[135] 이 둘 모두 초반 성능이 괜찮고 거기다 추가적으로 비행 감지가 붙어있어 골치 아픈 타락한 세라프들과 타락한 천사들을 잡는데 적지 않은 기여가 가능하다.[136] 무덤 도굴꾼과 몰튼 보스도 여전히 남아있지만 무덤 도굴꾼은 기존의 모습에서 더더욱 위협적인 모습으로 변경 됬고, 몰튼 보스는 아예 몰튼 워로드라는 이름으로 개명 되었다.[137] 일전에 더 헌트 이벤트의 코블록스 데스워커가 비슷한 연출을 보여 준 선례가 있다.[138] 첫 추가(메가)) 이후, 하드코어 베타 이전.[139] 하드코어 베타 당시, 하드코어 정식 출시 이전.[140] 하드코어 정식 출시 후 폴른 리워크 이전.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if external != "o"
[[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uuid=c0af2e11-274a-4cb8-9978-52bcc8d5e0a6|r1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uuid=c0af2e11-274a-4cb8-9978-52bcc8d5e0a6#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from=10|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if external != "o"
[[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uuid=c0af2e11-274a-4cb8-9978-52bcc8d5e0a6|r1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uuid=c0af2e11-274a-4cb8-9978-52bcc8d5e0a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Tower Defense Simulator/게임 모드?from=10|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 히든 웨이브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ower Defense Simulator/Hidden Wav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ower Defense Simulator/Hidden Wav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ower Defense Simulator/Hidden Wav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1] 덕 헌트에서는 어미 오리가 어미 오리 > 수레 > 알돌이 > 오리/멋진 오리/살찐 오리/스파이 오리로 4단분리를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