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18:55:43

ProMotion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반명사}}}에 대한 내용은 [[프로모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로모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로모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반명사: }}}[[프로모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로모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로모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상세
2.1. 필요성2.2. 작동 방식
3. 적용 기기4. 기타5. 같이 보기

1. 개요

Apple이 2017년 WWDC17에서 처음 선보인 가변 주사율 디스플레이 기술.

2. 상세

WWDC17 키노트 – iPad Pro(10.5형) 발표와 기술 설명

단위시간당 화면을 갱신하는 횟수를 주사율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60 Hz는 디스플레이가 초당 60 프레임을 갱신(표현)한다는 뜻이다.

2017년 출시된 iPad Pro(12.9형)(2세대)iPad Pro(10.5형)에는 이 주사율이 최대 120 Hz까지 올라가는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었다. 초당 프레임이 올라가니 시스템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모든 화면상의 경험을 더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었다.

해당 기술을 구현하고자 3년간 100만 개 이상의 iOS[1] 앱을 Mac으로 포팅한 후 터치 반응과 애니메이션 등을 분석하여 OS 그리고 디스플레이의 주사율까지 완벽하게 동기화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을 만들어냈다고 발표하였다. 같은 날 공개된 iPad Pro(12.9형)(2세대)iPad Pro(10.5형)에서 처음으로 적용되었으며, 이후 LTPO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iPhone[2]과, 미니 LED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2021년형 MacBook Pro에도 적용되었다.

2.1. 필요성

무작정 높은 주사율을 유지하려면 문제가 생긴다. 당시 출시된 iPad Pro의 화면은 12.9형 기준 2732 x 2048 해상도에, 픽셀 개수는 560만 개에 달하는 높은 해상도를 가졌다. 이렇게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계속해서 초당 120번씩 갱신하면 전력소모량이 높아 배터리 사용가능시간이 줄어든다. 그리하여 항상 120 Hz를 유지하는 대신에 요할 때에만 주사율을 끌어올리는 가변 주사율을 적용했다.

실제로 이 기술이 적용된 iPad Pro는 비슷한 배터리 용량에 60 Hz 주사율 및 더 낮은 밝기를 가진 iPad Air보다 오히려 배터리 타임에서 우위를 점한다. 다만 사용 환경에 따라 60 Hz 고정 주사율의 배터리 타임이 더 좋은 사례도 있고 60 Hz 이상을 요하는 화면 상태에서 30 Hz를 표출하는 등 가변 주사율만의 문제점도 있기에, 꼭 가변 주사율 탑재기기의 배터리 타임이 긴 것은 아니다.

PC의 적응형 동기화도 태생은 같은 개념이었다.[3]

2.2. 작동 방식

스크롤과 같이 화면상의 요소가 움직이는 상태에서는 120 Hz로 올리고, 사진과 같이 화면상의 요소가 멈춰 있을 때에는 10 Hz[OLED] 혹은 24 Hz[LCD], 동영상 재생 시에는 48 Hz 등으로 낮추어 배터리를 절약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또한, Always On Display 상태에서는 1 Hz까지 내려간다.

공식설명에 따르면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정해진 ProMotion의 설정값은 없다. 즉 상황에 따라 화면의 구성 요소를 능동적으로 분석하여 최대 120 Hz까지 가변적으로 작동한다는 것이다.[6]

3. 적용 기기

iPad Pro 12.9[7]iPad Pro 9.7에는 탑재되지 않았다.

4. 기타

  • iPad Pro 10.5 & iPad Pro 12.9(2세대) 공개 이후, 해당 기능이 120 Hz 주사율을 가진 디스플레이 자체를 뜻하는 것으로 전달되는 사례가 있어 혼선을 빚기도 했다. Apple이 기기 공개 당시 밝힌 내용에 따르면, 해당 기능은 상황에 따라 주사율을 바꾸는 기능이지 디스플레이 자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화면 녹화 또는 AirPlay 미러링 사용 시에는 60 Hz, 120 Hz 단계로만 작동한다.##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으나, 사용자들은 연산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배수로 지정했다고 추측 중이다.#
  • iOS 기기의 ProMotion은 타사 가변 주사율 지원기기보다 120 Hz에 머무는 시간이 짧은 편이다. iPhone 13 Pro 시리즈 출시 초기에는 서드파티 앱마다 알고리즘이 일관적이지 않았고 지금도 일부 앱에서 문제를 겪고 있다. 안드로이드에서 갈아탄 사용자는 민감하면 눈치채기도 하며, 프레임 변화 자체가 중요한 리듬 게임 게이머들은 다른 기기를 사용하거나 iPad로[9] 플레이할 것을 권하고 있다.

5. 같이 보기


[1] 발표 당시에는 iPadOS가 없었던 시기[2] iPhone 13~16 시리즈의 Pro 모델, iPhone 17의 모든 모델, iPhone Air[3] 다만 이쪽은 노트북용 절전기능으로 밀던 게 잘 먹히지 않았고(노트북 디스플레이가 최대 60 Hz이던 시절에 너무 앞서 나온 게 패착인 듯), NVIDIA가 데스크탑 게이밍 모니터 기술인 G-Sync를 내놓고 나서야 화제가 되었다는 점이 다르다.[OLED] [LCD] [6] 이 때문에 PiP 기능을 사용하여 동영상을 보면 60 Hz로 재생되어야 할 동영상이 강제로 120 Hz에 맞추어지는지 발열과 배터리 소모가 심해지는 버그가 존재한다.[7] 30 Hz/60 Hz 가변 주사율을 지원하지만, 120 Hz 등 부차적인 기능은 2세대부터 탑재되었다.[8] LTPO2를 탑재한 iPhone 14 Pro 이후의 Pro 시리즈는 AOD도 함께 지원한다.[9] iPadOS의 ProMotion은 iOS 기기에 견줘 주사율 변화간격이 널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