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16:36:20

IM선교회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선교회 특징3. 설립자4. 연관기관
4.1. 본부4.2. IM 선교회 산하 지역 공동체(ministry)
5. 사건 사고6. 코로나-19 집단 감염

1. 개요

IM(International Mission)선교회는 마태복음 24장 14절 말씀을 따라 땅 끝까지 복음이 증거되고 하나님의 나라의 백성과 공동체가 세워지는 것을 꿈꾸는 개신교 선교 공동체이다.

단순히 복음을 전하는 것을 넘어, 들은 자들을 제자로 삼아 그들이 선 자리에서 선교사(학생 선교사, 가정 선교사, 직장 선교사, 열방 선교사)의 삶을 살도록 돕는 것을 사명으로 한다.

2. 선교회 특징

초창기부터 청년 공동체를 통해 말씀 교육과 신앙 훈련을 하며 프로테스탄트 그리스도인의 가치관과 선교사로서의 정체성을 갖도록 지원했다.

국경을 넘어 인도, 필리핀, 카자흐스탄, 태국, 네팔, 인도네시아,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개신교 선교 사역을 펼쳐왔다.

조회 때 오른손을 들고 선포하는 'IM 5대 강령'에 선교회의 신조, 목표, 정신이 명시되어 있다.
IM 5대 강령(IM한국 기준):
* 하나, IM한국은 개혁주의의 정신을 따라 개혁주의의 5대 표어를 우리의 신조로 한다. 오직 말씀, 오직 은혜, 오직 그리스도, 오직 믿음, 오직 하나님께 영광
* 둘, 우리는 선교 완성이라는 목표를 향해 마지막 시대에 주님의 마지막 때를 이루기 위해 각 사람을 선교사로 세워 선교의 사명을 완수하게 하는 것을 우리의 목적으로 한다.
* 셋, 우리의 정신은 다음과 같다.
*복음: 구속사적 관점, 하나님 나라 관점, 언약 관점
*제자: 경건한 생각,경건한 행동, 경건한 삶
*소명: 비전과 사명, 전도와 선교, 교회와 종말
* 넷, 우리의 사명은 다음과 같다. 진리 수호, 진리 전수, 전인격, 전인생, 전방향 선교사 양성, 열방의 복음화!
* 다섯, 우리의 생활원리는 다음과 같다. 영성을 겸비하자, 인격을 겸비하자, 실력을 겸비하자, 복음을 전파하자!

<비전과 방향성>
국내 청소년 / 청년 사역과 외국 선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육 사역>
MK, NCT, 국내 입시, 국외 입시
멘토링, 독서, 자기 주도 학습

3. 설립자

과거 CBS <새롭게 하소서> 간증 영상을 참조한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본명은 조재영이며 1978년 충청남도 서산시(당시 서산군) 출생이다. 한국 단일국적이다. 즉, 마이클은 영어 이름이다. 지적장애를 가진 아버지와 신체장애를 가진 어머니 사이에서 막내로 태어나 어렵게 자랐다고 한다. 신앙을 통해 고통을 극복한 후 영어를 배워 대전광역시·천안시 지역 시사영어학원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던 중 2010년경 IM선교회를 세워 개신교 선교활동과 선교사 육성 등을 해 온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MBC의 보도에 따르면 마이클 조의 학력과 약력은 위조 의혹이 있었다. 충청남도 통역관 경력, 시사영어학원 이사장은 일반인으로서는 검증하기 어려울 수 있더라도 졸업했다는 배재대학교 관광영어학과는 개교 이래 존재한 적이 없는 학과였다. 이에 대해서 마이클 조 선교사 본인은 방송에서 잘못 내보낸 것이며 관광경영학과를 졸업했다고 발언했다.

교계에서는 그의 목사안수에 대한 논란도 일었다. 목사가 되기 위해선 준목고시를 통과해야 하는데 조 씨는 준목고시를 불합격했음에도 목사안수를 받아 선교사와 대표로 활동했던 것. 그에게 목사안수를 준 남성균 목사는 "당시 총회가 분리‧통합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총회 준목고시를 치를 상황이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그리고 임원들끼리 상의한 끝에 그에게 목사 안수를 주었다고 했다. # 마이클 조가 목회학 학위 수여와 목사안수를 받은 기관 또한 비인가 기관이라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때문에 교계에서는 그가 신학교를 졸업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목사안수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것.

그러나 언론 보도에서 마이클조 목사는 예장백석대신 소속 목사임이 확인되어 목사안수에 대한 논쟁은 종결된 것으로 보인다.

더하여, 다양한 논란들과 허위 사실 등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팩트 체크를 한 게시물이 있으니 한 번 보고 오는 것도 좋다. 링크

4. 연관기관

4.1. 본부

- IM Korea/IM headquarters(IM한국본부)
위치: 한국-대전
Director(대표 또는 리더): 클라라 선교사
'온 세상(All Nations)'을 지리적 의미를 넘어 모든 삶의 영역으로 해석하여, 다음 세대, 청년 세대, 전 세대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선교사로 살아가도록 외치고 있다.
트리플 스쿨(복음 스쿨, 제자 스쿨, 소명 스쿨)을 중심으로 교육, 캠프, 지역 교회 연합, 선교 영역을 훈련한다.

