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11:27:26

Alien Arcadium/챌린지/스피드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Alien Arcadium/챌린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하이픽셀/Zombies/맵/챌린지
,
,
,
,
,

[[하이픽셀|
파일:Hypixel_logo.png
]] Zombies
[[하이픽셀/Zombies/무기|
파일:좀비즈 칼......png
]]
[[하이픽셀/Zombies/머신|
파일:좀비즈 빠른 발사.png
]]
[[하이픽셀/Zombies/파워업|
파일:SSM 패시브_스켈(좀비).png
]]
[[하이픽셀/Zombies/TMI|
파일:좀비즈 TMI.png
]]
무기 머신 파워업 TMI
{{{#!wiki style="margin: -16px -11px" [[하이픽셀/Zombies/팁|
파일:좀비즈 가이드 북.png
]]
[[하이픽셀/Zombies/문제점 및 버그|
파일:좀비즈 문제점.png
]]
(인플레이, 외부 프로그램) 문제점 및 버그 }}}
[[Dead End(하이픽셀/Zombies)|
파일:DE 아이콘.png
]]
[[Bad Blood(하이픽셀/Zombies)|
파일:BB 아이콘.png
]]
[[Alien Arcadium|
파일:AA 아이콘..png
]]
[[Prison(하이픽셀/Zombies)|
파일:Prison 아이콘.png
]]
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Prison
챌린지(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Prison)
스피드런(Dead End, Bad Blood, Alien Arcadium, Prison)
{{{#!folding [ 데이터베이스(펼치기/접기) ]
{{{#!folding [ 아카이브(펼치기/접기) ]

1. 개요2. 쿼드
2.1. Fast Game2.2. Old Ledge Strat SpeedRun(숙련자용)2.3. New Ledge Strat(전문가용)2.4. R18 Ferris Strat
3. 트리오(1:15 strat)



1. 개요

하이픽셀아케이드 게임 중 하나인 Zombies의 맵 중 Alien Arcadium챌린지 중 스피드런(Speedrun)에 대한 공략을 서술한 문서.

2. 쿼드

2.1. Fast Game

★ 개요
- 팀원들의 실력이 충분하다면 1h 20m대도 가능한 전략이다.


★ 읽기 전에
1. R75를 cc에서 안정적으로 넘길 정도의 DPS는 필요하다.
2. 창문 위치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
▷ p1 window: 관람차와 롤러코스터 사이
▷ p2 window: 롤러코스터와 소총 사는 곳 사이
▷ p3 window: 소총사는 곳과 Target Practice 사이
▷ p4 window: Target Practice 옆, 산탄총 사는 곳과 마주보는 곳
▷ Ks[1] window: 빨간색 지붕이 있는 곳

3. 초반부 역할 분담을 할 필요가 있다.
▷ p1: 라운드 9까지는 p1 window를 사용하며, 라운드 10부터 롤러코스터를 열기 전까지는 mid[2]를 한다. 라운드 중간중간 남는 시간에는 p3 window를 킬 스틸한다.
▷ p2: 라운드 9까지는 p2 window를, 라운드 10부터 롤러코스터를 열기 전까지는 p1 window와 p2 window를 사용한다.
▷ p3: 라운드 9까지는 p3 window와 p4 window를, 라운드 10부터 롤러코스터를 열기 전까지는 p3 window와 p4 window를 사용한다.
▷ p4: 라운드 1~2에는 p4 window를 킬 스틸 해준다. 라운드 9까지는 ks window를, 라운드 10부터 롤러코스터를 열기 전까지는 ks window를 사용하고, mid를 지원한다.[3]

4. Insta Kill은 마지막 웨이브 직전 웨이브에 먹으면 가장 좋다.
5. Double Gold를 얻었다면 과감하게 3rd를 사용해도 된다.
6. 한 명은 퍼크 세팅을 QF FB EH로 해도 된다. 일반 Ledge Strat을 사용할 거면 두 명이 QF FB EH를 사용하면 된다.
7. 블롭을 키우는 라운드가 일부 줄어들었다. 블롭을 키우는 라운드는 라운드 26, 34, 39, 43, 47, 52이다.[4]
8. CC sla를 사용하는 라운드는 라운드 글자 색을 연두색으로 하였다.


★ 공략
• 라운드 1~9
- 자신의 창문을 죽인 후 남는 시간에 p3 window를 스틸한다. 금 갑옷, 산탄총을 사며 소총은 사지 않는다.

☆ 첫 번째 지름신 강림은 무조건 스킵하며, 라운드 5라면 재시작을 추천한다.


• 라운드 10~13
- 위에서 상술한 포지션(p1~p4)을 사용한다.


• 라운드 14~15
- 위 라운드와 비슷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다. 라운드 14에서는 물량이 굉장히 많으므로, p4가 p2와 p3를 도와야 한다. 라운드 15에서는 자이언트가 나오므로, 자이언트가 나올 때 2명은 Target Practice로, 2명은 p1 window로 가면 된다.

☆ 라운드 15 지름신 강림은 무조건 스킵한다.


