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09:58:06

Atlas(게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아트딩크의 게임}}}에 대한 내용은 [[네오 아틀라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네오 아틀라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네오 아틀라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아트딩크의 게임: }}}[[네오 아틀라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네오 아틀라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네오 아틀라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아틀라스
ATLAS
파일:Atlas(게임) 로고.jpg
<colbgcolor=#0275d8><colcolor=#edd200> 개발 Grapeshot Games, Instinct Games
유통 Grapeshot Games, Snail Games USA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Xbox One
ESD Steam | Microsoft Store
장르 오픈월드, 서바이벌, 액션 어드벤처, 해적, 판타지,
출시 PC
파일:세계 지도.svg 2018년 12월 22일
XB1
파일:세계 지도.svg2019 10월 8일
엔진 언리얼 엔진 4
버전 v560.3
한국어 지원 미지원[1]
가격 ₩ 31,000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트레일러3. 특징4. 시스템 요구 사항5. 맵6. 선박
6.1. 돛 채색6.2. 보트6.3. 뗏목6.4. 잠수정6.5. 개척자 슬루프6.6. 슬루프6.7. 스쿠너6.8. 브리간틴6.9. 갤리온6.10. 코그6.11. 화물선6.12. 카락6.13. 브로드사이더6.14. 화포선6.15. 크라켄(선박)6.16. 박격포선6.17. 페가수스6.18. 갤리6.19. 거북선6.20. 상선6.21. 저주받은 함선6.22. 유령선
7. 보스
7.1. 히드라7.2. 드레이크7.3. 크라켄7.4. 거대 설인7.5. 아나키온
8. OST9. 조련10. 보물11. 세계관 및 설정12. 등장인물13. DLC14. 평가15. 기타16. 관련 사이트

1. 개요

게임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의 개발사인 Instinct Games, Grapeshot Games에서 개발한 해적대항해시대를 컨셉으로 한 생존형 어드벤쳐 게임이다.

2. 트레일러


3. 특징

파일:Atlas(게임)항해.jpg파일:Atlas(게임)대왕 고래.jpg파일:Atlas(게임)전투.jpg파일:Atlas(게임)드레이크 비행.webp

쉽게 설명하자면 배를 만들어서 항해하고 생존해야 하는 게임으로, 약탈하고 보물을 찾거나, 섬을 점령해서 자신의 소유로 만들 수도 있다.

아크의 개발사가 만들었기 때문인지 엔진은 물론, 게임의 기반까지 아크와 같으며 때문에 UI나 시스템 역시 아크와 상당 부분은 물론 수많은 버그까지 공유하며, 심지어는 그러한 버그 중 맵 선택 칸에 아크의 맵까지 그대로 있을 정도이다. 그 때문에 처음 공개되었을 때는 아크의 확장팩이 아니냐는 소리까지도 나왔다.

그 때문에 흔히 해당 게임도 아크 서바이벌 개발을 주도하던 와일드카드가 만들고 운영하는 것처럼 알려져 있으나, 실은 개발사 목록에서도 보이듯 와일드카드와 아틀라스라는 게임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 물론 Instinct Games 자체가 와일드카드 스튜디오와 함께 스네일 게임즈에 소속되어 있고, 아크 서바이벌 개발에 참여한 개발사이므로 아크와 아예 관계가 없는 것은 아니다.

4. 시스템 요구 사항

<colcolor=#edd200> 시스템 요구 사항
<colbgcolor=#0275d8><rowcolor=#edd200> 구분 최소 사양
운영체제 Windows 7/8.1/10 (64-bit versions)
프로세서 Intel Core i5-2400/AMD FX-8320 or better
메모리 4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TX 770 2GB/AMD Radeon HD 7870 2GB or better
저장 공간 120 GB

5.

파일:Atlas(게임)싱글플레이 지도.jpg
싱글 플레이 맵 지도의 모습 과거 공식 서버 맵 지도이기도 했다. 지도가 전부 공개 안 돼서 검은 부분이 보인다.
아틀라스는 여러 개의 그리드로 이루어진 지도를 가지고 있다. 그리드를 넘어가면 다른 서버로 이동되어, 새로운 맵으로 간다. 맵은 싱글 기준으로, 11 x 11 있다. 가로로 A부터 K까지 있으며 세로로 1부터 11까지 있다. 과거에는 15 x 15로 가로로 A부터 O 세로로 1부터 15까지 있었다.

지역은 프리포트 무법지대 클레임머블 황금기 유적이 있다. 프리포트는 PVP를 할 수 없으며, 배의 HP가 빨린단다. 프리포트에서는 레벨을 8밖에 못 올린다.
파일:Atlas(게임)프리포트.png파일:Atlas(게임)열대 프리포트.jpg파일:Atlas(게임)사막 프리포트.webp파일:Atlas(게임)토르투가2.jpg파일:Atlas(게임)프리포트3.jpg파일:Atlas(게임)온대 프리포트.jpg
아틀라스의 여러 프리포트의 모습이다.
조선소 직원에게 45 섬유, 60 짚, 40 나무로 보트를 75 섬유, 20 가죽, 80 나무로 뗏목을 225 섬유, 75 가죽, 250 나무로 개척자 슬루프를 만들 수 있다. 쿠스메틱 벤더에게는 금화로 스킨을 살 수 있다. 커머너티즈 벤더에게 자원을 살 수 있다. 크루 리쿠르터에게는 선원과 페스파인더 리스펙[2] 을 살 수 있다. 페리맨으로는 다른 프리포트 섬으로 순간이동 할 수 있다. 시드 벤더에게는 금화로 씨앗을 살 수 있다.

프리포트에서는 유일하게 하위 유형 자원을 얻을 수 없고, 기본 자원만 얻을 수 있다.무법지대는 평범하게 PVP를 할 수 있는 곳이다. 생물은 프리포트보다 레벨이 높다.

