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Rise of Nations(Roblox)|Rise of Nations(Roblox)]]
1. 개요
Rise of Nations의 유닛들을 서술한 문서.모든 유닛은 기본적으로 훈련을 받거나 전투 경험이 있으면 경험치가 올라가서 공격/방어력 등의 효과가 올라간다. 경험치는 시간이 갈수록 서서히 줄어든다.
2. Army(육군)
인력과 재료만 있다면 생산할 수 있다.[1] 적국의 도시를 점령하는 행동은 육군만 가능하다.2.1. Infantry(보병)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육군 | $1,000,000 10,000 인력 | $20,000[2] | 없음 |
2.2. Tank(전차)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육군 | $5,000,000 10,000 인력 1 모터 부품 0.25 강철 | $160,000 1 기름 | 인구 100만 이상 도시 |
초반을 제외하면 보병에 비해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2.3. Artillery(포)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육군 | $12,500,000 2,000 인력 | $125,000 | 없음 |
https://youtu.be/RtgUYCcIOXk?t=128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적의 대규모 육군이 말 그대로 갈려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육군뿐만 아니라 폭격기도 그냥 쓱 사라진다. [6]
2.4. Anti Aircraft(대공포)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육군 | $15,000,000 2,500 인력 | $64,000 | 없음 |
3. Navy(해군)
바다에서만 움직일 수 있고, 항구가 있는 도시에서만 생산할 수 있다.. 육군을 공격하는 데 효과적이다. 해상에서 움직이는 육군을 만난다면, 다른 유닛이 그 배를 먼저 처리하기 전까지 일방적으로 육군을 공격할 수 있다. 하지만 기름을 소비하므로, 해군만 많이 생산한다면 그리 효율적이진 않다.3.1. Frigate(호위함)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해군 | $3,000,000 2,500 인력 | $54,000 0.15 기름 | 항구가 있는 도시 |
3.2. Destroyer(구축함)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해군 | $16,000,000 7,500 인력 | $250,000 2 기름 | 항구가 있는 도시 |
3.3. Submarine(잠수함)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해군 | $30,000,000 5,000 인력 | $340,000 0.5 기름 | 항구가 있는 도시 |
간혹 초보 유저들이 잠수함이 모든 해군 유닛에게 강하다고 생각해서 구축함에 잠수함을 붙이는 경우가 있다. 잠수함에 대비하려면, 잠수함에게 약한 유닛들에게 구축함을 호위시키는 방법이 있다.
3.4. Battleship(전함)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해군 | $75 000 000 12.500 인력 10 강철 | $1615000 8 기름 | 항구와 조선소 I가 있는 도시 |
3.5. Aircraft Carrier(항공모함)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해군 | $250,000,000 25,000 인력 25 강철 10 항공기 부품 | $4,200,000 30 기름 | 항구와 조선소 II가 있는 도시 |
바로 사정거리가 터무니없이 길다는 점이다. 브리튼 제도 전체를 공격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이 유닛의 사거리를 잘 아는 플레이어들은 스위스나 이란 등 산악지대에서 포병 스팸하고 버티는 유저들의 유닛을 녹여버리기도 한다. 사정거리가 이렇게 길다고 피해량도 절대 낮지 않다. 또한 공항 역할을 해 주어서, 항공기들이 이동해서 연료를 보충할 수 있다. 항공모함만 있다면, 주변에 공항이 없는 지역도 폭격기로 쑥대밭으로 만들 수 있다. 이처럼 매우 막강하지만, 잠수함에게 매우 취약하다는 점[11]과 비용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유닛이다.