• 라운드 16~17
- 라운드 16에는 p4가 보초병을 잡아주면 된다. 라운드 17 마지막 웨이브 시작 직후, 범퍼카 -> 관람차 -> 롤러 코스터 순으로 열고 세팅을 하며 라운드 18로 넘어간다.


• 라운드 18
- 블롭을 최대한 빠르게 죽인다. 즉시 처치가 나온다면 마지막 웨이브 직전에 먹으며, 가스트를 최우선으로 죽인다.


라운드 19~20(cc sla)
- CC SLA를 사용한다. CC-Front라는 역할로, DPS가 가장 높은 한 명은 CC 왼쪽 창문 바로 밑에 있다가 HP가 떨어지거나 오래된 자가 오면 CC로 복귀한다. 다른 플레이어들은 정확한 CC에 있으면 된다.

☆ 마지막 웨이브가 시작되면 나와서 최대한 빠르게 처리한다. Alt를 벽샷하는 것이 가능한 사람들은 모두 벽샷한다.


• 라운드 21~24
- 다음 2가지를 잘 따른다.

1. 라운드 21, 24 : 가스트를 우선적으로 처리한다.
2. 라운드 23 : 라운드 18처럼, 블롭을 빠르게 쓰러뜨린다.


• 라운드 25
- 보스 라운드로, 보스를 최대한 빠르게 죽이는 것이 중요하다.


• 라운드 26
- CC에서 버틴다.[5] 블롭들이 오면 권총으로 밀어서 공격을 못하게 만들어야 한다. 40초 Grow를 한다.


라운드 27~28(cc sla)
- CC SLA를 사용해 적을 빠르게 쓰러뜨린다.


• 라운드 29
- 기본적인 버티기 장소는 pc이지만, 사실상 mid에서 버틴다. 블롭은 키우지 않으며, 광대를 최대한 빠르게 죽여주자.


라운드 30(cc sla)
- 자이언트 -> 가스트 -> 잡몹 순으로 죽여주자.


• 라운드 31
- 블롭은 키우지 않고, 여러 잡몹을 최대한 빠르게 쓰러뜨린다.


라운드 32~34(cc sla)
- 라운드 33에는 블롭을 키우지 않으며, 라운드 34에는 40초간 키운 후 진행한다.


• 라운드 35
- 라운드 25와 동일. 가장 작은 블롭만 남는다면 3rd를 써도 무관하다.


라운드 36(cc sla)
- 3rd를 사용한다. 자이언트 -> 광대 순으로 처리한다.


• 라운드 37
- cc에서 지름신 강림을 사용하며 진행한다.


라운드 38(cc sla)
- CC SLA를 사용해 적을 빠르게 쓰러뜨린다.


• 라운드 39
- 자이언트가 나오자마자 사격한다.[6] 자이언트를 빠르게 죽이자.


• 라운드 40
- 웨이브 3 몹들을 빠르게 죽인 후, 오래된 자를 재빠르게 죽여야 한다.

☆ 이 때부터 3rd를 업그레이드해도 무방하다.


• 라운드 41~42
- 라운드 41에는 한 명이 웨이브 1에 골렘 어그로를 끌어준다. 라운드 42에는 3rd를 사용한다.


• 라운드 43
- 자이언트가 나오자마자 쏜다.


라운드 44(cc sla)
- 자이언트를 최대한 빠르게 죽인다.


• 라운드 45
- cc에서 버틴다. 3rd를 무조건 쓴다. 1명이 프론트를 해서 웨이브 1 끝나기 전까지 광대를 다 죽여야 수월하다.


• 라운드 46
- 댄서는 가능하다면 웨이브 1과 2에 2명이 수행한다.


• 라운드 47
- 1명이 웨이브 1 골렘을 끌고 온다. 자이언트가 나오자마자 사격한다.


라운드 48(cc sla)~49
- 라운드 48에는 cc sla를 사용하며, 3rd를 사용한다. 라운드 49에는 cc에서 3rd를 사용하며 버틴다.


• 라운드 50
- CC에서 버틴다. 3rd를 무조건 사용한다. 라인이 밀린다면 번개 막대 기술을 써준다.


• 라운드 51
- cc에서 버틴다. 다이아몬드 흉갑보다는, EH5를 우선적으로 맞춘다.


• 라운드 52
- 자이언트가 나오면 쏜다. 자이언트가 나오자마자 Eco 좋은 사람들이 무기 세팅을 시작한다.

☆ 주의사항은 2가지가 있다.
1) 다이아몬드 흉갑보단 무기 세팅이 우선이다. 무기가 나온다면 바로바로 강화를 해주자.
2) Fast Game이므로 CPS가 10 이상이라면 GD-RR set을 쓰는 것이 좋다.


라운드 53~54(cc sla)
- 계속 상자를 돌리며 라운드를 진행한다. 또한 라운드 54의 경우, 무기가 좋다면 웨이브 1의 골렘을 끌고 온다.


• 라운드 55
- 무기가 웬만큼 안 좋지 않는 이상, CC에서 버틴다. CC-Front가 굉장히 잘 해줘야 한다.


• 라운드 56~57
- 무기를 돌리는 사람은 cc에서, 다른 사람들은 alt에서 버틴다.


