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라이벌들의 에이스 몬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DM | GX | 5D's | ||
푸른 눈의 백룡 | 암드 드래곤 LV10 방해꾼 킹 VWXYZ-드래곤 캐터펄트 캐논 | 레드 데몬즈 드래곤 | |||
사이버 엔드 드래곤 | |||||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 | |||||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 |||||
ZEXAL | ARC-V | VRAINS | |||
No.32 샤크 드레이크 No.73 격롱신 어비스 스플래시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 |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 바렐로드 드래곤 | |||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 |||||
SEVENS | 고 러시!! | ||||
연격룡 드라기아스 | 보이드베르그 레퀴엠 |
아카바 레이지 덱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련 카드군 | |
DD · DDD · 계약서 · 사위왕 | ||
서브 에이스 | 서브 에이스 진화체 | |
DDD 열화왕 테무진 DDD 질풍왕 알렉산더 DDD 노도왕 시져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DDD 질풍대왕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 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 DDD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 | |
에이스 | 에이스 진화체/최종 몬스터 | |
ARC-V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코믹스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 ARC-V DDD 쌍효왕 칼리 유가 DDD 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게돈 DDD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코믹스 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 DDDD 초차원통황 제로 패러독스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 OCG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 |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 ||
| ||
등장 시리즈 | ARC-V | |
사용 캐릭터 | 아카바 레이지 | |
첫 수록 | 9기 레이징 마스터즈 | |
서포트 | 융합, 싱크로, 엑시즈, 펜듈럼 | |
소속 테마군 | DD, DDD | |
재정 | | |
모든 왕을 다스리는 초월신!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全ての王をも統べる超越神!「DDD死偉王ヘル・アーマゲドン」!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아카바 레이지- | ||
모든 왕을 지배하는 초월신!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레이지더빙판- |
1. 개요
유희왕의 최상급 펜듈럼 몬스터 카드.2. 설명
2.1. 원작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사위왕 헬 아마게돈,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ruby><ruby>死偉王<rp>(</rp><rt>しいおう</rt><rp>)</rp></ruby>ヘル・アーマゲドン,
영어판명칭=D/D/D Doom King Armageddo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1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4,
P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800 올린다.,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대상 몬스터의 원래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이 카드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유희왕 ARC-V에서 아카바 레이지가 사용. 작중에서는 사카키 유우야와의 1차전 듀얼에서부터 DD 마도현자 갈릴레이와 DD 마도현자 케플러를 펜듈럼 존에 세팅해서 한꺼번에 3장씩 펜듈럼 소환하는 것으로 등장했다. 유우야와 갤러리들이 위압당하기도 잠시, 다음 턴 DD 마도현자들의 효과로 파괴되고 엑스트라 덱으로 보내져 전부 당해버렸다.
이후 51화에서 사카키 유우야와의 2차전 듀얼에서 재등장. 1장 불러내지만 유우야가 바로 함정 카드 미스디렉션의 날개로 효과도 무효가 됨과 동시에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의 공격력이 헬 아마게돈을 넘어버린 관계로 아무것도 못하고(...) 바로 같이 나온 어비스 라그나로크와 함께 DDD 쌍효왕 칼리 유가의 엑시즈 소환에 사용되었다.
또 다시 오랜 시간이 지나 129화에서 유우야와 태그를 맺은 레이지가 아카바 레오와의 듀얼에서 시저와 알렉산더를 릴리스해 소환했다. 레오에게 공격하지만 아카바 레오의 함정 카드에 의해 컨트롤을 뺏기고 다음 유우야 / 자크의 턴에 소환된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의 공격에 폭사했다.
이후 147화에서 유우야와의 최종전에서 레이지가 다시 3장을 소환하여 각각 DDD 융합, 싱크로, 엑시즈 / 펜듈럼 몬스터로 최종 진화시킨다.
