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fff,#ddd> | [[Apple Silicon| Silicon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333><colcolor=#ddd>A 시리즈 (iPhone, iPad) | A4 · A5 · A5X · A6 · A6X · A7 · A8 · A8X · A9 · A9X · A10 · A10X Fusion · A11 Bionic · A12 · A12X · A12Z Bionic · A13 Bionic · A14 Bionic · A15 Bionic · A16 Bionic · A17 Pro · A18 · A18 Pro | |
M 시리즈 (Mac, iPad, Vision) | M1 · M1 Pro · M1 Max · M1 Ultra M2 · M2 Pro · M2 Max · M2 Ultra M3 · M3 Pro · M3 Max M4 · M4 Pro · M4 Max | ||
S 시리즈 (Watch, HomePod) | S1 · S1P · S2 · S3 · S4 · S5 · S6 · S7 · S8 · S9 · S10 | ||
W 시리즈 (AirPods, Beats, Watch) | W1 · W2 · W3 | ||
H 시리즈 (AirPods, Beats) | H1 · H2 | ||
T 시리즈 (Intel Mac 2016-2020) | T1 · T2 | ||
R 시리즈 (Vision) | R1 | ||
U 시리즈 (UWB) | U1 · 2세대 초광대역 칩 | ||
C 시리즈 (Cellular) | C1 | ||
기타 | 339S0196 |
1. 개요
Apple의 셀룰러 기기를 위한 통신 모뎀 솔루션 라인업이다.2. 목록
2.1. C1
| |
<rowcolor=white> 패키지 샷 | 일러스트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0><tablebordercolor=#333,#ddd><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333><colcolor=#fff><width=10%> 파트넘버 || ||
지원 네트워크 | 5G NR 3GPP Rel.15 - (↓ ? Gbps / ↑ ? Gbps) & ?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
4G LTE-FDD/TDD Cat.?? (↓ ? Gbps / ↑ ? Gbps) & ?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및 VoLTE | |
3G DC-HSPA+ & HSPA+ & HSDPA & HSUPA & UMTS 및 3G TD-SCDMA | |
2G GSM & EDGE 및 CDMA | |
위성 통신 시스템 | |
위성항법 | GPS & A-GPS, GLONASS, Galileo, QZSS, Beidou, IRNSS |
생산 공정 | TSMC N4 다이 사이즈: ? mm² / 트랜지스터 개수: ? |
탑재 기기 | iPhone 16e |
Apple이 Intel의 통신 모뎀 솔루션 사업부를 인수한 이후 처음으로 개발한 자체 모뎀으로, 코드네임은 센타우리(Centauri)이다.
네트워크는 5G Sub-6GHz를 지원한다. mmWave는 지원하지 않는다.
위성항법은 GPS & A-GPS, GLONASS, Galileo, QZSS, Beidou, IRNSS를 지원한다. 더하여 위성 통신 시스템을 지원한다.
Apple의 시스템과 긴밀하게 통합되어 여러 부가 기능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iPhone이 혼잡한 셀룰러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 A18 칩이 가장 우선적으로 처리되어야 할 트래픽을 지정하여 모뎀에 신호를 보내고 그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보다 먼저 처리한다.
베이스밴드 모뎀과 트랜시버 세트로 나뉘어 있으며 두 요소가 PCIe를 통해 연결된 구조이다. 별도의 메모리와 PMIC가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즉, C1은 하나의 칩이 아니라 모뎀 등 여러 칩으로 이루어진 셀룰러 통신 솔루션 전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Apple R1 칩처럼 별도로 Darwin 기반의 RTOS를 구동한다. RTOS는 cL4 커널을 사용한다.
베이스밴드 모뎀은 TSMC N4 공정이, 트랜시버는 TSMC N7 공정이 적용되었다. 다이 사이즈는 ? mm²이며 트랜지스터 개수는 ? 개이다.
출시하기 전까지 총 55개국 180개의 통신사들과 테스트를 마쳤다고 한다.
차세대 저가형 iPad에도 탑재될 예정이며 2026년 2세대 제품 양산을 목표로 두고 있다고 한다. 모뎀과 별개로 Wi-Fi 칩까지 자체 개발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