라운드 58(cc sla)
- 라운드 54처럼, 무기가 좋다면 w1 골렘을 끌고 온다.


• 라운드 59
- 산탄총 판매대에 Ledge를 해서 최대한 빠르게 죽여야 한다. 특히, 다음 라운드부터 번개 순서가 필요하다.


• 라운드 60
- Opp-pc(pc 반대편)에서 총을 쏘다가 웨이브 3이 되면 pc로 넘어간 후 번개 순서에 맞춰 번개를 사용한다.


• 라운드 X1~X3
- cc에서 버틴다. 별 다를 바 없다. X2~X3의 경우, CC-Front가 오른쪽에서 오는 몹들을 죽여줘야 한다.


• 라운드 X4~X5
- 팀의 DPS에 따라, CC 혹은 Alt에서 버틴다. 라운드 X5에는 모든 플레이어가 블레이즈를 죽이고 버티기 장소로 돌아온다.


• 라운드 X6
- CC-Front만 다 붐과 크리퍼를 죽이며, 다른 플레이어들은 블롭만 집중적으로 죽인다.


• 라운드 X7
- 라운드 X5처럼, CC나 Alt에서 버틴다.


• 라운드 X8
- 라운드 X5와 동일. 라운드 68과 78은 cc에서, 라운드 88과 라운드 98은 alt[7], 혹은 Ledge[8]가 추천된다.


• 라운드 X9
- ult[9], 혹은 alt[10]에서 버틴다. Roof를 잘하는 한 명이 roof를 w2까지 시도하며, 안 됐다면 돌아온다.

☆ Alt에서 버티다가 stuck을 하기 위해서는 우주 블래스터만 남았을 때 팀원 전체가 ult로 이동하면 된다.


• 라운드 X0
- FB 유저는 팀의 DPS에 따라 QF를 쓸 지 FR을 쓸 지 결정하자. No-alt ledge 또는 Ledge 전략으로 진행한다. 자세한 공략은 이 단락을 참고한다.


• 라운드 101
- save 1 없이 하며, 좀비 박멸기를 SG로 바꾸지 않고 탄약 충전만 한 채로 죽인다.


• 라운드 102~105
- 산탄총 파는 곳에서 최대한 빠르게 o1을 죽인다.


• You win!
- 이 공략을 제대로 사용했다면, 1시간 20분대가 나올 것이다.

2.2. Old Ledge Strat SpeedRun(숙련자용)

World record(Legit)
★ 개요
- 장기간동안 사용된 전문 스피드런 공략으로, 이 전략을 사용한 현재 최고 기록은 1:09:59이다.[11]


★ 읽기 전에
1. 팀원 모두 '개인 DPS'가 정말 높아야 한다.
2. 라운드 60부터는 감전 버그에 걸린 적들을 건드리지 말아야 한다.
3. 금 갑옷 이상은 무기 세팅이 끝나고 구매한다.[12]
4. ShowSpawnTime 모드를 필수로 설치한다.
5. 텍스트 매크로(Text Macro) 모드 설치를 추천한다.

6. 창문 위치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
▷ p1 window: 관람차와 롤러코스터 사이
▷ p2 window: 롤러코스터와 소총 사는 곳 사이
▷ p3 window: 소총사는 곳과 Target Practice 사이
▷ p4 window: Target Practice 옆, 산탄총 사는 곳과 마주보는 곳
▷ KsKill Steal window[13]: 빨간색 지붕이 있는 곳

7. 초반부 역할 분담을 할 필요가 있다.
▷ p1: 라운드 9까지는 p1 window를 사용하며, 라운드 10부터 라운드 20까지는 mid[14]를 한다.
▷ p2: 라운드 9까지는 p2 window를, 라운드 10부터 라운드 20까지는 p1 window와 p2 window를 맡는다.[15]
▷ p3: 라운드 20까지 p3 window와 p4 window를 맡는다.[16]
▷ p4: 라운드 3까지는 ks window를 맡고 p4 window 스틸하며, 라운드 4~9까지는 ks window 관리를 한다. 라운드 10~20까지는 ks window를 맡으며 mid를 지원한다.[17]
파일:alien_arcadium_ws_p3_from_p4.png
라운드 1-20: p4에서 p3을 벽샷
파일:alien_arcadium_ws_p2_from_p1.png
라운드 10-20: p1에서 p2를 벽샷

★ 공략
• 라운드 1~3
- 이 때에는 팀 전체가 소총이 없는 경우가 많기에, 권총의 성능을 최대로 활용해서 몹들을 빠르게 죽여야 한다. 또한, 이 때 나오는 즉시 처치는 나오자마자 얻어줘야 하며, 라운드 1을 23.5초 초과하여 마치면 재시작한다.

☆ 권총 최대 활용법
1) p1p2: w1~2에 치명타 8발을 쏴서 적 2마리를 죽이자마자 재장전을 하고 바로 8발을 쏜다.
2) ks: p4 2발 -> w1-2 창문 클리어 -> (p4 2발) -> 창문 클리어 -> p4 도움
3) p3p4: p3 클리어 -> p4 칼질 후 3발 -> p3나 p4 중 적 나온 곳 클리어p3 우선 -> p3 클리어 -> p4 칼질 후 3발


• 라운드 4
- 이 때부터는 전원이 소총을 얻고 난 후이기 때문에 적들을 잡기가 조금 더 수월할 것이다.


