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0 14:56:02

PARC

파일:external/static.betazeta.com/xeroxparc.jpg

1. 개요2. 소개

1. 개요

제록스 팔로 알토 연구소(Xerox Palo Alto Research Center)

복사기로 유명한 제록스(XEROX)의 연구소로서, 미국 캘리포니아팔로 알토에 위치하고 있다. 보통은 제록스 파크(Xerox PARC)라고 한다. AT&T벨 연구소(Bell Labs)와 더불어 가장 널리 알려 졌던 민간회사 소속 연구소이기도 하다.[1]

2. 소개

제록스의 연구소로서 1970년 설립되었다. 설립자는 자기 공명[2] 분야의 권위자인 조지 패익 박사. 2002년 제록스의 자회사로 독립하였다.

일개 복사기 회사의 연구소 주제에 무슨 약자까지 달고 있느냐... 싶겠지만, 이 연구소와 발명품들은 학술과정인 공학 서적에도 나오는 것은 기본이고 여러 면에서 매우 유명하다. 그동안의 발명품 목록이 인류에 많은 공헌을 했을 정도로 정말로 후덜덜한 수준이라는 점, 하지만 상업적으로는 철저하게 실패했다는 점,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십년 동안 이런 연구 개발 환경을 유지했다는 점에서이다. 이점은 제록스를 좋게 평가할 만한 일이다. 기초연구에 투자를 해서 나름대로 특허는 땄다. 이러한 회사들이 벨 연구소, IBM 연구소 등이다.

먼저 대표적인 발명품 리스트를 보자. 이를 토대로 이후 많은 것들이 나왔는데, 기초연구에 엄청난 공헌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 및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가장 중요한 원천 기술을 개발한 곳이 바로 제록스 PARC인 것이다. 이런 특이한 결과는 제록스 PARC의 문화에 기인하는데, 모회사 제록스의 수익성보다는 각 연구원/연구진이 "연구하고 싶은 주제"를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풍토였기 때문. 말 그대로 연구원에게는 "꿈의 직장"이었던 셈이다. 참고로 IT 엔지니어들에게 가장 인기 좋은 직장인 구글에서도 "회사 사정과 무관하게 연구하고 싶은 주제"로 쓸 수 있는 자원은 대략 20~30% 수준이다. 참고로 PARC에 있었던 사람들 중 컴퓨터 관련 분야의 사람들만 따져도 대략 이런 수준이다.

한 마디로, 세계 최강의 천재 컴퓨터 과학자들의 집합소로 IT업계의 스컹크 웍스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런 문화는 한편으로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 발명품들의 특허를 공공의 이익이나 상보적 발전을 위해 풀어 두는 등 느슨한 관리로 제록스에서는 "회사 수익에 도움 안되는 돈만 먹는 하마"로 여겼으며, 결국 2002년에 분사되었다. 스티브 잡스는 이에 대해 제록스는 그들이 무얼 개발했는지도 모르는 수준이었다고 혹평하면서, "자신들의 성과에 대한 관리만 제대로 되었다면 IBM마이크로소프트와 제록스를 합친 규모의 세계에서 가장 큰 첨단 기술 회사만큼이나 성장할 수 있었을 것이다"고 말했다. 효시적 기술을 개발하되, 상용화에 전혀 중심을 두지 않았던 것에 대해 그들은 '제록스는 당시 한낱 컴퓨터 회사로 변신하는 걸 매력적이라고 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재는 바이오, 다양한 기술 분야의 검증, 유비쿼터스, 청정 기술 등을 수행하면서 드디어 수익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기사


[1] 다만 벨 연구소는 1996년 AT&T에서 장비 생산 부문을 분할해 루슨트 테크놀로지에 매각했고, 우여곡절 끝에 노키아가 인수하여 현재는 Nokia Bell Labs가 되었다. 기술 개발 부문은 AT&T Labs로 바꿔 남았다.[2] 병원에서 흔히 촬영하는 MRI가 바로 자기 공명의 대표적 상품이다. Magnetic Resonance[3] 반도체의 역사를 짤막하게라도 요약할 때 반드시 나오는 단어. 집적회로인 IC를 매우 큰 규모 (Very Large Scale)로 형성시킨 것. 다만 워낙 오래된 물건이다 보니, 지금 수준에서는 하품 나오는 KB 단위의 용량이다.[4] 즉, 현재 사용 중인 LAN!![5] Graphic User Interface. 이는 PARC에서 개발한 앨토(Alto) 컴퓨터에 최초로 구현되었는데, 후에 스티브 잡스는 제록스 PARC에서 이후에 만든 스타 워크스테이션을 보고 참조해 매킨토시에 구현했다.[6]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워드프로세서 등에서 "화면에 보이는 대로 결과물이 출력된다"는 방식. 지금이야 너무 당연하지만,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역사에서 이 방식이 실현된 것은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초반에 들어와서야 가능했다. 나무위키 편집기에서 글을 쓸 때 나무위키 문법이 실시간으로 적용되는 모습을 볼 수 없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7] Object Oriented Programming[8] 요즘 시야각 좋고 햇빛 아래서도 볼 수 있고 종이랑 비슷하다고 전자책에서 사용되는 그 전자종이 맞다. 그리고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그거 맞다. 여기서 만든 Gyricon이 전자종이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시초. 하나 상용화는 되지 못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