클레임 플래그 깃발을 꽂아 영토 소유를 할 수 있다. 깃발 관리에는 금화가 필요하다. 일반지역에는 평화 상태와 전쟁상태가 있는데, 평화 상태 때는 섬에 있는 건물에 피해를 줄 수 없다.
파일:Atlas(게임)황금기 유적.jpg
황금기 유적 모습이다. 히드라랑 사이클롭스가 있다.
황금기 유적에서는 파워 스톤 동굴이 있는데 그곳에는 파워 스톤과 젊음의 샘이 있다. 젊음의 샘으로 플레이어의 나이를 20대로 되돌릴 수 있다. 황금기 유적에 있는 드레이크나 히드라를 죽이면 유물의 잔재를 얻을 수 있는데, 유물의 잔재로 나침반에 넣을 파워 스톤 을었을 수 있다. 파워 스톤을 얻으면 새로운 춤을 얻을 수 있다. 파워 스톤 동굴에서는 8개의 파워 스톤중 남은 하나는 유령선을 잡아야 얻을 수 있다. 9개의 힘 스톤을 모두 모으면 크라켄을 잡으러 갈 수 있다. 파워 스톤을 모두 얻을 수 있는 치트는 cheat giveallpowerstones이다. 크라켄의 소굴은 싱글 기준으로 황금기 유적 중앙에 있다. 9개의 힘 스톤을 모두 모으면
크라켄이스폰된다. 지역기후은 열대, 온대, 사막, 적도, 툰드라, 극지방이 있다.

과거에는 532.08 패치로, 포탈이 추가된 적이 있다. 루키 코브, 센트럴 워터스,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남극, 북극 등의 지역이 추가되었었다. 패치로 포탈이 소용돌이 형태로 바뀌었었다. 나중에 삭제되었다.
파일:AtlAs(게임)맵532.08.jpg
이건 과거 532.08버전 포탈 업데이트 이후 아틀라스 지역 확인 지도이다.
파일:Atlas(게임)포탈.jpg
이건 아틀라스 공식 포탈 모습이다.
파일:Atlas(게임)맵.webp
이건 과거 아틀라스 공식 서버 부활 지역 선택할 때 나온 지도이다.

6. 선박

아틀라스에서 선박을 만들려면 조선소가 필요하다. 기본 조선소에서는 일반선박을 만들 수 있다.

특수 선박은 일반 선박처럼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완제품으로 나오는 대신 배 위에 건축하는 것이 한정되며, 중형 이상부터는 도면을 얻어야만 건조할 수 있는 경우다. 일반 선박인 위의 네 선박에 비해 종류도 많고 그 쓰임새도 많아 여기저기 쓰이지만, 건축에 한계가 있어 취향 따라 취사선택이 필요하다.

소형 부두는 섬유 160개, 돌 70개, 짚 280개, 나무 560개로 만들고 소형 조선소는 섬유 240개, 돌 105개, 짚 420개, 나무 840개, 금화 500개로 만들고 대형 조선소는 섬유 1,000개, 돌 500개, 짚 2,000개, 나무 4,000개, 금화 9,999개로 만들고 소형 특수조선소는 나무 2,000개, 돌 250개, 섬유 500개, 짚 1,000개로 만들고 대형 특수조선소는 나무 4,000개, 돌 500, 섬유 1,000개, 짚 2,000개, 금화 1,000개로 만든다.

바다에는 저주받은 함선이나, 유령선 같은 적선 박이 존재한다.

선원이 돛을 잡고 있을 때 타륜을 잡으면 W를 눌러 돛을 필 수 있다. S를 누르면 돛이 접힌다. Shift를 누르고 A를 누르면 왼쪽 D를 누르면 오른쪽으로 돛이 돌아간다.

닻을 내리려면 X를 누르고 올리려면 W를 누르면 된다. L을 누르면 사다리가 없어지고 다시 누르면 나타난다.

R을 누르면 포문이 열린다. U를 누르면 중형대포나 대형 대포 발리스타 선회로 투석기 등 어떤 무기그룹을 쓸지 정할 수 있다. J를 누르면 선택돼 있는 무기의 탄약 종류의 탄약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중형대포가 선택돼 있을 때 중형포탄 사슬탄 가시포탄중에 탄환을고를수있고 발리스타를쓰고있을때 대형 작살 나포 작살 화염 작살 중에 탄환을 고를 수 있다.

선박이 레벨업했을때 무게를 올리면 선박의 최대 중량이 증가한다. 피해를 올리면 데미지가 증가 하러 간다. 저항을 올리면 받는 데미지가 감소하고 프리포트에 정박했을때 피해가 줄어든다. 선원 추가를 올리면 선원 플레이어 조련한 동물 등 탑승할 수 있는 인원을 늘린다. 동물도 인원 1명으로 계산한다. 안정성은 선박의 침몰 속도를 늦추고, 해상에서의 음식 부패와 비타민 고갈 속도를 줄인다. 침대 추가는 추가할 수 있는 침대를 늘리고 선원의 선박 수리 속도를 증가시키고 지급할 금화를 줄인다.

6.1. 돛 채색

아틀라스 배의 돛에는 채색할 수 있는데, 채색용 붓과 염료로 돛에 그림을 그릴 순 있지만, 더 깔끔하게 저장된 사진을 불러오는 방법도 있다. 방법은 이러하다.[3]

이링크에서 AtlasPntConverter. exe를 내려받는다. For people playing ATLAS라고 쓰여 있는 곳 아래에 있는 링크로 내려받아야 한다.

그런 다음 내려받은 파일 압축을 푼다. 그런다음 아틀라스에서 채색용 붓이랑 아무 염료 그리고 채색할 돛을 준비한다 사각 돛이어야 한다. 다음엔 붓으로 돛에 마우스 좌클릭을 한다.

그런 다음 붓에 염료를 갖다 대고 염료로 돛에 양옆 모두 테두리를 그린다. 대형 돛 기준 위의 작은 돛이랑 아래의 큰 돛 모두 테두리를 그린다. 그런 다음 테두리 그린 걸 저장한다. 이름은 마음대로 지으면 된다.