• 라운드 5~7
- 이 시기에 나오는 즉시 처치는 라운드 6에 얻어준다.


• 라운드 8~9
- 이 라운드에 나오는 즉시 처치는 무조건 남긴 후, 그 다음 라운드에 얻는다.

[ ♧ 같이 보기 : 슬라임(Blob) 포지션(펼치기/접기) ♧ ]
• 슬라임(Blob) 포지션의 개념
- 라운드 10, 15[18], 16에서 사용하는, 슬라임에게 대항하기 위한 전용 포지션이다.

1. mid: fw, bc 슬라임을 죽여준다.
2. p1p2 window: rc 슬라임을 죽여준다.
3. p3p4 window: 마지막 웨이브에만 bc 슬라임을 도와준다.
4. ks window: 슬라임 보조를 위해 target Practice로 간다.[19]


• 라운드 10~12
- 다음 4가지를 잘 따른다.

1. 라운드 10은 슬라임 포지션에 맞게 행동한다.
2. 라운드 11 마지막 웨이브에 mid를 하던 사람이 p2 window로 간다(좀비 수가 4마리일 때).
3. 라운드 11에 즉시 처치가 나온다면, 웨이브 3이 시작하기 직전에 죽인다. 그 즉시 처치를 라운드 12까지 남긴 후, 라운드 12에 얻는다.
4. 라운드 12에는 ks window가 보초병을 죽여 준다.


• 라운드 13
- 체력이 높은 광대가 등장하는 라운드이므로, p3p4와 p1p2는 벽샷을 할 때 소총을 많이 사용하여 적들이 남지 않게끔 한다.


• 라운드 14
- 처음으로 창문에서 적이 한 번에 2마리씩 나오는 라운드. p3p4와 p1p2는 벽샷에 유의해야 하고, mid도 한 번에 2마리씩 나오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죽여줘야 한다.[20]


• 라운드 15
- ks window는 슬라임 보조를 위해 target practice로 간다. 만일 이 라운드에 즉시 처치가 나온다면, p3p4는 즉시 처치 획득을 편리하게 만들기 위해 p4 적들을 tp로 끌고 가서 죽여줘야 한다. 웨이브 5 적들을 죽이고 자이언트 소리가 나면, 다음 위치로 이동한다.

1. Mid -> p1/ks window
2. p3p4 -> ks window
3. ks -> Target Practice
4. p1p2 -> p1 window

☆ 자이언트를 빠르게 죽인 후, 각자 자신의 역할을 수행한다.


• 라운드 16
- 라운드 16에는 ks window가 보초병과 슬라임을 죽여줘야 한다. 이 때문에, p3p4는 ks window까지 도와줘야 한다.[21]


• 라운드 17
- 이 라운드도 라운드 14처럼 한 번에 두 마리씩 나오고 웨이브 딜레이가 4초로 매우 짧기 때문에 빨리빨리 죽여줘야 한다. 웨이브 5~6에는 한 마리씩 나올 때도 있기 때문에 좀 더 쉽다.

라운드 17에 나오는 즉시 처치는 절대 얻지 않는다. 라운드 18 즉시 처치를 제때 얻느냐의 따라 기록이 상당히 차이 나기 때문.


• 라운드 18
- 모든 플레이어 공통으로 웨이브 1에는 자신의 역할을 수행한다. 웨이브 2부터는 돌아다니면서 창문을 죽인다. ks window는 가스트만 죽여준다. 중요한 것은 라운드 18 인스타 킬을 마지막 웨이브 바로 직전 웨이브웨이브 5에 얻어주어야 한다. 그 후에는 자신의 창문과 슬라임을 죽이고[22] 남아 있는 가스트를 쏴주면 된다.


• 라운드 19
- 스피드런에서 초반 라운드 중 가장 시간을 잡아먹는 라운드. 라운드 18 때문에 이 때 즉시 처치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제약이 생긴다. 라운드 18과 비슷한 물량과 가스트의 존재로 매우 힘드므로 역할마다 나누어서 설명한다.

1. p3p4 window
▷ 기본적으로 자신의 창문만 클리어하는 역할이나, p3가 수리되어있고 자신의 실력이 좋다면 mid를 지원해주는 것도 나쁘지 않다.

2. p1p2 window
▷ p3p4 window보다 어려우므로 주의하자. 이 쪽은 자신의 창문을 관리하기도 바쁘기 때문에, 마지막 웨이브가 아니면 도와줄 생각하지 말자.

3. mid
▷ 이 라운드는 UFO에 적이 3마리씩 나오기 때문에, 소총으로 공중에서 한 마리를 죽이고, 산탄총으로 1마리를 죽이고, 나머지 1마리를 소총으로 죽여야 한다.

