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고속열차 | |||||
JR E3 (도색) | JR E6 | |||||
JR W7&E7 | JR E8 | |||||
🚈 전철&일반 열차 | ||||||
JR E001 | ||||||
JR E235 | JR E353 | |||||
JR E261 | Tobu 500 | |||||
Tokyo Metro 16000 | Osaka Metro 400 | |||||
MTA M9 | ||||||
전철/일반 열차로 되어있는 문단의 이모지는 🚅가 아닌 🚈로 표기, 인테리어 디자인은 틀에서 제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JR 동일본 E001형 전동차 JR 東日本 E001形 電車 JR East E001 Series (BEMU) | }}} | ||
외부 | ||||
차량 정보 | ||||
열차형식 | 간선철도 입선용 크루즈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1] | |||
편성대수 | 10량 1편성 | |||
운행노선 | 트란 스위트 시키시마 | |||
소속 | JR 동일본 오쿠 차량센터 | |||
신호장비 | ATS-P·Ps, Sn, DS-ATC | |||
제작회사 | 종합차량제작소 가와사키중공업 | |||
도입연도 | 2017년 | |||
차량 제원 | ||||
제어방식 | 도시바제 VVVF-IGBT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교류 20000V 50/60Hz 가공전차선 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DML57Z-G 디젤엔진 | |||
MT비 | 6M4T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2] | |||
대차 | DT83/DT84, TR266/TR267 볼스터리스 대차 | |||
최고속도 | 110㎞/h[3] |
[clearfix]
1. 개요
JR 동일본에서 제작한 크루즈 트레인 전용 열차. 트란 스위트 시키시마로 운영된다.
2. 특징
2017년, JR 동일본에서는 관광 목적으로 운행하는 비정규 크루즈 트레인인 트란 스위트 시키시마를 기획하기 시작하면서 본 차량을 제작 및 운행에 투입하기 시작하였다.본 차량의 디자인 담당은 자사 차량인 E235계 전동차, E353계 전동차, E261계 전동차를 담당한 오쿠야마 키요유키가 담당했다.
10량 편성[4]에서 4개의 라운지, 식당, 전망 공간 등이있다. 나머지 6량에 객실 17실이 있으며, 정원은 34명으로 구성되었다. 형식명은 E001형 전동차이며, 운행 중 전기 모드[5]와 디젤 모드를 자유롭게 변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6] 즉, 비전화 구간에서는 디젤 동차가 되고 전철화 구간에선 전동차가 된다.[7] 신호체계만 호환된다면 지하철을 제외한 일본의 모든 1067mm 협궤선로에서 운행이 가능하며 황실 전용 열차로 유명한 E655계 전동차[8]보다도 더 많은 구간에서 운행할 수 있다. 시키시마 차량은 오쿠 차량센터에 소속되어 있으며 JR 동일본 산하 종합차량제작소(J-TREC)에서 제작한 호화 플래그십 차량이다. 참고로 경적 소리는 기존의 JR 동일본 특급열차와 똑같다.[9]
호차 | 형식 | 시설 | 정원 | 비고 |
<colbgcolor=#aabfdd,#465b79> 1 | E001-1 | 전망차 '키자시(きざし)' | - | 운전실 차량 |
2 | E001-2 | 스위트 침대차 | 6명 | 출입문 보유 |
3 | E001-3 | |||
4 | E001-4 | 휠체어 스위트 출입문 보유 | ||
5 | E001-5 | 라운지카 '코모레비(こもれび)' | - | 출입문 보유 |
6 | E001-6 | 식당차 '시키시마(しきしま)' | ||
7 | E001-7 | 디럭스 스위트 침대차 | 4명 | 시키시마 스위트 & 디럭스 스위트 각각 1실 보유 |
8 | E001-8 | 스위트 침대차 | 6명 | 출입문 보유 |
9 | E001-9 | |||
10 | E001-10 | 전망차 '이부키(いぶき)' | - | 운전실 차량 |
- 전망차 (1,10호차)
지붕 부분까지 대형 창문을 갖춘 전망차의 차량은 승무원 이외의 출입문이 없고, 승객의 출입은 옆 차량에서 실시한다. 편성 끝 연결기로 되어있다. 디젤엔진은 이 차량의 아래층에 장착되어있다. - 스위트 침대차 (2,3,4,8,9호차)
스위트실 3개씩 설치되어있다. 2,3,8,9 호차에는 팬터그래프가 탑재되어 있으며 전철화 구간 주행시 직접 팬터그래프 집전으로 달릴 수 있다. 객차 바닥은 보통 바닥 높이 이지만, 그곳에서 슬로프를 통해 바닥 높이가 2층 상단의 위치까지 오르는 구조로 되어있다. 모든 객실에는 샤워 시설과 화장실이 있으며, 그 중 4호차의 방은 장애인 전용이다. 일본의 철도차량중에는 흔치 않은 플러그인 도어를 채택했다. - 라운지카 (5호차)
이층에 준하는 구조[10]를 채용하여 실내 높이를 높게 해방감이 나오게되어있다. 이 칸에 설치된 출입문이 주출입구로 양쪽에 2짝의 플러그인 도어를 장착하였다. 열차가 중간 기착지에 도착할때마다 승무원들이 열쇠로 출입문을 취급하고 카펫을 깔아놓는다. - 식당차 (6호차)
식당차 내부 구조로 일본식 데코레이션이며, 바닥을 2단으로 하고 조리실 디럭스 스위트차 측에 구비하고 있다. 식당차에서는 일본의 첫번째 미슐랭 스타 요리사인 나카무라 카츠히로의 최고급 요리가 제공된다. - 디럭스 스위트 침대차 (7호차)
2층 땅콩집형 구조의 시키시마 스위트룸과, 플랫형 구조의 디럭스 스위트룸이 각각 1실씩 배치되어 있다. 이 차량에는 출입문이 없고, 승객의 외부 출입은 옆 차량에서 실시한다. 또한 이곳에는 각 객실마다 욕조가 설치되어 있는데, 욕조를 이용할 때에는 반드시 옆의 커튼을 닫은 상태로 이용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민원 들어온다고(...) 하며, 영 좋지 않은 결과를 맞이할 수 있다.
3. 관련 문서
[1] 디젤 동력분산식 대응[2] 억속제동 포함[3] 영업속도와 동일[4] 특이하게도 한 편성에서도 객차에 따라 메이커가 다르다.[5] 전기 모드 중에서도 직류 1500V와 교류 20000V 50/60Hz, 25000V 50Hz를 번갈아 사용할수 있다. 25000V는 세이칸 터널 입선을 위해 대응되도록 되어 있으며 일본의 재래선 전동차들 중에서는 이 차량만 지원되는 전압이다.[6] 직류구간에서는 4개의 팬터그래프를 모두 올리며, 교류 구간에서는 2개만 올린다.[7] 하이브리드랑은 조금 다르다. 비전철화 구간에서는 그냥 디젤동차가 되는 거지 하이브리드는 아니다! 물론 그 디젤엔진도 구동축에 직접 연결된 게 아니라 발전기를 돌리는 용도인 만큼 비전철 구간을 다닐 때도 디젤전기동차가 된다. 결국 이러나 저러나 구동은 전기모터로 한다.[8] 비전철화 구간과 세이칸 터널에서는 자력주행이 불가능하다.[9] 다른열차들과는 다르게 통근형 및 특급형 경적이 모두 탑재돼 있다. 이렇다보니 가끔 3~4종의 경적이 동시에 울리는 경우도 있다.[10] 영화 설국열차에 나오는 온천 칸을 생각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