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3 11:57:01

SFG(벨기에)

SFG
Special Forces Group
파일:Special forces group belgie.png
<colbgcolor=#1F2044><colcolor=#96B1DC> 창설 1994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지상구성군
상급부대 특수작전연대
분류 특수부대
역할 특수작전[1]
본부 벨기에 헤벌리
표어 항상 앞으로
Far Ahead
대담한 자가 승리한다
Who Dares Wins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편제4. 선발5. 장비6.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Belgium.SFG.jpg
Special Forces Group

SFG는 대테러, 직접타격, 인질구출, 사보타주, 특수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벨기에 지상구성군의 특수부대이다. 벨기에 SAS(Belgian SAS)라고도 불린다.

2. 역사

파일:history_special_forces_group.webp파일:geschiedenis_sfg.webp
1945년의 제5SAS연대
SFG의 기원은 2차 대전 중인 1942년 1월로 올라간다. 당시 영국 링웨이에서 최초로 벨기에 군이 공수훈련을 받았고 같은 해 벨기에 독립 공수중대가 창설되어 E. 블론델(E. Blondeel) 대위가 부대를 지휘하였다.

나중에 벨기에 독립 공수중대는 SAS에 배속되어 벨기에 제5SAS연대로 활동, 공수 및 지프 등을 사용한 여러 정찰 및 전투 임무에 동원되었으며 1945년 4월에는 네덜란드와 독일에서 전직 나치 전범을 추적, 체포하는 방첩작전 역시 수행했다.

이후 종전 후인 1945년 9월 21일 부대는 영국군에서 벨기에 지상구성군으로 이관되었고 SAS 공수연대로 이름이 변경되어 독립부대로 운영되다가 1951년 3월 SAS 공수연대가 벨기에군의 코만도연대와 통합되어 공수코만도연대(Paracommando Regiment)가 창설되었다. SAS공수연대는 제1공수대대(1e Battalion Para)로 코만도연대는 제2코만도대대(2e Battalion Commando)로 변경되었다.

1955년엔 제1군단 휘하에 특수탐지부대(ESR-SOE)[2]가 창설되어 지상구성군의 전 부대에서 인원을 모집했고 J. BYL 대위가 팀장을 맡았다.

그 후 1964년 R. Tagnon 소령이 부대를 지휘하게 되면서 육군부대와 공수 코만도 대원으로 구성된 특수정찰팀(ESR-GVP)[3]이 창설되었다. 특수정찰팀은 지상구성군의 모든 부대와 임무를 수행했으며 당시 편제는 오퍼레이터 4명과 지원병력 1명으로 구성된 16개 팀에 총 120명이 배치되었다. 특수정찰팀은 독일 바이덴, 오이스키르헨을 거쳐 슈피히에 주둔했다.
파일:sfg_history2.webp파일:sfg_history.webp
1994년의 LRRP
1991년엔 공수코만도연대가 여단으로 승격되었고 이후 1994년 특수정찰팀이 해체되면서 그들의 전통을 계승하여 LRRP(Long Range Reconnaissance Patrol)분견대가 창설된다. LRRP는 공중, 지상, 해상 작전을 담당하는 SFG(Special Forces Group)섹션과 인질 구출 및 감시를 담당하는 DAS(Détachement d'Agents de Sécurité)섹션으로 나뉘었다. LRRP는 르완다 내전 당시 현장에 파병되어 구출 임무를 수행했으며[4] LRRP는 해체되는 2000년까지 헤벌리에 주둔했다.

그리고 2000년 LRRP가 해체된 후 제3공수창기병연대 내부에 특수부대중대가 창설되어 플라윈에 배치되었다. 특수부대중대는 기존 벨기에군의 지프 정찰 스쿼드론을 대체하며 벨기에군의 특수작전능력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후 2003년 2월, 제3공수창기병연대가 해체된 후 독립부대가 된 특수부대중대가 헤벌리에 주둔, 훗날 특수작전연대가 되는 공수코만도 경여단에 배속되고 이름을 SFG로 변경하면서 마침내 현재의 SFG가 완성된다. SFG는 2010년 해체된 제1공수대대의 명예를 계승하여 SAS공수연대의 명예까지 계승하게 되었다.

이후 2018년 7월 3일 공수경여단이 해체되고 SFG를 비롯한 제2코만도대대, 제3공수대대, 코만도 훈련센터, 공수 훈련센터 및 제6통신정보시스템그룹을 비롯한 특수전부대가 모두 특수작전연대에 배속되었다.

3. 편제

  • 본부(HQ)
    HQ staff
    • 지원분견대
      Support staff and service's detachment with
      • 정보 셀
        intelligence cell
      • 통신 셀
        communications cell
      • 의료 셀
        medical cell
      • 군수 셀
        logistics cell
    • 작전분견대
      Operational detachment with
      • 훈련/교육 셀
        training / instructional cell
      • 4개 항공작전팀[5]
        4 Air operations teams
      • 2개 상륙작전팀[6]
        2 Amphibious operations teams
      • 4개 지상작전팀[7]
        4 Land operations teams

현장팀은 영국 SAS에 영향을 받은만큼 각각 항공, 상륙, 지상세 가지 영역으로 나뉘며 팀 편제는 한 팀당 팀장 및 선임 부사관, 그리고 8명의 오퍼레이터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SFG 내에는 벨기에의 고위 공무원 보호 임무를 담당하는 보안요원분견대(Détachement d'Agents de Sécurité)가 따로 존재한다.