4. ks window
라운드 19에서 가장 어려운 역할. 우선, 시작하기 전에 ks window를 무조건 수리해줘야 한다. 그런 후, 다음 순서를 따른다.
▷ w1 가스트 -> w2 가스트 -> ks window 클리어 -> w3 가스트 -> w4 가스트 -> ks window 클리어 -> w5 가스트 -> w6 가스트 -> ks window 클리어


• 라운드 20
- 라운드 15처럼 이동하고, 적들이 2마리씩 나오기 때문에, 2마리 모두 죽기 전까지는 머물자.


• 라운드 21
- 모든 문을 연다. 범퍼 카에서는 Ledge와 alt-blocker는 빠른 부활, 빠른 발사, 냉동탄을 구매, 나머지는 빠른 부활, 빠른 발사, 추가 체력 2단계를 구매하며, 관람차에서는 권총만 업그레이드한다. 그 후, GD-RR 세팅을 시작한다. CC에서 버티며, 1명은 보초병, 나머지는 가스트를 죽인다.


• 라운드 22~58
- 이 때부터, cc sla를 사용하며 무기를 뽑는다.

Q. cc sla가 무엇인가?
A. cc에서 가능한 sla로, 범퍼 카와 ult 머신 옆 창문에서 스폰이 되지 않게 하는 전략이다.[23]


[ cc sla의 역할 ]
1. 개요
▷ cc sla를 사용할 때도 역할이 있다. 벽샷을 통해 창문을 빠르게 죽여 조금이나마 빠르게 넘기기 위함이다.

2. 역할
1) p234
▷ 말 그대로, p2, p3, p4 window를 클리어한다. 그리고 p4 window와 p3-pre를 벽샷하고 mid를 향해 사격하면 된다.[24]
2) p1 + fw golem
▷ cc 왼쪽 창문 아래에 서서 p1 window를 벽샷하고, 관람차에 있는 골렘을 잡으면 된다.
3) Alt ws[가장중요]
▷ 벽샷은 cc에서 [math((-72, -1))]을 보고 1초 동안 점점 [math((-73, -1))]로 각도를 이동하면서 마지막 웨이브에 사격한다.
4) ks
▷ ks window를 벽샷/사격하면 된다.
파일:alien_arcadium_ws_p4_from_sla.png
p234: SLA에서 p4를 벽샷[26]
파일:alien_arcadium_ws_p3pre_from_sla.png
p234: SLA에서 p3-pre와 p2-pre를 벽샷[27]
파일:alien_arcadium_ws_p1_from_left_cc_window.png
p1 + ult golem: Left CC window에서 p1을 벽샷
파일:alien_arcadium_ws_alt_from_sla.png
Alt: SLA에서 alt를 벽샷
파일:alien_arcadium_ws_ks_from_sla.png
KS: SLA에서 ks를 벽샷[28]

3. 주의할 점은 2가지가 있다.
1) 모든 역할 공통으로, 각자의 창문을 모두 클리어했다면 mid를 사격하자.
2) 다만, cc sla를 사용하는 다른 라운드인 x1~x7 라운드 중 x2, x3, x6 때 "alt ws"를 제외하고는 역할 수행을 하지 않는다.
3) 골렘과 가스트가 나오는 라운드에는 "ks-ws"와 "alt-ws"/"p234" 중 한 사람이 ent와 tp에 나오는 가스트와 골렘을 죽여준다.


[ 라운드 22~58에서 버티는 장소 ]
||<tablebordercolor=#151515><tablebgcolor=#151515><tablealign=center> 라운드 || 버티기 장소 ||
22 CC sla
23 Spread(Type 1)
24 CC(sla not need)
25 Mid
26 Spread(Type 1)
27~28 CC sla
29 Spread(Type 1)
30 CC sla
31 Spread(Type 1)
32 CC sla
33~34 Spread(Type 1)
35 Mid
36 CC sla
37 CC(sla not need)
38 CC sla
39 Spread(Type 2)
40 CC(sla not need) -> Mid
41~42 CC sla
43 Spread(Type 2)
44~45 CC sla
46 Spread(Type 3)
47 Spread(Type 2)
48~51 CC sla
52 Ult
53~55 CC sla
56~57 Spread(Type 3)
58 CC sla


☆ 다음 라운드들은 CC sla를 미사용하는 라운드이다.


Spread(Type 1)라운드 23, 26, 29, 31, 33, 34[29]
- Bum, ult, cc[30], tp(Target practice)[31]에 각 1명씩 자리잡는다. 이 때 cc는 p1을 벽샷하고, fw는 p2를 벽샷하고, bc는 p4를 벽샷하고, tp는 마지막 웨이브 때 가운데에서 번개를 사용한다.

☆ 라운드별 설명 및 주의사항
1) 라운드 26에는 번개를 무조건 웨이브 시작 2.3~2.7초에 내리쳐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버그 몹이 바닥에 끼기 때문에 안 쓰는 것만도 못한다.
2) 라운드 29, 31, 33, 34의 마지막 웨이브에는 번개를 가진 1명이 중앙에서 번개를 내리친다.
3) 다른 구역의 유저가 쓰러지면, w1~2에는 살리는 것을 추천한다.


Spread(Type 2)라운드 39, 43, 47
- Bum, cc[32]에 각 1명씩, ult에는 2명이 자리잡는다.

