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 |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 |
국내 주요 거래소 | ||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 | ||
관련 이슈 |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
관련 범죄 | 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 |
사건/사고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 }}}}}}}}} |
Kaspa | |
<colbgcolor=#2e89e6><colcolor=#ffffff> 기호 | KAS |
출시일 | 2021년 11월 |
합의 알고리즘 | GHOSTDAG (PoW 기반 DAG) |
최대 발행량 | 약 287억 KAS (예정) |
블록 생성 시간 | 약 1초 |
개발팀 | Yonatan Sompolinsky 외 Kaspa 커뮤니티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1. 개요
Kaspa(KAS)는 GHOSTDAG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세계 최초의 블록DAG(DAG형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이다. 빠른 트랜잭션 속도와 높은 보안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작업 증명(PoW)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초당 수천 건의 거래 처리 성능을 보인다.이더리움의 확장성 연구에 기여한 이스라엘 히브리 대학교의 요나탄 솜폴린스키(Yonatan Sompolinsky)가 이끄는 팀에서 개발되었으며, 기존 블록체인의 직선형 체인 구조를 DAG(Directed Acyclic Graph) 기반으로 전환해 확장성, 속도, 탈중앙화의 삼각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다.
2. 특징
2.1. GHOSTDAG 기반의 PoW 구조
Kaspa는 나카모토 합의의 한계로 여겨졌던 블록 생성 속도의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GHOSTDAG(Greedy Heaviest Observed SubTree Directed Acyclic Graph) 프로토콜을 채택했다. 이는 기존 체인의 단일 블록 체인 구조를 확장하여 다수의 병렬 블록이 공존할 수 있게 하며, 빠른 속도에서도 네트워크의 보안성과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1초 블록 생성 주기를 유지하면서도 높은 처리량을 가능하게 하며,
- 메인체인 중심이 아닌, 병렬 블록 모두를 포함하는 DAG 구조로 체인의 병렬성과 확장성을 높인다.
2.2. 탈중앙성과 공정한 채굴 방식
Kaspa는 비공개 사전 채굴이나 프리마인 없이 런칭되었으며, 누구에게나 공정하게 열려 있는 채굴 구조를 가진다. GPU 기반 작업 증명(PoW)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으며, ASIC 저항성을 갖춘 KHeavyHash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공정한 분배 — 런칭 시점부터 오픈된 채굴 구조.
- 탈중앙화 — 누구나 채굴에 참여 가능.
2.3. 빠른 최종성 (Fast Finality)
초당 수천 건의 거래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빠르게 블록이 추가됨에도 불구하고 각 블록은 DAG 위에서 안전하게 정렬되어 최종성(finality)이 빠르게 보장된다.2.4. 지속 가능한 발행 구조
Kaspa는 인플레이션 제어를 위해 선형 반감기(LHDR: Linear Halving Emission Schedule) 방식을 채택하였다. 초기에는 분당 220개 블록을 생성하며, 이후 점차 블록 보상이 줄어드는 구조를 통해 2038년까지 대부분의 KAS가 발행될 예정이다.3. 생태계
Kaspa는 빠른 속도와 낮은 수수료를 기반으로 탈중앙화된 결제 수단, 지갑, 커스터디 서비스 등 다양한 디앱(DApp) 및 실사용 사례를 확장하고 있다.현재 다양한 지갑에서 지원되며, 웹 기반 Kaspa Wallet, Kastle Wallet, Zelcore 등에서 이용 가능하다. 또한 커뮤니티 중심의 개발이 활발하며, Web3 개발 플랫폼들과의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