4. 선발

SFG는 군종을 가리지 않고 벨기에군 전체에서 지원자를 선발하며 지원자는 최소 3년 이상 군복무를 한 벨기에 군인이여야 한다.[8]

선발과정은 사전선발, 자격과정, 보완 교육, 기능훈련 총 4단계로 이루어진다. 모든 지원자는 각 시험에서 80% 이상의 숙련도를 달성해야하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제재 혹은 탈락된다. 선발 중 부정행위가 적발된 지원자는 부대로 복귀되며, 향후 지원자 등록이 금지되고 건강상의 이유로 선발을 중단하는 경우 다음 해에 등록할 수 있지만, 재등록 시기는 부대 내 위원회에서 결정한다.

첫번째인 선발과정에서는 지원자의 신체상태, 독도법, 군사 지식 및 사격기술, 심리테스트가 이루어지며 실제 선발을 시작하기 위해 1주일간 전문 교육이 이루어진다. 주로 독도법 및 고급 사격 교육이 이루어지며 군사물자 식별 과정역시 포함된다.

이 선발과정을 통과한 지원자는 약 6개월간의 자격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기술 및 군사 지식 외에도 주도성 및 동기부여 등에서 높은 조건을 충족해야한다. 우선 지원자는 2개월간 적대적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독도법, 기술 및 전술 3단계로 구성되는 3단계의 기본교육을 배우며 독도법 단계에서 육체적으로 극한상태에 몰리게 된다. 여기서 홀로 독도법을 수행해야 하며 48시간 이내에 100km 이상의 독도법 행군, 군사물자 인식 및 식별, 사격기술, 생존술, IT, 응급처치, TCCC, 근접 전투, 지구력 및 저항력을 증진하는 신체 훈련 등을 수행한다.

독도법 과정을 통과한 지원자는 기술 단계에 돌입하여 라디오를 비롯한 무선 장비, 수륙양용 침투, 고급 사격 과정, 고급 전투 의료, 군사 이론 및 전술 교육을 수료한다.

기술 과정을 수료한 뒤에는 전술 과정에 돌입하는데 지원자는 극한의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며 적군의 추적을 피해 적진에서 임무하는 법을 훈련한다. 이 단계에선 팀워크가 강조되며 모든 지원자가 팀 내에서 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6개월간의 교육 과정을 수료한 지원자는 12개월간 보완 교육을 받게 되며 주특기와 배치된 부대에 따라 HALO, 고급 응급처치, 고급 시가전 과정, DAS(Détachement d'Agence de sécurité) 양성 과정[9], TSE/TEO, TACP 등 각종 분야에서 고급 교육을 수료한다. 코만도 A코스 혹은 공수 A코스를 이수하지 않은 지원자는 반드시 둘 중 하나를 이수해야한다.

공수 A코스는 공수훈련센터에서 이뤄지며 1주간 지상훈련 및 3주간 풍선과 비행기를 거쳐 점프 훈련을 실시한다.

이후 5주간 HALO 훈련을 수료하며 2주간 기초훈련 3주간 장비를 짊어진 상태로 밤에 낙하하는 훈련을 수료하며 최대 12000피트에서 실시된다. 이 훈련 프로그램을 수료한 지원자는 마침내 SFG에서 복무할 자격을 얻게 되며 작전 팀에 배속되어 기능 훈련 및 전문 분야에 맞춘 고급 과정이 제공된다. 새로운 오퍼레이터는 저격수, 통신, 의무병 혹은 브리처 등 자신의 주특기를 받게 된다.

이 외에도 배치된 팀과 주특기에 따라 공수훈련 센터에서 3주간 최대 30000피트에서 낙하산을 통한 침투 과정을 수행하는 HAHO 훈련, 벨기에 해군 다이빙 학교에서 5~8개월간 이루어지는 컴벳 다이빙 훈련, 공격 및 방어운전과 드리프트 및 제동 기술, 오프로드 주행을 포함한 전문 운전 과정, 코만도 센터에서 8주간 교관 또는 보조 교관을 양성하는 코만도 교관 과정, 5주간 바위, 눈, 얼음 등의 산악 지형에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암벽 등반 등 각종 특수전 교육을 수료한다.

5. 장비

6. 관련 문서


[1] 대테러, 직접타격, 특수정찰, 인질구출, 요인경호, 비정규전, 사보타주, 정보수집, 군사훈련, VBSS, 전투 수색 및 구조, 비전투원 대피 등[2] Eléments Spéciaux de Recherche-Speciale Opsporings Elementen[3] Equipes Spéciales de Reconnaissance-Gespecialiseerde VerkenningsPloegen[4] 이때 벨기에군에 도움을 받은 일을 계기로 군 특수부대의 필요성을 느낀 독일 육군이 창설한 특수부대가 바로 KSK다.[5] 기본 공수, HALO, HAHO, 헬리본 특화[6] 장거리 수영 및 다이버, 선박, 카약 등의 보트 사용 VBSS 및 수중 폭파, 사보타주 특화[7] 기동 차량 사용, 스키, 암벽등반 등 고기동 및 산악전 특화[8] 민간인 전용 패스트트랙이 존재하지만, 이것도 바로 SFG에서 복무하는 게 아니라 특수작전연대 내 다른 부대에서 복무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9] 각종 무기술 및 사격교육, 의료지원, 차량 운전 기술 및 의사소통 교육 등이 혼합된 요인경호 교육.[10] SCAR-L CQC, SCAR-H CQC, SCAR-H T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