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8-08 02:08:08

OECD/과학기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OECD
OECD 통계 목록
삶의 질 지수 교육지표 환경지표 출산율
치안 소비자 물가상승률 임금과 세금 과학기술
보건의료 농업 연금 중위 가처분 소득

1. 개요2. 통계
2.1. 총연구원수2.2. 인구 만 명당 연구원수2.3. 인구 중 이공계 박사 비중2.4. 미국특허 등록기관 수2.5. 세계 랭킹 500위 이내 대학 수2.6. 세계 연구개발 투자 상위 1000대 기업 수2.7. 최근 15년간 SCI 논문 수 2.8. 최근 15년간 미국특허 수2.9. 연구개발 투자 총액2.10. GDP 대비 연구개발투자 총액 비중2.11. GDP 대비 정부연구개발예산2.12. 창업활동지수2.13. GDP 대비 벤처캐피탈 투자금액2.14. 정부, 대학의 연구개발비 중 기업재원 비중2.15. 기업 연구개발비 중 정부재원 비중2.16. 지식재산권 보호정도2.17. 인구 100명당 유선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2.18. 인구 100명당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2.19. 유선 브로드밴드 이용료2.20. 하이테크산업의 제조업 수출액 비중2.21. 하이테크산업 무역수지2.22. 기술무역수지
3. 정리

1. 개요

OECD 국가들의 과학기술 현황을 소개한다.

이 항목의 정식명칭은 OECD 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COmposit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ndex, COSTII)로, 지식기반 경제하에서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날로 늘어가면서 각국의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평가는 OECD 회원국 30개국을 대상으로, 27개의 정량지표와 4개의 정성지표, 총 31개 지표를 통해 이루어진다.

보고서 원문에서는 종합 순위를 제시하고 있으나 평가지표의 선정에 이론이 제기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일부 의미가 떨어지는 통계도 제외한다. 몇 가지 통계는 다른 자료에서 인용하였다.

하단의 통계들은 2012년쯤에서 갱신이 멈춰있으므로, 2020년대의 현대와는 상황이 다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미리 알린다.

OECD 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 2013

2. 통계

2.1. 총연구원수

파일:SeSdZjC.jpg

인구 규모를 고려하지 않은 절대규모이다. 연구보조, 연구행정을 제외한 순수 연구인력을 조사한다. FTE(Full-time equivalent, 상근상당인력, 실질연구참여인력)은 연구개발업무에 전념하는 정도에 따라 비율을 반영하여 산정한 인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구개발업무를 근무시간의 1/2을 하는 사람의 FTE는 0.5명이다.

2.2. 인구 만 명당 연구원수

파일:MeHJ8mI.jpg

제목 그대로이다.

2.3. 인구 중 이공계 박사 비중

파일:smyaRDa.jpg

연구원 수에 비해 적은 이공계 박사 비중은 연구원들 중 박사 비중이 적어서 그런 것이다.참고 물론 박사가 많다고 무조건 좋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인구 수치가 적음에도 더 많은 국가보다 비중이 낮다는 것은 절대적 수치에서 크게 뒤쳐짐을 의미한다. 실제로 인구가 (비교적)적으나 과학기술이 선진적인 국가들(영국, 스웨덴, 스위스 등)은 비중이 높다.

2.4. 미국특허 등록기관 수

파일:gZEuQ7X.jpg

미국에서 특허권을 행사할 목적으로 미국특허상표청(United States Patents and Trademark Office, USPTO)에 특허를 등록한 기관의 수이다. 한 국가에 존재하는 연구기관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이다.

2.5. 세계 랭킹 500위 이내 대학 수

파일:h2LxZbv.jpg

QS(Quacquarelli Symonds)가 매년 선정하는 세계대학의 순위 기준이다. 물론 대학순위라는 것은 평가기준, 기관에 따라 천차만별이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2.6. 세계 연구개발 투자 상위 1000대 기업 수

파일:UxGyxzm.jpg

제목 그대로이다.

2.7. 최근 15년간 SCI 논문 수

파일:GS0YfJl.jpg

제목 그대로 15년간 누적된 SCI 논문 수이다. 기준이 되는 시점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2.8. 최근 15년간 미국특허 수

파일:Ob2ysCc.jpg

특허라는 것은 등록된다고 무조건 활용할 수 있는 건 아니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2.9. 연구개발 투자 총액

파일:040VVD6.jpg

경제규모를 고려하지 않은 절대지표이다.

2.10. GDP 대비 연구개발투자 총액 비중

파일:ksCeBiq.jpg

민간과 정부의 투자를 모두 포함한다.

2.11. GDP 대비 정부연구개발예산

파일:CxWza5P.jpg

전체 GDP 대비 연구개발 총액을 정부 예산을 제외하면 민간의 투자가 된다. 한국은 OECD 국가들 중 국민부담률이 손꼽히게 낮기 때문에 다른 나라들에 비해 특히 많은 예산을 연구개발에 투자한다고 볼 수 있다.

2.12. 창업활동지수

파일:S2Y2HHr.jpg

18~64세 인구 중 현재 창업을 준비 중이거나 3개월 이상 42개월 미만의 신생기업을 소유/경영하고 있는 인구 비중과 창업기회의 포착, 실패에 대한 두려움, 창업지식이나 기술의 보유 등의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한다. 다만 한국의 경우 창업 인구 중 생계형 창업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2.13. GDP 대비 벤처캐피탈 투자금액

파일:F7YWgdG.jpg

제목 그대로이다.