다음엔 AtlasPntConverter. exe를 실행하고 Open 버튼을 눌러 스팀의 아틀라스가 내려진 파일을 찾아, 아틀라스 파일 다음 Shooter Game 다음 Saved 다음 My Paintings 파일을 찾아서, 저장한 돛 테두리 이름이랑 똑같은 이름을 찾아서 Open 버튼을 눌러 테두리를 가져오고 Seve를 눌러 파일을 PNG로 저장하고 포토샵을 연다.

배경 레이어를 투명하게 하여 만든다. 그다음 저장한 테두리 PNG 파일을 찾아서 캔버스에 맞게 이미지를 늘린다. 이제 테두리 안에 원하는 사진을 추가한다.

파일(F)을 눌러서 포함 가져오기를 누른다 그런 다음. 원하는 사진을 테두리 안에 크기 조절해서 넣는다. 그런다음 테두리는 지우개의 배경 지우개 도구를 선택하고 제한:을 인접에서 인접하지 않음으로 바꾸고 브러쉬 크기는 편하게 크게 조절하고 지우면 지워진다. 완료하면 이미지를 사본 저장을 눌러서 PNG로 저장한다. 그런다음AtlasPntConverter. exe를 다시 실행하고, Open을 눌러 저장한 파일을 찾아서 선택한다.
파일이름_SpeedMedium
해상도가 256x256인지 확인한다. 그런다음 Seve를 눌러 스팀 아틀라스 게임 파일을 찾아 다시 My Paintings에 파일을 저장하기 전에 파일이 름을 파일 이름.pnt라고치면 파일 이름_SpeedMedium_SailDouble_C.pnt로바꿔야 한다.

이제 아틀라스에 접속해서 붓으로 돛에 마우스 좌클릭을 하고 이 형식의 채색 불러오기를 선택한다. 그러면 저장된 돛 채색 이름이 보일 거다 그 저장된 채색을 불러오면 된다. 색상에 따른 염료는 필요하다 염료는 요리 냄비나 그릴로 아무 열매나 물을 넣고 만들거나 쿠스메틱 벤더에게서 금화를 주고 살 수 있다.

이방 식대로 하여 완성된 채색된 돛을 단 갤리온의 모습이다. 돛의 디자인은 원피스 해군의모습이다.
파일:Atlas(게임)갤리온 해군(원피스)2.jpg

6.2. 보트

파일:Atlas(게임)보트.jpg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정박된 선박에서 육지로 이동할 수 있는 작은 노 젓는 배입니다. [네이버카페]
아틀라스의 모든 선박 중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선박이다. 소형 부두 조선소 직원 보트/잠수정 격납고에서 만들 수 있다. 만드는데 섬유 240개, 나무 180개, 짚 220개가 든다. 조선소 직원에게서는 섬유 45개, 나무 40개, 짚 60개로 만들 수 있다. 여러 명이라면 속도가 더 빨라진다.

6.3. 뗏목

파일:Atlas(게임)뗏목.jpg
물 위에 떠다니기 위해 만들어진 조잡한 기본 뗏목입니다. 속도는 느리지만 조작법이 다소 쉬운 편입니다 [네이버카페]
뗏목은 타륜이 없고, 돛으로 방향 이동을 해야 한다, 속도는 좀 느리지만 쉽게 만들 수 있다. 소형 부두에서 나무 250개, 섬유 125개, 가죽 60개로 만들 수 있다, 조선소 직원에게서는 나무 80개, 섬유 75개, 가죽 20개로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4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2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6.4. 잠수정

파일:Atlas(게임)잠수정.jpg
크라켄(일반)을 처치하면 만들 수 있다. 보트/잠수정 격납고에서 만들 수 있다. D를 누르면 내려가고 A를 누르면 올라간다. 대형 작살을 발사할 수 있고 미소로 연료를 보충할 수 있다.

6.5. 개척자 슬루프

파일:Atlas(게임)개척자 슬루프.jpg
소형 조선소에서 건조할 수 있는 자고 민첩한 배입니다. 무게가 가볍고 소형 돛 2개 또는 중형 돛 1개를 사용합니다.[네이버카페][7]
10.42버전에 조선소 직원에게 만들 수 있게 추가되었다. 가죽 75개, 나무 250개, 섬유 225개로 만들 수 있다. 일반 슬 루프보다 무게가 2100 낮다. 기본적으로, 5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12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6.6. 슬루프

파일:Atlas(게임)슬루프.jpg
소형 조선소에서 건조할 수 있는 자고 민첩한 배입니다. 무게가 가볍고 소형 돛 2개 또는 중형 돛 1개를 사용합니다. [네이버카페]
소형 조선소에서 용골, 돛, 판자, 천장, 갑판을 포함해서 섬유 1,196개, 가죽 62개, 금속 32개, 짚 1,023개, 나무 1,010개로 만들 수 있다. 용골은 금속 8개, 나무 120개, 섬유 110개, 짚 180개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5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33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특수 선박이 나온 이후에는 잘 안 쓰인다.

6.7. 스쿠너

파일:Atlas(게임)스쿠너.jpg
장거리 자원 수송을 위해 제작된 중소형 크기의 선박입니다. 중형 돛 2개또는 대형 돛 1개와 소형 돛 1개를 장착할수 있습니다. [네이버카페]
소형 조선소에서 용골, 돛, 판자, 천장, 갑판을 포함해서 섬유 12,982개, 가죽 160개, 금속 280개, 짚 11,130개, 나무 13,478개로 만들 수 있다. 용골은 금속 42개, 나무 390개, 섬유 332개, 짚 540개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14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9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예전에는 많이 쓰인 선박이었으나 특수 선박이 생긴 이후론 잘 안 쓰인다.

