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20:22:58

MTR 메트로카멜 교류형 전동차/현황


파일:MTR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도시철도 메트로카멜 직류형 (M형) | 로템-미쓰비시 (K형) | CNR 창춘 (C형·S형) | CRRC 쓰팡 (Q형)
광역철도 Adtranz-CAF (A형) | 로템-미쓰비시 (K형) | 메트로카멜 교류형 (MLR형) | IKK SP1900형 | CRRC 창춘 (TML-C형) | 현대로템 (R형)
고속철도 MTR CRH380A
경전철 경철 차량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MTR 메트로카멜 교류형 전동차
1. 현황
1.1. 리모델링 이후

1. 현황

1.1. 리모델링[1] 이후

<rowcolor=#fff> 차량번호 제어방식 소속 제작사 제작년도 도입 목적 비고
E1/E26 사이리스터 위상제어 호뚱라우차량기지[2] 메트로카멜[3] 1980년~1989년 동철선 전철화 및 수요 증가 대응
E2/E75
E3/E25
E4/E66
E5/E59
E6/E68
E7/E72
E8/E69
E9/E28
E80/E29
E81/E21
E82/E24
E83/E74
E88/E62
E90/E23
E92/E70 2019년 홍함역 탈선 사고 및 대학역 시위 연루 차량
E94/E64
E96/E77 완차이 일대 해안가에서 선두 2량 정태보존
E98/E63
E100/E22
E102/E60
E104/E78
E106/E27
E108/E65
E110/E61 선두차 일부분 정태보존
E112/E71 최후 운행 차량
홍함역 승강장에서 6량 정태보존
E114/E67
E116/E76
E118/E73 사고나 잉여 제외 최초로 신규 차량 도입으로 퇴역한 편성
E44(리모델링 제외) 저압 탭 제어 유일하게 잔존한 비 리모델링 편성
홍함역 승강장에서 정태보존
E45(리모델링 제외) 1984년 탈선 사고 이후 폐차
===# 리모델링 이전 #===
<rowcolor=#fff> 차량번호 제어방식 소속 제작사 제작년도 도입 목적 비고
E1 저압 탭 제어 호뚱라우차량기지[4] 메트로카멜[5] 1차분
3094
1980년~1989년 동철선 전철화 및 수요 증가 대응
E2
E3
E4
E5
E6
E7
E8
E9
E10
E11
E12
E13
E14
E15
E16
E17
E18
E19
E20
E21
E22
E23
E24
E25
E26
E27
E28
E29
E30
E31
E32
E33
E34
E35
E36
E37
E38
E39
E40
E41
E42
E43
E44 리모델링 제외 편성
E45 1984년 탈선사고로 인해 폐차
리모델링 제외 편성
E46
E47
E48
E49
E50
E51
E52
E53
E54
E55
E56
E57
E58
E59
E60
E61
E62 2차분
K01
E63
E64
E65
E66
E67
E68
E69
E70
E71
E72
E73
E74
E75
E76
E77
E78
E79
E80
E81
E82
E83
E84
E85
E86
E87/E88 사이리스터 위상제어 3차분
K03
E89/E90
E91/E92
E93/E94
E95/E96
E97/E98
E99/E100
E101/E102
E103/E104
E105/E106 4차분
K05
E107/E108
E109/E110
E111/E112
E113/E114
E115/E116
E117/E118 최후의 메트로카멜제 홍콩 철도차량[6]

[1] 1996년 ~ 1999년[2] 何東樓車廠, Ho Tung Lau Depot[3] 1989년 파산 이후 현 알스톰사에 인수[4] 何東樓車廠, Ho Tung Lau Depot[5] 1989년 파산 이후 현 알스톰사에 인수[6] 최후의 편성을 제작한 1989년 이후 메트로카멜은 파산하여 더이상 홍콩에 철도차량을 납품하는 일은 없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