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order-radius: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000 ; min-width: 20%" {{{#000 {{{#!folding [ Studio Albums ] | <tablewidth=100%> | ||||
1993년 2월 22일 | 1995년 3월 13일 | 1997년 6월 16일 | 2000년 10월 2일 | 2001년 6월 5일 | |
2003년 6월 9일 | 2007년 10월 10일 | 2011년 2월 18일 | 2016년 5월 8일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Extended Plays ]
{{{#!folding [ Singl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제목 | 러닝타임 | |
1 | <colbgcolor=#fff,#191919>Airbag | <colbgcolor=#fff,#191919><colcolor=#191919,#fff> 4:44 | ||
2 | Paranoid Android | 6:26 | ||
3 | Subterranean Homesick Alien | 4:28 | ||
4 | Exit Music (For a Film) | 4:28 | ||
5 | Let Down | 4:59 | ||
6 | Karma Police | 4:25 | ||
7 | Fitter Happier | 1:58 | ||
8 | Electioneering | 3:50 | ||
9 | Climbing Up the Walls | 4:44 | ||
10 | No Surprises | 3:51 | ||
11 | Lucky | 4:21 | ||
12 | The Tourist | 5:27 | ||
|
No Surprises의 수상 이력 |
|
No Surprises | |||
<colbgcolor=#FFFFFF><colcolor=#000> 싱글 발매일 | 1998년 1월 12일 | ||
앨범 발매일 | 1997년 6월 16일 | ||
녹음일 | 1996년 7월 – 1997년 3월 | ||
장르 | 얼터너티브 록, 아트 록, 포스트 브릿팝, 드림 팝 | ||
러닝 타임 | 3:51 | ||
작사/작곡 | 라디오헤드 | ||
프로듀서 | 나이젤 고드리치, 라디오헤드 | ||
수록 앨범 | |||
레이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colcolor=#000><colbgcolor=#fff> 싱글 커버 |
[clearfix]
1. 개요
뮤직 비디오 | 1997년 글래스톤베리 라이브 |
2003년 글래스톤베리 라이브 | 2017년 락 랫쳐 라이브 |
2. 상세
라디오헤드의 대표곡 중 하나로, 앞 트랙인 Climbing Up the Walls 후반부의 혼란스럽고 기괴한 분위기를 180도 반전시키는 특유의 종소리 같은 맑은 기타와[1] 글로켄슈필 사운드, 그리고 흔치않게 저음으로 목소리를 깔아부르는 톰 요크의 무기력한 보컬이 어우러진다.[2]서정적인 멜로디와 인간 소외[3]와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을 담은 섬뜩한 가사가 당시 1997년 외환 위기를 맞이했던 한국의 X세대(70~80년대생)에게 꽤 영향을 주었다. 당시 한국의 흉흉한 분위기와 이 곡의 서정적이면서도 암울한 분위기가 잘 어울렸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당시에 No Surprises의 인지도가 매우 높아져서 라디오헤드, OK Computer는 몰라도 No Surprises는 아는 한국인이 많다.
노래방은 각각 TJ는 7864, 금영은 61857에 수록되어 있다.
3.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gcolor=#7b96a2> | }}}}}} A heart that's full up like a landfill 쓰레기장처럼 가득 찬 마음과 A job that slowly kills you 당신을 천천히 죽여가는 직업 Bruises that won't heal 영원히 아물지 않을 상처들 You look so tired, unhappy 당신은 지치고, 불행해 보여요 Bring down the government 정부를 무너뜨려요 They don't, they don't speak for us 그들은, 그들은 우리를 위해 목소리를 내 주지 않으니까요 I'll take a quiet life 저는 조용한 삶을 원해요 A handshake of carbon monoxide 일산화탄소와의 악수 With no alarms and no surprises 아무런 불안도 놀람도 없이 No alarms and no surprises 불안도 놀람도 없이 No alarms and no surprises 아무런 불안도 놀람도 없이 Silent 조용히 Silent 조용히 This is my final fit 이건 제 마지막 발작 My final bellyache 마지막 복통 With no alarms and no surprises 아무런 불안도 놀람도 없이 No alarms and no surprises 불안도 놀람도 없이 No alarms and no surprises, please 아무런 불안도 놀람도 없이, 제발 ● ● ● Such a pretty house 정말 아름다운 집이네요 And such a pretty garden 너무나도 예쁜 정원이에요 No alarms and no surprises 아무런 불안도 놀람도 없이 Get me out of here 여기서 나가게 해 줘요 No alarms and no surprises 아무런 불안도 놀람도 없이 Get me out of here 여기서 나가게 해 줘요 No alarms and no surprises, please 아무런 불안도 놀람도 없이, 제발 Get me out of here 여기서 나가게 해 줘요 Written By: Radiohead |
4. 여담
- 톰 요크는 이 뮤직 비디오를 찍으면서 진짜로 물 속에 얼굴이 잠긴 채로 몇 십 초 동안 숨을 참아야 했다. 촬영 비하인드 영상을 보면 톰 요크가 머리만 특수 제작된 수조에 집어넣고 있는 것과, 때가 되자 옆의 스텝들이 수조에 있는 물을 순식간에 빼내는 걸 볼 수 있다. 물에 잠겼다가 나온 후의 톰 요크의 표정이 안도감 때문인지 몰라도 물에 잠기기 전보다 훨씬 더 밝아보이는 건 덤. 이 뮤직 비디오는 톰 요크가 숨을 참은 영상을 노래 길이만큼 늘인 것이다.
- 가사의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가 번개탄 자살을 의미한다는 팬들의 해석이 있다. 일산화탄소 중독의 증상인 몸부림과 복통이 가사의 일부라는 점, 그리고 "Alarm"이 없다는 것이 화재경보기의 알람을 해제 시킨 것 아니냐는 것에 기반한 해석. 혹은 담배 연기로 해석하는 의견도 존재한다. 물론 중의적인 표현을 노렸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유리를 유심히 관찰해보면 음악의 가사가 비친다.
- R.E.M.의 마이클 스타이프가 무척 좋아하는 곡이라 한다.
- 유튜브에 이 노래와 인디 게임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중 Freddy Fazbear's Pizzeria Simulator의 진 엔딩 전화통화 음성(특히 I'm sorry로 시작되는 부분)을 합성한 영상들이 많이 보이는데, 이 I'm sorry 파트부터는 해당 게임 시리즈 이외의 창작물로도 합성물로 많이 만들어진다.
- 일반적인 가사 해석과 달리 bellyache는 우울증 약의 대표적인 부작용이라는 점에서 이를 현대인의 만성적인 우울증과 우울증 약의 복용에 대한 곡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링크
- 정부를 무너뜨리라는 내용의 가사 때문에 정부를 비판하는 정치집회에서 종종 연주되는 곡이다.
- 더 지니어스:그랜드 파이널/10화 탈락자 퇴장 BGM이다.
- 자세히 들어보면 원곡의 피치가 살짝 낮다. 의도한 건지 믹싱 에러인지는 불명. 유튜브에는 제대로 리튠한 버전도 있다. #
[1] 이 기타 사운드는 비치 보이스의 Wouldn't It Be Nice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2] 앞전 트랙의 혼란스럽고 무지막지한 엔딩이후 들리는 맑은 기타 사운드의 대비 덕분에 훌륭한 트랙 배치였다는 평이 있는데 실제로도 어느 정도 의도한 배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3] 철학에서 인간 본질의 자기소외 개념은 마르크스에게서 유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