6.8. 브리간틴

파일:Atlas(게임)브리간틴.jpg
넒은 바다 를 가로질러 여행하고 전투를 위해 건조된 대형 선박입니다. 대형 돛 3개를 배치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카페]
대형 조선소에서 용골, 돛, 판자, 천장, 갑판을 포함해서 섬유 24,994개, 가죽 800개, 금속 720개, 짚 19,578개, 나무 23,528개로 만들 수 있다. 용골은 금속 224개, 나무 1,960개, 섬유 1,512개, 짚 3,024개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16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15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6.9. 갤리온

파일:Atlas(게임)갤리온.jpg
함대의 지휘선으로 건조된 초대형 선박입니다. 대형 돛 6개를 배치할 수 있으며 많은 동물들을 운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네이버카페]
대형 조선소에서 용골, 돛, 판자, 천장, 갑판을 포함해서 섬유 127,854개, 가죽 1,200개, 금속 2,936개, 짚 107,198개, 나무 126,432개로 만들 수 있다. 용골은 금속 680개, 나무 4,200개, 섬유 2,560개, 짚 5,600개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59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30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아틀라스의 모든 선박 중 가장 거대한 선박이다.

6.10. 코그

파일:Atlas(게임)코그.jpg
중형돛이 배치된 소형 선박입니다 [네이버카페]
소형 특수조선소에서, 섬유 400개, 금속4게, 짚 400개, 나무 500개로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8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4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6.11. 화물선

파일:Atlas(게임)화물선.jpg
중형돛이 배치된 소형 화물 운반선입니다 [네이버카페]
소형 특수조선소에서, 섬유 800개, 금속 100개, 짚 800개, 나무 1,000개로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8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10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중량 돛 덕분에 165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쉽게 만들 수 있는 데다가 빠르고 무게가 높아서 많이 쓰이는 선박이다.

6.12. 카락

파일:Atlas(게임)카락.jpg
세 개의 돛이 달린 웅장한 선박입니다. [네이버카페]
대형 특수조선소에서, 섬유 4,400개, 금속 24개, 짚 4,400개, 나무 5,500개로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30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6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6.13. 브로드사이더

파일:Atlas(게임)브로드사이더.jpg
선박의 절반이 포문으로 무장된 중형 선박입니다. [네이버카페]
대형 특수조선소에서, 섬유 5,000개, 금속 42개, 짚 5,000개, 나무 6,250개로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48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9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도면을 얻어야 건조할 수 있다.

6.14. 화포선

파일:Atlas(게임)화포선.jpg
A medium sized ship epuipped with one mortar cannon and sevral rowing modules. [네이버카페][17]
대형 특수조선소에서, 섬유 1개, 금속 18개, 짚 1,200개, 나무 1,500개, 화약 50으로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16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4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도면을 얻어야 건조할 수 있다.

6.15. 크라켄(선박)

파일:Atlas(게임)메제스틱 크라켄.jpg
대형 특수조선소에서, 금화 22,000개, 말린 촉수 50개로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30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8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도면을 얻어야 건조할 수 있다.

6.16. 박격포선

파일:Atlas(게임)박격포선.jpg
함포 선이랑 비슷하지만, 대포가 기본적으로 있고 박격포가 하나 더 있다. 도면을 얻어야 건조할 수 있다.

6.17. 페가수스

파일:Atlas(게임)페가수스.jpg
사육장이 배치된 중형 선박입니다. [네이버카페]
대형 특수조선소에서, 섬유 2,000개, 금속 20개, 짚 2,000개, 나무 2,500개로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30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9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도면을 얻어야 건조할 수 있다.

6.18. 갤리

파일:Atlas(게임)갤리.jpg
충각과 전박으로 배치된 대포, 그리고 노젓기가 가능한 중형 선박입니다. [네이버카페]
대형 특수조선소에서, 코뿔소 뿔 50개, 섬유 2,400개, 금속 18개, 짚 2,400개, 나무 3,000개로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22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90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도면을 얻어야 건조할 수 있다.

6.19. 거북선

파일:Atlas(게임)거북선.jpg
육중한 중갑 덮개로 무장한 중형 선박입니다. [네이버카페]
대형 특수조선소에서, 별갑 5,000개, 섬유 4,400개, 금속 72개, 짚 4,400개, 나무 5,500개로 만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 30명을 태울 수 있다. 기본적으로, 4500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 도면을 얻어야 건조할 수 있다.

6.20. 상선

파일:Atlas(게임)상선.jpg
상선에는 쿠스메킥 벤더, 커머너티즈 벤더가있어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상선은 파괴되지 않는다.

6.21. 저주받은 함선

파일:Atlas(게임)저주받은 선박.jpg
저주받은 함선은 바다의 적 NPC 선박이다. 저주받은 함선에 일정 거리 가까워지면 공격을 해온다. 저주받은 함선은 스쿠너, 브리간틴, 갤리온이 있다. 50레벨 이상의 갤리온급 저주받은 함선을 처치하면, 저주받은 자 퀘스트 기술을 얻을 수 있다. 저주받은 자 퀘스트 기술을 얻으면 방어구의 내구도가 100% 오른다. 처치 시 상자하고, 선원을 떨어트린다. 상자에는 금화와 다른 아이템이 들어있다.

6.22. 유령선

파일:Atlas(게임)유령선.webp
유령선은 전체 지도의 특정 경로로 이동하는 밤 시간 20:24에서 05:15 사이에만 볼 수 있는 보스형 선박이다. 낮에는 연기의 흔적이 보인다. 처리하면 악령의 메아리 퀘스트 기술을 얻을 수 있다. 악령의 메아리 퀘스트 기술을 얻으면 보물로 획득하는 금화령이 증가하고 저주받은 럼을 만들 수 있다.

게임 초창기에는 이 유령선을 잡아야 최종 보스로 가는 파워스톤을 얻을 수 있었지만, 몇 달 후 패치부터는 바뀌었다
유령선은 오직 퀘스트 클리어를 위함이고, 파워 스톤은 같은 모양의 섬이 하나 더 추가되어 총 9개로 진행할 수 있다.

7. 보스

아틀라스의 보스는 필드 보스와 레이드 보스가 있다. 필드 보스는 필드에 돌아다니고 레이드 보스는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나타난다. 유령선도 필드 보스 중 하나이다.