첫 듀얼에서 레이지의 최후의 몬스터로 강렬하게 등장했다는 점, 공격력이 3000이라는 점을 빼면 레이지의 에이스 몬스터라고 부르기는 힘든 카드다. 특별히 자신 효과로 활약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으며, 등장 자체도 적고 등장해도 다른 몬스터의 소환의 소재가 될 뿐이었다. 오히려 레이지의 듀얼마다 자주 등장했고 최종 보스와의 결전에서 진화까지 한 테무진과 알렉산더, 시저가 더 에이스로 보일 정도. 실제로 레이지도 이 카드를 에이스로 여기는 모습을 보인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그 흔한 공격명이나 효과명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나마 마지막 듀얼에서 상위 몬스터인 초사위왕 3종이 등장하긴 했으나 전술한 이유로 "에이스다움"을 어필하기엔 부족함이 컸다. "라이벌 캐릭터는 공격력 3000 몬스터를 에이스로 사용한다"는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억지 에이스 취급을 받은 셈. 레이지 역시 라이벌이라기엔 어색한 캐릭터임을 생각하면 주인을 닮았다고도 할 수 있겠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사위왕 헬 아마게돈,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ruby><ruby>死偉王<rp>(</rp><rt>しいおう</rt><rp>)</rp></ruby>ヘル・アーマゲドン,
영어판명칭=D/D/D Doom King Armageddo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1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4,
P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800 올린다.,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대상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 올린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이 카드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펜듈럼 효과는 단순한 공격력 800 상승. 지속 효과도 아니고 턴 제약 효과며 스케일도 4라 썩 좋지 않은 편.
① 효과는 파괴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턴 종료시까지 자신의 공격력을 올리는 대신 직접 공격이 불가능한 맹세 효과. 턴 제약이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은 전형적인 맹세 효과, 즉 효과로는 취급하지 않는 "효과 외 텍스트" 인데, 왜 소울 차지 등과는 달리 앞에다 따로 표기하지 않은 건지 의문. 다른 카드에서도 비슷한 사례를 찾을 수 있는 걸 보면, 그냥 카드 제작팀이 오락가락 하는 모양이다.
② 효과는 대상을 지정하지 않으면서 파괴하는 마법 / 함정에 대한 내성. 라이트닝 스톰이나 번개 등이 해당된다. 하지만 대상 파괴기나 금지된 일적/무한포영 등에는 그대로 걸리므로 어중간한 편.
내성과 공격력 상승 효과로 안정적인 비트 다운 몬스터의 입지를 가지고 있으나, 그렇게까지 믿음직스러운 효과는 아니다.
DD 덱의 펜듈럼을 대표하는 에이스 카드이긴 하지만 정작 펜듈럼 소환을 하는 건 좀 까다롭다. DD 덱에서 이 카드를 펜듈럼 소환하려면 스케일이 9 이상인 스케일 서베이어, 마도현자 케플러나 뉴턴, DDDD 초차원통황 제로 패러독스을 넣어야 한다. 엑덱까지 본다면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와 데스 마키나까지. 하지만 제로 패러독스는 펜듈럼 덱을 상대할게 아니라면 효과가 그닥이라 안 쓰이고, 앞의 셋은 펜듈럼 존에 세팅하기에는 효과가 아까운 카드들이다. 데스 마키나나 아크 크라이시스는 어디까지나 보험에 가까운 효과이므로 기대하기 어렵다. 더군다나 케플러는 스케일 조정 때문에 발동한 턴에만 펜듈럼 소환이 가능하므로 안정성도 떨어진다는 단점까지 있다. 따라서 이 카드를 제대로 써먹으려면 DD 덱에서 흔한 편인 묘지 소생이나, 스월 슬라임의 효과를 이용해서 불러내야만 한다.
그래서 실제 DD 덱에서의 채용률은 그리 높지 않다. DD는 기본적으로 싱크로 / 엑시즈를 통해 고타점 몬스터를 소환하지, 메인 덱의 타점 위주로 상대하는 덱은 아니기 때문. 효과도 그닥이고, DD가 타점으로 아쉬울 상황도 많지 않고, 아무 DDD를 공격력 3000짜리로 바꿔 주는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도 나왔다. 그렇다고 해서 이 카드를 반드시 요구하는 카드가 있는 것도 아니라서 더더욱. 추후 나온 다른 DD 8레벨 펜듈럼 몬스터들도 하나같이 사위왕보다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어 굳이 쓸 일이 없다.