MK(선교사 자녀) 과정, NCT(New Comer Training) 과정, 국내 입시 과정, 국외 입시 과정이 진행된다.

지역 리뉴젠 사역자 인큐베이팅 센터 역할을 한다 (단기/장기 현장 훈련 제공).
목회자 세미나, 한다살 캠프, 부모 캠프, 전국 대회 등을 주관한다.
비대면 컨텐츠를 제작하여 지역 교회에 제공한다 (나그리스도인 부모 대안학교, CBOP, 리뉴젠 전문 과정, 인투전 청년학교, 영어 단계 속성 과정 등 온라인 시스템 활용).
전국 40여 개 이상의 리뉴젠 지역 공동체가 있으며, 여러 교회가 다음 세대 사역 동참을 준비하고 있다.

예전 구호: 12 300 3000 movement IM new generation IM new breed IM new wave everything is possible in God 아자아자아자 fighting
12개의 리뉴젠 공동체, 300개의 교회, 3천 명의 선교사 비전을 선포한다. 최근 구호는 더 길다

지역 선교: 가정을 포함한 모든 삶의 영역을 선교지로 인식하고 복음을 전하는 사역 (고비캠, 컴비캠, 한다살 캠프, CBUP(Church Build UP project), 부모 학교 등).
영역 선교: 정치, 경제, 교육, 미디어, 예술 등 각 분야에서 하나님의 나라의 통치가 임하도록 영향력을 미치는 사역 (리뉴젠 세상을 바꾸다 - 리셋바 모임 운영).
열방 선교: 복음의 국경을 넘어 나라를 확장하는 사역 (단기/장기 선교, 무빙 스쿨 - 일본, 태국, 말레이시아, 미국, 필리핀 등). 한국 선교팀은 열방 선교팀으로서 샘플과 컨텐츠를 제작하여 지역 교회의 영적 재생산을 돕고, 세워진 지역 리뉴젠 공동체가 열방으로 나아가도록 지원한다.

IM 한국 본부는 다음 세대, 청년 세대 롤모델, 교육 선교사 롤모델을 세운다.
모든 훈련 과정은 홀리트리니티 시스템(신앙 → 생활 → 학습 → 선교 완성)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IM 한국 본부는 다음 세대와 청년 세대를 깨워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선교사로 살아가도록 훈련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다양한 교육, 캠프, 지역 교회 협력, 국내외 선교 사역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 IMOHP(IM Overseas Headquarters in the Philippines/IM해외선교본부)
위치: 필리핀-돈그레고리오
Director: 드보라 선교사
필리핀에 모인 한국 학생들과 필리핀 학생들을 위해 IM선교회는 비영리 법인을 인수했다. 이 법인은 현지인 고용, 외국인 학생 신학교 운영이 가능하도록 필리핀 정부 및 관련 기관의 허가를 받은 법인이다. 현지인 교사를 고용하여 한국 학생들이 영어를 배우도록 지원하고, 필리핀 현지 신학교를 세워 복음을 배우고 복음대로 사는 필리핀 청년 공동체를 만들었다. 현재 한국 학생들을 포함한 외국 학생들은 6개월마다 SSP(Special Study Permit)를 받아 합법적으로 공부하고 있다. 마이클 조 선교사의 해외 선교와 한국에서의 캠프, 교육 공동체를 통해 한국 외 다른 나라에서도 자녀들을 보내주었고, 필리핀 청년들과 고용인들의 소개로 현재는 한국, 필리핀, 일본, 중국 등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함께 공부하고 있다.

선교회 사역자들은 24시간 가족 공동체로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며 학생들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돌본다. 학생 병원 치료 시 선교사들이 동행한다.

정기적인 방역, 청소, 살균된 칫솔/물병 사용과 지속적인 안전/위생/건강 교육 및 관리를 통해 개인 위생 관리에 힘쓰고 있다. 신앙, 생활, 학습, 선교를 커리큘럼으로 월간/일간 일정을 구성하여 학생들을 교육한다. 매일 영어 수업과 자기주도 학습 시간을 가지며,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해 EP(English Policy, 강제 영어 사용 제도)가 있다. 그룹별 말씀 묵상/예배 후 나눔, 성경 수업, 독서, 운동, 청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고 찬양팀 활동, 리더십 훈련 기회를 제공한다.

격주로 소외된 지역(바공포, 가부꼬) 봉사활동(음식 나누기, 바자회, 집수리, 페인트칠, 위생/영어/음악/성경 교육 등)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고 학생들의 주도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운다. 봉사활동 비용 일부는 학생들이 자비로 부담한다. 학생들은 시간과 용돈 관리, 올바른 언어 사용 및 자세 등을 교육받는다.