7.1. 히드라

파일:Atlas(게임)히드라3.jpg
히드라는 아틀라스의 필드 보스 중 하나이며 드레이크와 함께 파워 스톤 섬의 두 보스 중 하나이다. 히드라는 황금기 유적에만 스폰되는데, 처치하면 유물의 잔재와, 미소스을준다 히드라를 처치하려면 머리를 공격해야 한다.[21] 처치하려면 중형 이상 선박 뒤에다가 발리스타를 설치하고 대형 작살을 발사해서 잡으면 된다. 히드라는 5개의 머리를 가지고 있는데 모든 머리를 처치하면 히드라를 잡을 수 있다. 드레이크가 있는 파워 스톤 섬에서는 히드라가 생성되지 않는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7.2. 드레이크

파일:Atlas(게임)드레이크.webp
드레이크는 아틀라스의 필드 보스 중 하나이며 히드라랑 함께 파워 스톤 섬의 두 보스 중 하나이다. 드레이크는 아틀라스의 비행 생물 중 가장 크다. 드레이크는 황금기 유적에만 스폰되는데, 처치하면 유물의 잔재와, 미소스를 준다 드레이크는 히드라보다 처치하기 까다롭다. 쉽게 처치하려면 가둬놓고 퍼클건으로 쏘는 게 좋다. 비가 올 때 공격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불은 화상 피해를 훨씬 덜 끼치고 지상 화재는 훨씬 빨리 꺼진다. 잘 배치된 퍼클건은 드레이크를 죽이는 것을 훨씬 더 쉽게 만든다. 드레이크는 드레이크 토큰으로 길들일 수 있는데 드레이크 토큰은 쿠스메틱 벤더에게서 50,000 금화로 살 수 있다. 드레이크는 3시간 동안만 길들일 수 있다.

7.3. 크라켄

파일:Atlas(게임)크라켄.jpg
크라켄은 9개의 파워 스톤을 모으고 크라켄의 소굴로 들어가면 잡을 수 있다. 싱글 플레이 기준으로 F4 지역에 크라켄이 있다. 참고로 플레이하는 서버에 따라 크라켄 보스 지역이 다른 장소에 위치하거나 완전히 비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물 소용돌이를 찾으면 크라켄이 나타난다. 크라켄은 저주받은 함선을 생성하므로 조심해야 한다. 크라켄은 바람을 일으키는 데 배를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이레이든 동안 항해가 훨씬 더 어렵다. 크라켄은 또한 그의 공격 대상에게 전기공격을 하는데 조심해야 한다. 크라켄을 잡는 데 1시간이 주어진다. 크라켄은 아크 서바이벌 록웰처처럼 큰다리가 있는데 다리를 모두 처리해야 본체를 공격할 수 있다. 본체 위에 동그란 구체를 공격해야 한다. 충격 공격이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판금 갑옷을 착용하지 말고. 모피나 가죽옷을 입는 게 좋다. 죽지 않기 위해 체력은 최대 체력인 300까지 맞추는 게 좋다. 치료를 위해 상급자가 치유를 찍은 구급상자를 가져가는 게 좋다. 포탄은 800개 이상 가져가는 게 좋다. 크라켄(일반)을 잡으면 심해의 대공포 퀘스트 기술을 얻을 수 있다. 심해의 대공포 퀘스트 기술을 얻으면 잠수정을 만들 수 있다. 크라켄(어려움)을 잡으면 노련한 개척자 퀘스트 기술을 얻을 수 있다가 노련한 개척자 퀘스트 기술을 얻으면 위업 재사용 시간이 줄어든다.

7.4. 거대 설인

파일:Atlas(게임)거대 설인.webp
거대 설인은 아이스 던전에서 신들의 항해 퀘스트를 완료하면 잡을 수 있다. [22]레이드에서 거대 설인은 방어막을 가지고 있는데, 이 상태에선 피해를 보지 않는다. 미니언을 처리하면 방어막을 공격할 수 있게 되며 방어막을 부수면 거대 설인에게 데미지를 줄 수 있고 잠깐 미니언이 생성되지 않는다. 새로운 라운드에 진입할 때마다 1개의 추가 미니언이 생성된다. 방어막을 비활성화하거나 미니언 생성 쿨다운을 시작하려면 더 많은 미니언을 죽여야 한다. 마지막 라운드에 도달하고 방어막이 마지막으로 파괴되면 혼란이 발생하고 보스가 죽을 때까지 미니언이 계속 생성된다. 죽여야 할 미니언과 방어막의 진행 상황은 떠 있는 HUD를 통해 표시된다. 거대 설인을 처치하면 수집 일시 증가 퀘스트 기술을 얻을 수 있다. 수집 일시 증가 퀘스트 기술을 얻으면 일시적으로 자원을 채집할 때의 수집량이 2배가 되는 위업을 얻을 수 있다.

7.5. 아나키온

파일:Atlas(게임)아나키온.webp
아나키온은 DLC 블랙우드의 보스다. 아나키온을 잡으려면 파워 스톤 9개를 모아야 한다. 아나키온은 아틀라스에서 가장 큰 육지 생물이다. 보스 레이드에 들어가면 아나키온이 쉬고 있으며 황금색으로 빛나고 있으며, 처음 들어갔을 때 경기장 곳곳에 알이 흩어져 있다. 알을 파괴하거나 아나키온온을 공격하려고 하면 깨어나 빛나던 것이 멈추고 공격을 시작한다. 황금색일 때는 공격하지 않지만 싸움에 도움이 되는 알을 더 많이 낳으며, 이 단계에서는 피해에 완전히 면역이다.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공격 단계로 돌아간다. 알을 처리하지 않으면 코브라가 생성되니 빨리 처리하여 다 자란 코브라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독 분사 공격은 범위가 넓고 큰 피해를 주므로 조심해야 한다. 아나키온은 머리에 맞는 데미지만 입으며 몸통에는 데미지가 안 들어간다.

