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 |
비트코인 | 이더리움 | 테더 | BNB | 솔라나 | ||
리플 | USDC | 에이다(카르다노) | 도지코인 | 비트코인 캐시 | ||
라이트코인 | 이더리움 클래식 | 스텔라루멘 | 헤데라 | 스택스 | ||
비트코인 SV | 알고랜드 | NEO | 이오스 | 아이오타 | ||
클레이튼 | 비트코인 골드 | 베이직 어텐션 토큰 | Qtum | NEM | ||
핀시아 | 크레딧코인 | SNT | 오미세고 | 시빅 | ||
카이버 네트워크 | 트러스트버스 | XPChain | 글루와코인 |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 |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 |
국내 주요 거래소 | 업비트 · 빗썸 · 코인원 · 코빗 · 고팍스 | |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 | · · 비트멕스 · Bybit · OKX · Bitget · Gate.io · KuCoin · Bitfinex · · HTX | |
관련 이슈 |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
관련 범죄 | 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 |
사건/사고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 }}}}}}}}} |
1. 개요
scamcoin[1]사기를 목적으로 하는 암호화폐이다.
2. 종류
2.1. 스캠 코인 유형
- 암호화폐를 만들겠다고 이야기하여 투자를 받은 다음 암호화폐는 만들지 않고 투자금만 들고 잠적한다. '삼성 코인' 같은 예가 있다.
- 암호화폐를 만들겠다고 하고, 실제로 만들어서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까지 시킨다. 하지만, 상장한 뒤 돈을 들고 잠적하는 경우이다. 보통 얼랏코인이나 오징어 게임 코인처럼 초기 펌핑으로 거래가를 높인 다음 모두 청산하고 튀는 경우가 흔하다. 범죄자들이 스스로 주도해서 만든 코인이고, 발행 방법도 통제되지 않다 보니 거래될 코인의 대다수가 범죄자들의 수중에 있고, 범죄자들이 한순간에 코인을 다 털고 먹튀해버리니 암호화폐는 더 이상의 시장가치를 잃고 휴짓조각이 된다. 이와 같은 수법을, 양탄자에 사람들을 올려놓고 갑자기 확 잡아채는 것에 비유해 Pull The Rug, 한국어로 주로 러그풀이라고 한다. 이 전략을 조금 더 응용하면 함께 러그풀의 방법으로 한탕해보자고 얘기하고는 곧 상장할 코인이니 사전판매(프라이빗셀, 프리셀) 단계에서 미리 매수하게 만든 뒤에 급작스러운 사정이 생겨 예정대로 상장할 수 없게 되었다고 속인 뒤 상장하지 않고 잠적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 암호화폐를 만들겠다고 하고, 실제로 만들어서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시킨다. 그리고, 처음에 제안했던 여러 기능을 실제로 구현하는 노력을 한다. 하지만, 개발 능력의 부족 등 여러 이유로 암호화폐를 완성시키지 못하고 포기하는 경우이다. 그러면서, 자금을 빼돌리고 잠적한다.
2.2. 가짜 코인 거래소
번외로, 아예 가짜 암호화폐 거래소를 만든 뒤, 정상 영업하는 척 하다가 고객들의 돈을 들고 튀는 경우도 있다. #주로 로맨스 스캠 사기수법을 응용하여 사기를 친다. 자세한 내용은 로맨스 스캠 돼지 도살 투자 사기 기법 참고.
3. 분석
사실 위 수법은 봉이 김선달의 사기 수법과 별반 차이가 없다. 봉이 김선달 설화에서 김선달은 연기자를 시켜 마치 대동강물을 파는 권리나 가치가 있는 것처럼 짜고치는 거래(자전거래)를 해서 마치 실제로 대동강물을 파는 권리가 있는 것처럼 속였고, 그것에 가치를 부여했지만 실제로 그를 보증할 수단은 전혀 제시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이에 속아 넘어간 부자들은 강을 소유할 수 있다는 자기들의 욕심 때문에 김선달에게 돈을 줘 버린 것이다.이처럼 전통적인 사기 수법 상으로는 피해자들에게 투자 수익을 보증하는 증서나, 폰지사기, 다단계에서 흔히 보이는 옥돌장판 같은 물건을 줬다면, 스캠코인 사기는 그것을 듣도 보도 못한 신규 암호화폐로 바꾸었다고 보면 된다.
화폐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기축 통화 제도와 같이 그 화폐의 교환가치를 보증하는 무언가가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그 암호화폐의 백서 중 economics 파트에서 그 화폐의 사업모델이나 수익구조를 설명하고는 있지만 대개 그 내용들이 굉장히 부실하다던가 몇 단계만 건너도 말이 되지 않는 내용들로 가득 차 있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가치의 변동폭이 지나치게 커서는 통화로서의 유통기능을 다할 수 없게 되고 그냥 휴짓조각일 뿐이며 잘 해봐야 어음 증서 정도 효력만 가질 뿐이다.
현행법상 어음도 마찬가지. 대금 대신 어음을 받은 사람은 그 어음을 다른 사람한테 유통해서 돈을 마련할 수 있지만 문제는 어음발행인의 신용이 없으면(극단적인 예시로 어음발행인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허무인이라던가 부도처리된 회사인 경우라면 어음증서에 기재된 금액을 돌려받을 방법이 없을 것이다. 당연히 이런 어음을 제3자에게 양도하거나 어음할인을 한다고 하더라도 사 줄 사람이 나타날 리 없을 것이다. 내지는 엄청난 비용을 물고 할인을 해야 한다던지) 그 어음을 유통하려고 해도 받아줄 사람이 없을 것이란 거다. 스캠코인은 쉽게 말해 범죄집단이 자기들 마음대로 이름붙인 코인을 어음처럼 사고 판 것일 뿐이다. 그리고 그 코인에 투자하거나 상장된 코인을 사는 사람들은 그 권리의 회수보다는 코인을 받아줄 또다른 호구가 있기를 기대하면서 그 증서를 구입하는 것이다. 특히 위에서 본 '풀 더 러그' 사례는 더 악질적이다. 아무런 보증도 없는 코인을 사는 호구를 잔뜩 모아 놓고 곧바로 그 물량을 떠넘기고 잠적하는 것은 코인에 말려든 사람들의 돈을 한번에 훔쳐가는 것과 별반 다를 바 없다.
4. 결말
코인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공간에 돌아다니는 프로그램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어 사이버 공간 자체가 없어지지 않는 한 영원히 살아 있기 때문에, 이 스캠코인들도 제작자들의 결정과 무관하게 여전히 살아서 돌아다니고 있다. 상장폐지됐다고 해도 거래소에서 취급하지 않을 뿐이지 코인이 없어진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일부 코인 거래소에서는 상장폐지하지 않고 그냥 놔두는데 이렇게 되면 폭락한 가격에서 조금씩 오르락내리락 하는 형태로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이미 버려진 코인이 가치가 있을리는 만무하니 시한폭탄과 같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5. 예시
- 아프리카TV 코인 게이트
- SS코인(삼성 코인)[2]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얼랏코인
- 위너즈 코인 게이트
- 진도지코인
- 비트커넥트
- 루나코인
- 퓨리에버 코인
- 여러 스캠 코인 예시
- HMC
- 2023년 스캠 코인 사기 사건
- 소스원 코인(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