☆ 번개 타이밍
1) 라운드 39 : w3
2) 라운드 43 : w1, w5
3) 라운드 47 : w2[33]


Spread(Type 3)라운드 46, 라운드 56~57
- Spread가 필요하지만 블롭이 등장하지는 않는 라운드이다.

1. 라운드 46 : cc, ult에 각각 1명씩, p4 window에는 2명이 자리잡는다. 번개 막대 기술은 o1에게 사용한다.

2. 라운드 56 ~ 57: 네 가지 역할이 있다.
1) ent: ent와 tp 골렘의 어그로를 받고 보스만 쏘다가, 웨이브 3 골렘까지 모두 모였다 싶으면 번개를 쓰면 된다.[34]
2) mid assist: Rail 옆 창문[35]에 서서 보스를 사격하면 된다. 마지막 웨이브가 시작되면 mid로 달려가서 번개를 쓰고 죽이는 걸 돕는다.
3) cc golem: cc에서, cc에 있는 골렘을 죽인다.
4) ult golem: ult에서, ult에 있는 골렘을 죽인다.


CC(sla not need)라운드 24, 37
- Sla 필요없이, cc에서 서로 붙어있기만 하자. 이 라운드에서는 1명이 보초병,[36] 2명 가스트, 1명 자이언트로 나눠서 죽인다.


Mid라운드 25, 35
- 빠르게 보스를 사살한다. 처음에 보스가 클 때는 RR, GD만 사용하지만, 3번째 분열 때부터 번개와 박멸기를 사용해 작은 보스들을 잘 죽여주자.


CC(sla not need) -> mid라운드 40
- w4까지 나온 모든 몹을 죽인 후, mid에 와서 번개를 내리쳐 o1을 최대한 빠르게 제거한다.


Ult라운드 52
- bc 1명, cc 1명, ult 2명으로 시작한다. 모두가 w1에 번개를 내리친다. Bc 유저는 번개를 쓰고 ult로 돌아가서 버틴다웨이브 시작 후 10초. 웨이브 시작 후 28초가 되었을 때 블롭이 충분히 많이 죽었다면 bc 유저는 골렘 주의를 끈 후 bc에 번개를 내리치고 다시 ult로 들어온다. 이 과정 동안 모든 플레이어는 사격을 멈추면 안 된다.


• 라운드 59
- SG 판매대에 Ledge를 한다. 이 때, 라운드 60에 퍼크 살 시간을 벌기 위하여, 무지개 소총 탄약은 w5~6에만 사용한다.


• 라운드 60
- opp-pc(pc 반대편)에서 멀리 있는 좀비들을 쏴죽이면서 버티다가, 웨이브 3라운드 시작 후 30초이 되면 pc로 넘어간다. PC로 넘어온 후에는 검가드를 하고, 적들이 좀 모였다 싶으면 번개 순서에 맞춰 차례대로 번개를 쏜다. 모든 번개를 쏜 후에는 무기를 쏴서 남은 좀비들을 처리한다.

☆ 주의사항은 2가지가 있다.
1) 이 라운드 시작 직후 10초동안[37] 추가 체력을 최대한 산다.
2) 이 라운드부터 번개 순서가 필요하다. 번개 순서는 라운드 60, X1, X4, X5, X7, X9에 쓰인다.


• 라운드 X1
- cc sla를 사용한다. 여기서는 두 가지 공략이 있다.

1. all cc strat
▷ 모든 유저가 cc에 머무는 공략이다. 안정성이 높지만, 블롭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시간이 좀 더 걸리는 편이다. 번개 막대 기술을 순서에 맞춰서 웨이브 5 시작부터 내리친다.

2. cc-front strat
▷ p1+ult golem과 alt-ws가 w1 늑대를 mid에서 늑대를 쏘며 시작한다.
▷ p1+ult golem은 왼쪽 코너에 붙어서 주의를 끌며 ult에 있는 블롭과 p1 window를 향해 사격하고, alt-ws는 왼쪽 창문 아래에 서서 모이는 늑대를 죽인다.
▷ 나머지 플레이어들은 상황에 따라 늑대를 쏠지 블롭을 쏠지 판단하면 된다. 웨이브 6이 시작되면, 번개 순서 1번이 번개를 내리치고, 다른 플레이어들도 그 플레이어를 따라 내리치면 된다.


• 라운드 X2
- 각자 모두의 역할이 중요한 라운드이다.

1. p1 + ult golem : p1을 클리어하고 mid를 사격한다.
2. alt-ws : alt와 오른쪽 cc 창문만 클리어하면 된다.
3. ks-ws : mid만 사격하다가, 마지막 웨이브에만 ks window 벽샷을 한다.
4. p234 : 마지막 웨이브에 벽샷을 하며 앞으로 나가고 모여있는 광대들에게 번개를 사용하면 된다. 자세한 건 위의 영상을 참조한다.


• 라운드 X3, X6
- 라운드 X1과 똑같다. 다만, ks-ws가 마지막 웨이브에 alt를 벽샷을 하고, "p234"는 p4를 벽샷한다.


• 라운드 X4
- 이 라운드에는 두 가지 공략이 있다.