8. OST

망한 게임이지만 음악은 좋다고 평할 정도로 음악 자체는 괜찮은 편 아크 서바이벌 배경 음악에 꿀리지 않을 만큼 좋다.
파일:ATLAS_logo.png
ATLAS
사운드트랙
유튜브 링크
1 Main Theme 아틀라스의 메인 음악이다.
2 Loading Screen 로딩 음악이다.
3 Character Creation & Respawn Screen 캐릭터 생성 / 리스폰 창의 음악이다.
4 Freeport Theme 프리포트 음악이다.
5 Tropics (Land) Day 열대 지역 낮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3 Tropics (Land) Night 열대 지역 밤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4 Temperate (Land) Day 온대 지역 낮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5 Temperate (Land) Night 온대 지역 밤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6 Desert (Land) Day 사막 지역 낮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7 Desert (Land) Night 사막 지역 밤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8 Tundra (Land) Day 툰드라 지역 낮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9 Tundra (Land) Night 툰드라 지역 밤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10 Tropics (Sea) Day 열대 지역 바다의 낮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11 Tropics (Sea) Night 열대 지역 바다의 밤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12 Temperate (Sea) Day 온대 지역 바다의 낮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13 Temperate (Sea) Night 온대 지역 바다의 밤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14 Desert (Sea) Day 사막 지역 바다의 낮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15 Desert (Sea) Night 사막 지역 바다의 밤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16 Tundra (Sea) Day 툰드라 지역 바다의 낮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Xbox 아틀라스 출시 트레일러에서도 사용되었다.
17 Tundra (Sea) Night 툰드라 지역 바다의 밤 시간대 전투 음악이다.
18 Kraken 크라켄 보스전 테마이다.

9. 조련

평화 테이밍의 경우 아크와 같으며 그 외는 체력 20% 이하로 만든 후 볼라(올가미)를 던져 묶어 쓰러뜨린 후 평화테이밍 처럼 먹이를 주면 된다. 볼라(올가미)는 일정 시간 후 풀리기 때문에 테이밍 하는데 많이 만들어 가야 한다.
드레이크, 바위의 정령, 불의 정령, 사이클롭스 같은 경우는 프리포트에 팔고 있는 아이템이 필요하다.

10. 보물

해적 세계관의 게임기다 보니 종종 해안가에서 볼 수 있는 유리병을 통해 보물 지도를 획득할 수 있다. 유리병을 획득하게 되면 노멀부터 에픽 등 다양한 등급이 나뉘어 있는데 등급마다 나오는 아이템의 능력이 다르며, 금화 또한 등급이 높을수록 많이 얻을 수 있다. 물론 이 게임은 정확한 금화 수량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기에 높은 등급에서도 간혹 작은 금화가 나오는 경우도 존재한다.

보물 지도는 보물이 위치한 그리드를 나타내며, 획득할 수 있는 금화의 숫자를 알 수 있다. 하지만 한 그리드 안에 2~4개의 섬이 존재하며 섬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아닌 지형을 보고 판단, 유추하는 것이 전부이다. 보물이 묻힌 장소로 가면 이를 수호하고 있는 저주받은 망자들이 등장하며 중갑을 입고 있기에 약간의 컨트롤을 요구한다. 정확한 위치는 보물 지도를 가지고 있는 당사자가 알 수 있으며, 보물이 묻힌 위치에는 옅은 색깔로 은은한 빛이 뿌려진다. 보물 지도 파밍을 하는데 수호자가 어렵다면 곰이나 호랑이를 테이밍하거나 선원과 선회포랑 선회포 거치대랑 포도탄이랑 목재 토대를 챙겨가서 목재 토대 2개를 위로 배치하고 토대 위에 선회포 거치대랑 선회포 그리고 선원을 올리고 저주받은 망자의 공격을 피하면서 선원이 선회포로 저주받은 망자를 처리하게 기다리면 쉽게 잡을 수 있지만 일부 지형의 경우 동물과 함께 가기가 어려운 장소나 PVP에서는 보물 근처에 퍼클건이 있는 경우도 존재하니 이런 경우는 포기하는 게 좋다.

보물 지도마다 제한 시간이 존재하며 해당 시간이 지나면 보물 지도는 사라지게 된다. 보물 지도에서 보물을 획득하게 된다면 도면, 금화, 아이템을 얻을 수 있게 되는데 보통 도면 중 캐릭터가 장비할 수 있는 아이템의 도면이 등장한다. 높은 등급일 경우 동물을 필수적으로 데려가는 것이 중요한데, 등급이 높을수록 적들의 수도 강해지고 방해하는 야생동물이나 적대적 몬스터가 나오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보물을 얻었다고 해도 많은 금화량으로 인해 모든 금화를 들고 갈 수 없는 경우도 존재한다.
필수로 삽을 챙겨야 한다. 보물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보물이 묻힌 장소에 삽질하여 캘 수 있으며 이는 지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들고 있어야 한다.
품질 16 이상의 보물을 획득하면 보물 사냥꾼 퀘스트 기술 얻을 수 있다. 보물 사냥꾼 퀘스트 기술 얻으면 근접 도구류의 내구도가 100% 오른다.

11. 세계관 및 설정

오래 전 아틀라스 세계관에는 어마어마한 마법 기술력을 가진 시대, 일명 황금기(Golden Age)가 존재했었다. 황금기의 번영과 마법의 원천은 우주 너머의 강력한 존재들이 만든 여신의 심장이라는 것이었고, 이것의 부산물을 이용해 황금기의 사람들은 시대명 그대로 번성하며 살고 있었으나 제보스(Xevos)라는 인물이 마법으로 인간 문명을 통합하기 위한 전쟁 때문에 세계의 땅이 모두 산산조각 나 가라앉고, 마법도 없어져 현재의 아틀라스 세계가 된 것.