신앙/학습/선교 관련 모든 활동은 평가되어 자체 생활기록부에 기록되고 학생들의 진로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필리핀 해외선교본부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신뢰하는 신앙인, 자신의 삶과 이웃을 돌보는 사회인, 사명을 깨닫고 준비하는 소명인, 복음을 전파하고 세상을 회복하는 선교사, 영성과 실력을 갖춘 전인격 그리스도인으로 학생들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함된 국제 학교(입시 방향) 체제들:
IEM(International Education Mission): 명칭은 캠프를 통해 모인 청소년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꿈을 가지고 열방에 나아가는 국제적인 리더"가 되라는 의미로 사용한 말이 유래가 되었다. 학년 개념 없이 개인의 학습 능력과 진로에 따라 대학 입학까지 신앙 생활과 학습의 균형을 관리하는 "그로잉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을 운영했다. 리뉴젠(청소년들)을 위한 과정이다.

TCS(Two Commandment School): 트리플스쿨 과정과 미국 기독교 교육과정인 SOT(IM 선교회와 협력 관계의 기관 이름) 시스템(각 교회의 교사진들이 SOT 기관에서 직접 교회마다 자격증을 따야 하는 시스템이다)을 사용하여 기독교적 세계관(가치관)이 녹아든 교재로 공부하는 대안 학교 형태이다. 리뉴젠(청소년들)을 위한 과정이다.

INTOGEN(MTS): 청년 선교사 훈련 과정이다. 신앙 특화 과정과 A존 준비 과정으로 나뉜다.

A zone(Fil America Zone): 최소 6개월 과정이고, 토플 시험부터 I-20를 포함한 서류 준비에 미국 F-1 비자 발급을 위한 인터뷰 준비까지 미국 유학 과정에 특화된 과정이다.

- IMUSA(IM Union Solidarity Alliance/IM미국본부) 등
위치: 미국-텍사스 칼리지스테이션
Director: 모세 선교사, 줄리엣 선교사

4.2. IM 선교회 산하 지역 공동체(ministry)

전국(본부 제외) 지역 공동체: 광주/필리핀 CEC, 강화 엘벧엘, 용인 카라스, 경산 에스라, 순천 새로이, 인천 원웨이,안양 그레이스, 인천 비홀리, 삼척 행복한, 의정부 GTM, 광주 예그몸, 천안 프로토스, 서평택 이룸, 부산 데일리, 산청 아크, 순천 다비드, 천안 어웨이크닝, 인천 GUS, 성남 리션트, 안양 그레이스, 남해 요셉꿈, 익산 프렌즈, 양양 렘넌트, 대전 RM, 서울 라이트 이너스, 등

한국 각지의 ministry(교육+선교 공동체, 대부분 한 교회에 소속되어 있다)들은 아이엠선교회와 일종의 MOU 체결을 하고 지역명+기관 이름[1] 교회 겸 교육시설을 운영한다.

이 기관들은 각종 캠프로 영혼 구원 사역을 한다.
한다살: 한국 다음세대 살리기 2박 3일 캠프. 영어나 수학을 결합하여 교육적 요소도 일정에 추가하는 경우가 있다.
고비캠(Going Vision Camp): 지역 교회에 찾아가는 또래 세우기 1일 캠프.
컴비캠(Coming Vision Camp): 지역 교회가 찾아오는 1일 캠프.
예수복제소/GDC(Gospel Disciple Calling) 캠프: 예수 복제품을 만드는 3-4주 예수 복음 제자 소명 캠프 (여름/겨울 방학).
트랜스포메이션: 권역별 리뉴젠(Renewgen) 모임, 한국선교, 선교한국, 열방선교를 선포하는 지역 부흥 캠프.
반전의 날/전국 학생 대회: 한국 본부에서 전국 리뉴젠 공동체를 대상으로 주최하는 캠프.
+무빙스쿨: 한 리뉴젠 공동체가 다른 지역 IM공동체에서 특정 기간동안 같이 훈련 받는 기간
+비전 트립: 여행이 주 일정이지만, 밟는 땅 곳곳에서 선교사의 마음을 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인 일종의 체험 학습

5. 사건 사고

6. 코로나-19 집단 감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M선교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M선교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M선교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1년 1월 한국에서 IM선교회와 관련된 광주 TCS 국제학교와 대전 IEM 국제학교에서 대규모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가 발생했다. 특히 대전 IEM 국제학교는 학생 120명 중 116명이 감염되는 높은 확진율을 보였다. 이로 인해 총 3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왔고, 학교(또는 교회) 측의 미흡한 초기 대응, 늦장 대처, 밀집된 기숙사 환경 등이 감염 확산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초기에는 교회 관련 확진자로 분류되었으나, 역학 조사 결과 대안학교와의 연관성이 밝혀졌다. 이후 서울 확진자의 광주 방문이 감염 경로로 확인되었다. IM선교회 관련자들은 방역법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았으나, 대부분 무혐의 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개신교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었고, 방역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방역 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재검토하고 연장하는 결정을 내렸다.
[1] 신학적 단어들을 주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