2.14. 정부, 대학의 연구개발비 중 기업재원 비중

파일:hrZuJic.jpg

제목 그대로이다.

2.15. 기업 연구개발비 중 정부재원 비중

파일:BQrDlKj.jpg

제목 그대로이다.

2.16. 지식재산권 보호정도

파일:pqESHav.jpg

IMD의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한다. 정성지표의 한계가 있고 소위 "국가경쟁력 지표"의 개념 자체가 많은 비판을 받고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2.17. 인구 100명당 유선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파일:YqqZcsa.jpg

제목 그대로이다.

2.18. 인구 100명당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파일:JDeFmlu.jpg

제목 그대로이다.

2.19. 유선 브로드밴드 이용료

파일:qzg16iP.jpg

유선 브로드밴드 인터넷 서비스의 월간 이용료를 측정하여, 유선 브로드밴드는 DSL을 사용하여 256kbit/s 이상의 다운스트림 속도로 인터넷에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격이 낮을수록 인터넷 사용에 대한 접근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고서 원문에는 사용량 변수를 통제했는지 언급이 없는데 한국인들의 인터넷 사용량을 생각하면 아마 순위가 더 떨어졌으면 떨어졌지 올라가지는 않을 듯하다.

2.20. 하이테크산업의 제조업 수출액 비중

파일:inpmIKM.jpg

하이테크 산업은 OECD가 R&D 집적도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항공우주, 제약, 과학기기, 전자기기 등이 포함된다.

2.21. 하이테크산업 무역수지

파일:mfrrcSJ.jpg

한국은 하이테크 산업에서 OECD 국가들 중 손꼽히는 무역 흑자를 보고 있다. 허나 이는 기술 무역 수지가 아닌 단순 산업 무역 수지이므로 기술 수준과 직접적인 상관 관계는 없다.[1]

2.22. 기술무역수지

파일:BjlRSdh.jpg

기술 무역 수지라는 것은 한 국가가 필요로 하는 기술을 스스로 만족시키고 나아가 타국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보유하냐를 알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이다. 기술 무역 수지의 해석은 유동적이여야 하는데, 가령 에스토니아는 기술 무역 수지 통계에서 흑자를 본다고 나와있지만 그 누구도 적자를 보는 호주나 한국보다 에스토니아의 기술이 뛰어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기술 수지가 적자라는 것은 대체 불가능한 해외의 기술, 즉 특허가 만료되지도 않았고 우회가 불가능한 기술을 요구하는 산업이 해당 국가에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다.

즉, 기술 무역에서 흑자를 보더라도 기술 무역에서 오가는 금액 자체가 자체가 작다면 큰 의미가 없는 것이고 기술 무역에서 적자를 보더라도 그 금액 자체가 크다면 원천 기술 등을 상품으로 승화시킬 다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해석이 가능하다.

3. 정리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만큼, OECD 각국의 과학기술 현황을 보는데 좋을 수는 있지만, 이 글에 있는 자료는 4~8년 전까지 통계를 낸 것이라 2017년 현재는 통계가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또한 중국처럼 OECD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국가들도 과학기술에 힘 쏟는 국가가 많기 때문에 절대 OECD 통계를 보고 전 세계를 생각하지 말 것.

우리나라에서는 한때 과학기술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처진다는 인식이 많았는데, 그렇다고 해서 대한민국이 그렇게까지 과학기술이 뒤쳐진다고 볼 수는 없다. 우리나라는 예전에는 먹고살기 바빠서 과학기술의 발전이 느렸던 건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은 경제적 면에선 선진국으로 인정받을 정도로 경제력이 빠르게 성장해 온 만큼 위 통계에서처럼 과학기술도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다른 선진국의 과학기술 역사는 우리나라보다 훨씬 길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 발전해온 게 많다. 옆 나라 일본만 봐도 그렇다. 그런데 지금 통계에서는 한국이 꼭 하위권만 차지하지 않고 상위권도 차지하는 게 많으니 한국이 빨리 따라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과거에는 경제력 같은 양적 성장을 해왔지만 이제는 질적 성장을 위해 노력한다고 보면 된다. 그러니까 우리나라는 왜 노벨 과학상을 못 받냐고 하지 말자 아직 우리나라에서 노벨 과학상이 안 나오는 이유 중 하나는 기초과학이 많이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과거에 경제 성장을 위해서 공학기술을 우선시하다 보니, 기초과학의 역사는 더 짧다. 하지만 이것도 계속 발전하고 있으니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자. 이미 일본은 50~60년대에 노벨 수상자가 나왔다는 의견도 있지만 다만 일본은 이미 1800년대 말부터 과학기술에 매진했고 말단이긴 하지만 열강의 일원이었던 국가다. 6.25 전쟁으로 모든 기반을 잃고 밑바닥부터 다시 시작해야 했던 한국과는 출발점부터 까마득한 차이가 난다. 또 남아공이나 이스라엘처럼 한국보다 경제력이 떨어져도 서구 과학계에 진출한 인재들이 많았던 국가들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기 위한 여건이 훨씬 좋았다.
[1] 산업의 무역수지이므로 경우에 따라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부품을 생산하지는 않고 단순히 완성품 조립만을 하는 국가도 하이테크 산업에서 흑자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