4. Air Force(공군)
생산하려면 항공기 부품와 공항이 필요하다. 있고 없고의 차이가 매우 극심하다. 항공기 부품은 생산하기 매우 까다로워서, 자원이 풍부하거나 초강대국이 아닌 이상 다른 나라에서 사오는 것을 추천한다. 공군은 방공 능력이 있는 대공포, 호위함, 구축함, 전함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4.1. Fighter(전투기)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공군 | $4,000,000 1,000 인력 1 항공기 부품 | $28,000 0.2 기름 | 공항이 있는 도시 |
4.2. Attacker(공격기)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공군 | $8,500,000 1,500 인력 1 항공기 부품 | $54,000 0.5 기름 | 공항이 있는 도시 |
4.3. Bomber(폭격기)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공군 | $22,500,000 2,500 인력 1 항공기 부품 | $90,000 1 기름 | 공항이 있는 도시 |
폭격기 관련 연구를 많이 하면 매우 강력해진다.
4.4. Transport Aircraft(수송기)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공군 | 30,000,000 5,000 인력 20 항공기 부품 | $80,000 3 기름 | 공항이 있는 도시 |
4.5. Nuke(핵)
군종 | 비용 | 유지비 | 생산 조건 |
미사일 | $1,250,000,000 500 인력, 모든 핵 기술 40 농축된 우라늄 | $4,000,000 1 기름 | 사일로가 있는 도시 |
폭격기를 이용해 핵이 있는 도시를 폭격해 핵을 없앨 수 있지만, 핵을 발사한 이후부터는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유일하게 핵의 파괴력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도시를 요새화하는 것으로, 요새가 있는 도시에 핵이 투하되면 인구가 25%밖에 안 줄지만 요새가 날아간다.
연구 포인트를 많이 써야하는 핵연구를 모두 뚫어야 하고 농축된 우라늄은 공장 하나당 생산량이 엄청나게 적은데(우라늄 20개당 0.1개)
핵은 많이 뽑을려면 공장 생산량 연구는 기본이다.
그리고 핵은 준비하는데 자원이나 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는다.
이런 이유 때문에 경제력이 뒷받침해줘야 하며, 경제력을 올리려 전쟁을 하거나, 연구를 뚫으면 사실상 2030, 40년쯤에나 뽑히는 유닛이다. 그래도 뽑고싶다면 미국, 중국, 러시아 같은 강대국들을 추천한다.
여담으로 핵을 훈련시킬수도 있다.
[1] 단, 탱크는 인구 100만 이상인 도시에서만 생산 가능하다. 사각형 도시가 인구 100만 명 이상의 도시이다.[2] 훈련 중 유지비 $40,000, 해상 유지비 $60,000[3] 규모는 나라마다 천차만별이다. 최소 20K호구부터, 1840K(중국)까지도 주어진다. 보통 수도에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4] 공군은 공격이 불가능하다.[5] 다만 기본 군대의 규모가 큰 강대국들에게는 나쁘지 않다. 일단 이 유닛을 보내 AI의 군대를 박살내고, 보병 등을 보내 마무리짓는 식. 하지만 이 경우도 공군과 해군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추천하진 않는다.[6] 다만 영상에서는 포를 양산을 해놓았고, 실제론 전선 뒤에 배치해 상대의 군대 수를 감소시켜야 한다.[7] 도시가 몇개밖에 없는 작은 섬의 군대를 공격하기 좋다.[8] 소나 스테이션(Sonar Station)의 범위 안이나 구축함이 가까이 있을 때는 탐지당한다.[9] 정말 말 그대로 녹아버리는 수준이다. 무턱대고 육군만으로 바다를 건너다가 잠수함 한두 대에게 전부 끔살당한다.[10] 이는 잠수함 60대 혹은 탱크 6000대를 유지시킬 수 있는 기름이다(...)[11] 따라서 항공모함을 쓸때는 반드시 구축함을 붙여줘야한다. 구축함을 붙이지 않는다면 캐리어가 잠수함에 끔살되어 돈만 날리게 된다. 그러나 실력이 있는 사람들은 항공모함 없이 전함과 구축함으로 돌격해서 항모를 날려버릴 수 있으니 항상 상대방의 해군전력을 주시해야 한다.[12] 이 속도 덕분에 대공포의 피해를 덜 받는다.[13] AI를 상대로는 효과가 없다. 오히려 나중에 자기 땅이 될 곳에 폭격을 하면 손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