12. 등장인물

파일:Atlas(게임)패스파인더.jpg
아틀라스의 캐릭터 생성 화면이다. 패스파인더의 여성모델이다.
  • 패스파인더 (Pathfinder)
    본작의 주인공으로, 플레이어 캐릭터이다. 설정상 여신의 심장을 지키던 수호자의 후손이라고 한다.
  • 애드윈 (Edwin)
    패스파인더의 조상이다.
  • 로버트 (Robert)
    로버트 럼을만든 사람이다.
  • 나침반 해골 (Compass Skull) (가칭)
파일:Atlas(게임)나침반 해골.png
아틀라스의 튜토리얼을 해주는 인물이다.

13. DLC

파일:Atlas(게임)블랙우드.jpg
크게 아틀라스는 2가지의 구성으로 맵이 존재한다. 오션이라는 큰 바다맵과 블랙우드라는 2x2 정도의 무료 DLC 맵이다.

블랙우드 같은 경우는 서버를 대여할 수 있는 해외 사이트가 두 군데 존재하는데, 인식 상 1개 맵으로 치기 때문에
월 저렴한 가격에 극히 일부분과 최근 개발된 콘텐츠를 제외한 대부분의 엔드 콘텐츠까지 즐길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서버 구축이 어려운 대신 개발사 급에 준하는 다양한 설정이 있기 때문에 설정값을 어느 정도 이해한
서버 관리자라면 모드 사용과 더불어 기존 순정에 비해 전혀 다른 느낌으로 구축할 수 있다.

(대부분의 설정값은 아크와 동일하며, 아틀라스 고유 설정값은 직접 검색을 하지 않고서는 기본사항에 없다)

14.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스코어 유저 평점
파일:Windows 로고.svg 미정 1.0/10
플랫폼 스코어 유저 평점
파일:Xbox One 로고.svg 미정 5.2/10
기준일:
2025-2-18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834910/#app_reviews_hash| 복합적 (4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834910/#app_reviews_hash| 복합적 (5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스팀 얼리엑세스 오픈 당일 부터 2일 가량 서버 불안정을 이유로 접속할 수가 없었다.
한때 트위치 시청자 수 130만을 넘기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으나[23] 서버의 심각한 렉과 끊기는 현상은 오픈 후 몇달 동안 계속되었다. 그 이유는 아크의 맵 하나가 아틀라스의 한 개 지역인데, 초창기에는 그 지역에 모든 유저의 캐릭터를 생성되게 하였기 때문이다. 한 지역에 수백의 유저가 있다보니 렉이 심해졌고, 대부분의 유저가 견디지 못하고 이 시기에 떠났다.

15. 기타

  • 이 게임의 이름 아틀라스는 지도책을 뜻한다.
  • 아크 시스템을 해적 컨셉으로 살짝 바꾼 것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상 컨텐츠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도 아니다.
    결국 섬을 소유하고 있는 유저와 약탈 혹은 파괴하려는 유저 사이의 지상전이 주를 이루게 된다.
    초창기에는 해상전도 많았으나 이제는 해적이 아니라 배 타는 산적 컨셉이라고 불릴 정도로 지상전의 비율이 압도적이다.
  • 같은 제작사 게임인 아크 서바이벌과 유사한 점이 상당하다 못해 아예 똑같으며, 사실상 아크 리스킨이 맞았다.
    • 물론 게임을 개발할 때 비용 절감 면에서 기존의 소스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아틀라스의 경우에는 이 정도가 너무나도 심해서 문제인 것. 비슷한 게임으로는 픽스아크가 존재하나, 픽스아크의 경우 이름에서 보듯 픽셀풍 아크 서바이벌을 컨셉으로 잡았기에 UI나 게임 방식이 비슷한 것이 납득이 갈 수 있다.
    • 다만 아틀라스의 경우 아크 시리즈가 아닌 아예 전혀 다른 세계관의 다른 주제와 컨셉의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그냥 아크 복붙 수준이라 배 타는 아크라고 욕을 많이 먹었다. 아크에서 그대로 들고 온 수준의 버그 양은 덤. 현재는 UI 부분에서는 그나마 아크와 차별화가 되기는 했으나 몇몇 몬스터들이 아크 서바이벌의 생물들을 복붙한 것은 여전하고, 몇몇 아이템들은 아크의 공물이나 유물 아이템 아이콘을 그대로 사용하는 중이다.
  • 아크 서바이벌과 비슷하게 생존 지침서라고. 아크 서비이벌의 생존 설명서 비슷한게 있다. 아크 서바이벌과 비슷하게 생존에도움이되는 정보가있으며 아크보다 얻을수있는 정보가 많아 유용하니 아틀라스를 처음시작하면 읽어보는걸 추천한다.
  • 아크 시스템을 그대로 가지고 왔기 때문에 현재도 버그가 많으며, 운영 및 관리개발하는 '포도샷 게임즈'의 실력과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 2020년 여름, 기존 '와일드카드'에서 참여한 아틀라스 개발 및 운영팀이 전부 아크2 프로젝트로 넘어간 시점부터 한동안 정체기였다. '포도샷 게임즈'의 공지로 인해 앞으로 아틀라스는 PVP에 더 집중하겠다 선언했으며, 기본 아크 시스템에서 가지고 온 보스 시스템도 실패를 인정했다.
      당시만 하더라도 와일드카드의 개발팀은 4단계의 로드맵를 통해 기술 전면 수정, 지상전보다 해상 컨텐츠, 여러 편의시설 등 다양하게 개발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아크2로 인력이 빠지고 난 다음에는 그냥 '포도샷 게임즈'의 자체 개발로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었다.

