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8:40:10

GM LS 엔진


1. 개요2. 상세
2.1. 1세대 (1997~2007)2.2. 2세대 (2005~2020)2.3. 3세대 (2013~현재)2.4. 4세대 (TBA)
3. 적용 차종

1. 개요

제너럴 모터스(GM)의 4.8~8.3L급 대배기량을 가진 V8 OHV 가솔린 스몰블럭 엔진 라인업으로, 1997년 자사의 LT 엔진 후속으로 출시되어 쉐보레 콜벳 등으로 데뷔하였다. 자연흡기, 슈퍼차저 2가지 과급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2. 상세

  • 실린더 스페이싱 (mm) : 112
  • 밸브트레인 : OHV 16밸브

2.1. 1세대 (1997~2007)

파일:LS1.jpg
위 사진은 쉐보레 콜벳 C5에 장착된 LS1 엔진이다.

2.2. 2세대 (2005~2020)

2005년 출시되었고 프레임 바디 SUV, 픽업트럭, 쉐보레 익스프레스, GMC 사바나 등은 이 엔진까지 볼텍(VOLTEC)[1] 엔진이라 불렀다.

E85 에탄올을 겸용해 사용할 수 있는 플렉스퓨얼(FLEXFUEL) 버전이 있다.

2.3. 3세대 (2013~현재)

  • 블록 구조 : 알루미늄 합금

LT1, LS2, LT2, LT4, L86/L87, L92 등이 있으며, ECOTEC3 계열이다. 저속에서는 8개의 실린더 중 4개를 비활성시켜 연료소모를 줄여주는 액티브 퓨얼 매니지먼트 시스템이 달려있다. 자연흡기는 400~436마력, 슈퍼차저는 640~677마력까지 내뿜는다.

카마로 SS, 콜벳 기준으로 압축비가 높기 때문에 옥탄가 RON 95 이상의 고급 휘발유가 사실상 필수다. 일반유를 주유하면 노킹이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에스컬레이드는 연식마다 일반유, 고급유 별로 차이가 있다.

LT4, LT5 엔진 기준으로,
기본적인 밸브 트레인은 다른 LS 와 동일하게 OHV 를 적용하나, VVT 가 적용된다.
크랭크 샤프트는 크로스 플레인 타입이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액티브 퓨얼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통해 4개의 실린더를 비활성화하는 기능이 있는데, 이는 전자제어 연료분사 시스템으로 가능한 기능이다. 이때 연료분사를 담당하는 인젝터가 이전 버전들과 달리 매니폴드 분사 + 실린더 직분사 방식으로 실린더당 2개의 인젝터가 사용된다.[2]
슈퍼차저의 상단 케이스는 금속이 아닌 고분자화합물 소재로 적용되며 인테이크로 가는 밸브 말고도 압력을 릴리프하기 위한 바이패스 밸브도 적용된다. 그리고 인터쿨러가 슈퍼차저 내부에 일체형으로 적용된다.

LT4 엔진기준 쉐보레 퍼포먼스 판매가는 약 10,000 달러 내외였으나 2024년 이후로는 더 이상 생산하지 않는다. 남은 재고만 판매중이다.

2.4. 4세대 (TBA)

2023년 1월 차세대 LS 엔진을 발표, 향후 출시를 위해 8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특히 스텔란티스에서 자사의 HEMI 엔진을 2024년 초에 그 해를 끝으로 단종된다고 했었다는 것[3]과 대조되면서 향후 엄청난 귀추가 주목된다.[4]

3. 적용 차종


[1] 사실 볼텍 자체는 EMS, 실린더 헤드를 포함한 특유의 연료 분사 시스템 일체에 대한 브랜드였고, GDI 시스템이 대중화된 이후 GM이 델파이를 매각한 이후 2014년 5.3 엔진까지 단종되며 더 이상 해당 브랜드가 안 붙는 것으로 보아 현재 볼텍에 대한 상표권은 피니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 간접분사 8개, 직분사 8개 총 16개. 물론 간접분사 인젝터와 직분사 인젝터는 완전 동일한 부품이 아니라 모양과 구조가 다르다.[3] 결국 닷지 듀랑고 SRT를 1년 더 연장생산했고 끝내 헤비 듀티 한정으로 계속 생산될 것으로 보인다.[4] 참고로 GM 또한 성향 상 전동화에 있어서 어떤 면에서는 스텔란티스보다 더한 기업이라 그럴 수밖에 없다.[5] 2025년 개최된 배서스트 12시에서 주행한 쇼런 차량이 본 엔진을 차용하였다. 다만 해당 차량의 기본 제원이 현대 람다 엔진(V6)을 사용하기에 이후부터 등장하는 쇼카는 람다 엔진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