라이벌 몬스터인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이 마스터 오브 펜듈럼의 스트럭쳐 덱 커버 카드를 당당히 차지한 것에 비해, 아마게돈은 펜듈럼 도미네이션의 커버 자리를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에게 빼앗겨 버렸다.
반면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전용 스킬들 덕에 DD 덱에서 채용률이 높다. 효과가 그닥인 건 그대로지만, '세계의 종말'과 '사위왕의 통솔'이 이 카드를 반드시 요구하기 때문. 특히 사위왕의 통솔은 펜듈럼 위주의 DD덱을 만들어서 티어에도 올라간 적이 있다. 추후 지원받았을 때 나온 '사위왕의 조율'은 반드시까지는 아니지만, 이 카드도 스킬 격발 대상이라 채용률이 높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
2014-08-09 |
SPRG-JP005 | ブースターSP - レイジング・マスターズ - |
2015-12-12 |
SD30-JP006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ペンデュラム・ドミネーション - |
2014-11-20 |
SPRG-KR005 | 부스터 SP 레이징 마스터즈 |
2016-03-15 |
SD30-KR006 | 스트럭처 덱 - 펜듈럼 도미네이션 - |
2017-01-20 |
SDPD-EN006 | PENDULUM DOMINATION STRUCTURE DECK |
2.3. 기타
이름의 사위왕은 한자로 死偉王(죽음의 위대한 왕)이라 적고 일본어로 시이오ː 정도로 읽는데, (로마자 shiiō) 아카바 레이지가 CEO의 직책을 삼고 있다는 것에서 따온 말장난이다.디자인은 역대 라이벌 에이스 몬스터 중 최악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팔다리도 없이 커다란 석상에 얼굴만 덜렁 박힌 것이 개성은 확실하지만, 에이스 몬스터라 하기엔 부족한 면모가 너무 많기 때문. DDD의 컨셉이 역사의 위인/악마 등을 모티브로 한 만큼 에이스로 할만한 캐릭터가 많음에도 고작 돌멩이가 에이스를 맡았다는 점에서 더욱 비판이 많다. 그래서 그런지 일명 짱돌이라는 별명으로 불리운다. 애니메이션이 종료된 이후에도 공식에서는 의자에 앉은 왕의 비주얼로 새로운 에이스를 출시하면서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를 메인으로 밀어주는 경향이 짙어졌다. 현실에서도 괴치왕 쪽이 사위왕보다 활용도가 더 높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레이지의 에이스 카드로 선정되었는데, 공개된 소환씬이 아무래도 생김새가 얼굴 달린 석상이다 보니 에이스치곤 중압감 하나 없이 허전하다는 평이 지배적. 타조룡이라고 놀림받는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보다도 더욱 없어 보이다 보니 "이게 뭐냐?"라는 반응이 많다. 덧붙여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선 사위왕은 커녕 DD 테마군 내에 소환 연출이 아예 존재하지를 않는다. 참고로 사위왕 본인은 아예 노멀로 수록되어 있다. 주인공 혹은 라이벌의 에이스 몬스터는 대다수가 UR 혹은 SR인 걸 생각하면 굴욕적인 취급이지만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다.
어찌되었든 명목상 에이스 몬스터를 맡았기 때문인지,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는 패왕룡 즈아크에 필적하는 듯한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라는 몬스터로 새롭게 리메이크되었다. 사위왕을 별도로 지정하기 때문에 이 카드를 채용하는 의미도 어느 정도 생겨났다.
최강 듀얼리스트 유우야에서 공개된 '헬 텐티클 휩'이라는 공격명이 존재하긴 하나 듀얼링크스에서 반영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