1. cc camp
▷ 별다른 공략 없이 그냥 사격하는 것이다. 후술할 공략보다 빠르지만, 라운드 94는 위험성이 크다.
2. cc-front strat
▷ 라운드 X1에서 쓰는 공략과 같다. 다만, ult + p1 window가 벽샷으로 mid를 쏘면 된다.

☆ 공통적으로, 블레이즈 역할이 필요하다. 블레이즈 역할의 플레이어는 오직 블레이즈만 쏜다. 또한, cc sla를 사용한다. 오래된 자가 오면 오래된 자에게 번개 순서에 맞춰 번개를 내리친다.


• 라운드 X5, X7
- '전체 DPS'를 테스트하는 라운드이다. 우선, 라운드 X5에는 웨이브 2에 블레이즈를 잡으러 4명 모두 나가고, 라운드 x7에는 웨이브 1에 tp, ult, bc, cc에 한 명씩 블롭에 번개를 내리친다. 그 후, cc sla를 사용한다. 블롭은 신경 쓰지말고, 자이언트와 다른 좀비들을 신속하게 죽여줘야 한다. 번개 사용 타이밍은 아래와 같으며, 번개를 마그마 큐브한테 내리친다.

1. 라운드 65, 75, 85
1st) w5
2nd) 라운드 시작 후 32~33초
3rd) 적이 15마리 이상 모였을 때
4th) 앞으로 돌격 후

2. 라운드 95
1st) w6
2nd) 라운드 시작 후 34초
3rd) 라운드 시작 후 38초
4th) 앞으로 돌격 후

3. 라운드 X7[38]
1st) 번개 쿨타임이 돌아온 즉시
2nd) o1이 들어온 즉시
3rd) 2nd 번개 사용 3초 후
4th) 블롭과 마그마 큐브만 남았을 때

☆ 유의사항
1) 번개 순서를 잘 지켜야 한다.
2) 만일, 당신이 스피드런을 하다가 이 라운드에서 게임 오버되었다면, '개인 DPS' 또는 '전체 DPS'가 부족하다는 뜻이다.


• 라운드 X8
- Ledge Strat을 사용한다. Alt-blocker는 Ent에 있는 골렘와 bc를 향해 사격하고, ult-blocker는 cc에 있는 골렘과 cc를 향해 사격한다. mid는 Ledge만 사격하기 때문에 이 라운드에서의 Ledge는 '개인 DPS'가 가장 높은 사람이 해야 한다.[39]


• 라운드 X9
- 3가지 전략 중 고른다.

1. Alt strat
▷ Alt에서 버틴다. 프론트 유저 2명이 Alt ws에 있고 다른 플레이어들은 Alt에 있는다. alt 플레이어는 적들의 주의를 받지 않기 위해 Alt window 중간에 서야 한다. 오래된 자가 온다면 모두 다 오래된 자와 mid를 향해 사격한다. 오래된 자를 조심한다.

2. Opp-pc strat
▷ opp-pc에서 계속 쏘면서 버틴다. Front 1명이 주의를 끌어준다. 그러고 w5에 진입한다면 pc로 넘어가며 Front가 바로 쓰러지고, w6이 시작할 때 번개 순서에 맞춰 번개를 내리친다.
▷ 이 전략에서는 반드시 Lshift(웅크리기)와 점프를 동시에 해야 하고, 모든 번개를 쓰기 전까진 pc에서는 좀비 박멸기를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특징이다.

3. Ult strat
▷ ult에서 버틴다. Front는 약간만 앞으로 나가서 오른쪽에서 오는 좀비들만 사살하고, 나머지 플레이어들은 ult 코너에 정확하게 붙어서 mid에 있는 적들을 사살한다. 프론트가 죽자마자, 1번째 번개를 내리친다.


• 라운드 X0
- Ledge Strat을 사용한다. 만일 Alt에 오래된 자가 나온다면 Ult로 복귀한다. Ult에 오래된 자가 나온다면 ult-blocker가 Inner-ledge를 한다. Ledge Strat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Alien Arcadium 문서를 참고하자.[40]


• 라운드 101~105
- mid에서 World ender 또는 o1을 빠르게 사살한다.
파일:1706601084715.png
World record(Unlegit)

2.3. New Ledge Strat(전문가용)

★ 개요
- 기존 Ledge 스피드런 전략에서 몇 가지 요소들이 보완된 공략으로, 현재로써는 가장 빠른 스피드런이다.[41]


★ 읽기 전에
1. 이 공략은 라운드 100을 No death로 넘기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아주 높은 '개인 DPS'가 필요하다.
2. 감전 버그에 걸린 적은 자이언트를 제외하면 죽이지 않는다.
3. 텍스트 매크로(Text Macro)가 필요하다.
4. ShowSpawnTime, Zombies Addon 등 타이머가 있는 모드가 필요하다.
5. 창문의 이름을 외운다.[42]
6. 치명타가 잘 뜨지 않으면 게임 재시작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7. eco를 위한 무기 사용 제한은 없다. 소총도 가릴 것 없이 사용하며, 행운의 상자 무기는 라운드 21부터 세팅한다.
8. 이 링크에 공략을 작성해 두었다.