    • 2021년, 2022년 모듈쉽 선박과 마켓 시스템을 시작으로 점차 '포도샷 게임즈'의 아틀라스가 되어가고는 있다.
    • PVP 에서의 목적성을 부여하기 위해 피라미드 건축 시스템과 산업혁명 컨텐츠(2022년)를 업데이트 했지만, 본래 해적의 컨셉을 가지고 개발되던 게임이 해상 컨텐츠는 추가되지 않고 육지 컨텐츠만 업데이트되어 해외의 많은 유저들이 떠나고 있다.
      거기다가 피라미드와 산업혁명 컨텐츠는 필요 자원의 이름만 다를 뿐 같은 방식의 컨텐츠이다.
      (특정 지역의 자원을 현실 시간으로 계속 축적하여 수집하고 그 자원을 바탕으로 여러 건축물을 만드는 것)
    • 또한 몇 개월 마다 전체 지도가 초기화되어 유저수는 공식서버 2개 합쳐도 1천명이 못된다.
      지금은 얼리 액세스 기간이기에 어느 정도 이해는 가나, 만약 정식 런칭을 한 뒤에도 초기화가 몇 개월마다 진행된다면 유저가 남아 있을 거라고 장담할 수 없다.
    • '포도샷 게임즈' 에서는 이러한 초기화와 관련된 공지를 했다.
      정식 런칭후에도 맵 초기화는 주기적으로 있을 예정이며, 캐릭터의 업적과 회사와 관련된 각종 버프 및 통계값은 그대로 남겨두고 레벨만 초기화시켜 그간 초기화 때마다 새로 업적을 완료해야 하거나 다른 사항으로 여러번 반복했던 부분을
      업데이트 하겠다는 발표가 있었다.(다만 여전히 확정은 아니다)
  • 영어권을 제외하고 스팀에서 공식 지원하는 언어들은 서유럽권 언어가 많다.
    한국어는 미지원이지만 아크와 마찬가지로 언어번역을 할 수 있게 언어파일은 간간히 업데이트한다.
    가장 최근에는 2022년 6월에 언어파일이 업데이트 되었다.
  • 앞으로 어떠한 대규모 업데이트를 하든지 더 이상의 흥행은 어려워 보인다.
    • 아크와 비교해서, (아직 정식 발매 이전이지만) 한국어가 지원되지 않는다.
      유저 번역 파일이 있지만, 새로운 자원과 건축물이 업데이트되는데 반해, 언어파일 업데이트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 아크는 한국어로 된 서버 매니저를 통해 서버 구축하는데 큰 불편은 없으나,
      아틀라스는 하나부터 열까지 직접 다 설정해야 하며, 아틀라스를 안 해본 사람은 아예 서버 구축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서버 구축에 성공해도 그 안의 컨텐츠는 다 수동으로 명령줄을 넣거나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24]
    • 그 결과 대다수는 포기하고 공식 서버에서 게임을 진행할 수밖에 없게 되고, 비공식 서버를 구축하는데 성공한 서버관리자는 어렵게 구축한 만큼 정보를 절대 공유하지 않는다. 초창기를 제외하면 한국 비공식 서버는 더 이상 없다고 생각하면 된다.

  • 2022년 겨울쯤 정식 런칭을 위해 마지막 컨텐츠 업데이트를 기다리고 있다.
    현재는 마켓을 이용해 다른 지역 유저들과 단순 자원 거래를 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AI 무역선을 중심으로 이 무역선을 보호하거나 파괴하도록 해 궁극적으로 시장 경제를 기반으로 한 PVP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포도샷 게임즈'에서 이러한 계획을 가지고 대규모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기존 '와일드카드' 지원팀에서 운영했던 시기 대비 매번 각종 버그나 오류가 더 심해졌다.
  • 공룡 컨셉과, 더 넓게 보면 각종 판타지 크리쳐괴수 컨셉을 나름대로 잘 살려서 선방해서 유저들도 나름 많은 아크에 비해 배 타는 아크 수준이었던 아틀라스는 그렇게 성공하지 못한 편이다.[25] 때문에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매우 적다.
  • 아틀라스의 정보를 알고 싶으면 아크 유튜버 지덥의 영상을보는걸 추천한다.
  • 현재 560.3 패치를 마지막으로, 업데이트가 끊겼다. 공식 서버도 현재 닫힌 상태이다. 멀티플레이를 하고 싶으면 비공식 서버를 해야 한다.
  • ARK: Survival Ascended용 데브킷 내에서는 Atlas 에셋을 전부 임포트&사용 허용한다고 ARK Dev Kit Docs에서 공식적으로 나왔다. 사실상 성공하지 못한 게임이라는 걸 반쯤 인정한 셈.
  • 아틀라스 공식 서버가 닫혔기 때문에 아틀라스를 한다면, 비공식 공식 지향 서버인 PVP의 Almost Official이나 PVE의 ATLAS Official 11x11 by G-Portal.com을 플레이하는 걸 추천한다.

16. 관련 사이트

  • 아틀라스 게임피디아
    아틀라스에 관한 정보가 담겨있는 대표적인 사이트다. 나무위키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는 여기서 얻도록 하자.
  • ATLAS - 발견 및 자원 지도
    아틀라스의 지도에서 어떤 자원이 있는지와 어떤 생물이 있는지 파워 스톤 및 젊음의 샘이 어디 있는지 볼 수 있다.

[1] 비공식 한글 패치가 존재한다. 아틀라스 네이버 카페에서 다운받을수있다.[2] 기술 초기화 아이템이다.[3] 이 영상에서 돛 채색하는 법을 정확히 알려준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 비공식 패치 기준 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7] 일반 슬루프하고 설명이똑같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17] 한글 패치가 안 되어있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 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네이버카페] Mishma 한글화(개인용) V0.9.3비공식 패치 기준번역이다.[21] 목을 공격해도 데미지를 입지만 다 는 양이 적다.[22] 신들의 항해 퀘스트는 크라켄(어려움)을 잡으면 클리어할 수 있다.[23] 당시 롤드컵 시청자 수가 250만 정도였던 걸 감안하면 적은 수치가 아니다.[24] 기후에 맞는 섬과 각종 자원들, 퀘스트 성격의 특정 몬스터 처치 등을 지도로 만들어야 하는데, 컨텐츠를 모르면 지도를 만들 수가 없다. 서버 구축자가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25] 당장 게임피디아에 적혀진 내용 디테일만 봐도 차이가 나는 수준이다. 아크 서바이벌은 뇌피셜이 존재하더라도 정보량 자체는 방대하지만 아틀라스와 픽스아크는 비교했을 때 매우 빈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