★ Part 1 공략: Park entrance(라운드 1~21)
• Part 1 개요
- 이 파트는 공원 입구(Park entrance)에서 각자 역할을 나누어 진행하는 부분이 대다수이다. 따라서 자신이 담당하는 역할의 임무를 잘 숙지하고, 특히 즉시 처치 파워업을 잘 활용해야 플레이타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 라운드 1~9
- p1, p2, p3 + p4, p5 각 1명씩 역할을 나누어 진행하며,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1. p3 + p4: p3을 벽샷한 후에, p4를 죽인다. 단, 라운드 1-3에는 rifle이 없어서 벽샷이 힘들기 때문에 벽샷이 아니라 그냥 나와서 죽여도 된다.

2. 즉시 처치 파워업 관련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공통적으로 즉시 처치는 마지막 웨이브 6초 전에 사용하며, 이전 라운드에 세이브해야 하는 라운드는 다크시안색으로 표시했다.
1) 첫 스폰이 라운드 2일 경우: 라운드 2, 6, 9에 사용한다.
2) 첫 스폰이 라운드 3일 경우: 라운드 3, 6, 10[43]에 사용한다.
파일:alien_arcadium_ws_p3_from_p4.png
p4에서 p3을 벽샷


• 라운드 10~20
- mid, p1 + p2, p3 + p4, p5 + mid help로 역할을 나누어 진행하며,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라운드 10, 15, 16에 블롭이 스폰되므로, p5는 tp(Target practice)로 이동하여 tp에 스폰된 블롭이 p3p4벽샷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2. 라운드 12, 16에는 보초병이 UFO에서 떨어지므로, p5가 보초병을 쓰러뜨린 뒤 p5를 클리어한다. 실력이 충분하다면 p3 + p4가 p5까지 담당해도 된다.
3. 라운드 15, 20에는 자이언트가 스폰되므로, 자이언트 스폰 전 mid와 p1 + p2는 p1로, p3 + p4는 p5로, p5는 tp로 이동한다.
이 때 자이언트한테 치명타가 뜨지 않는다면 무조건 재시작한다![44]


• 라운드 21
- 다음 파트를 준비하는 라운드로, 모든 문을 연 이후 다음 순서대로 진행한다.

1.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고, 모두 구매했다면 롤러코스터에 모인다. 늦어도 웨이브 5 전에는 모여야 한다.
1) 퍼크: 빠른 부활, 빠른 발사, 냉동탄을 구매한다. 추가 체력의 경우 나중에 적당한 때에 구매해도 된다.
2) 무기: 권총을 필수로 강화하며, 소총 강화 여부는 선택이다.
2. 보초병(1명), 가스트(3명)로 역할 나누어 진행한다.[45]


★ Part 2 공략: WSS & Spread(라운드 22~60)
• Part 2 개요
- 이 파트는 몇 개의 라운드를 제외하면 CC-sla에서 WSS(Wallshoot Strategy)라는 벽샷을 사용하거나, "Spread"를 통해 적들을 빠르게 쓰러뜨리는 전략 중 하나를 사용하게 된다.


• WSS 설명(펼치기/접기)
- (라운드에 따라 다르지만) 창문에서 소환되는 적이 있는 라운드에 거의 다 사용하는 이 전략은, CC에서 범퍼 카 창문을 비활성화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벽샷을 통해 빠르게 적들을 쓰러뜨리는 전략을 말한다. 이 맵 스피드런의 핵심 중 1가지이며, 여기서의 진행 속도에 따라 전체적인 페이스가 정해진다. 역할은 총 4가지이며, 모두 완벽하게 수행하면 게임을 매우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Alt: WSS 라운드에 cc에서 alt를 벽샷한다. 그 이후에, cc의 오른쪽 창문에서 오는 적들을 쓰러뜨린다.
2. p23: 롤러코스터에 있는 가마솥 옆에서 p23을 클리어한다. 한 각도로 사격 시 p3이 먼저 클리어된 뒤 p2가 클리어된다. 그 이후에 프론트(front)로 나가서 p4를 클리어한다.
▷ 라운드가 높은 경우(통상적으로 라운드 41부터), 프론트와 함께 앞에서 버티며, 벽샷 대신 ent와 tp에서 소환되는 골렘을 먼저 쓰러뜨린 이후에 p234를 클리어한다.
3. front: UFO에서 낙하하는 적들을 쓰러뜨린다. 자이언트가 없어서 벽샷이 가능하다면 p5를 벽샷하고, 그렇지 않다면 그냥 mid를 향해 사격하면 된다. 대체로 p23과 함께 행동한다.
▷ 범퍼 카 창문을 비활성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미숙하다면 SLA-mod를 활성화하고 진행한다.
4. p1 + ult: 'ult window'를 벽샷한뒤, 그 각도로 사격해 p1f 부분을 명중시켜 p1이 클리어되게 한다. 이후에 ult에 있는 골렘을 쓰러뜨린다.
파일:aasr_alt_ws.png
ALT: CC에서 Alt를 벽샷
파일:aasr_ws_p23.png
p23: 가마솥 옆에서 p23을 벽샷[46]
파일:aasr_ws_ult_and_p1front.png
p1 + ult: cc left에서 ult window를 벽샷
파일:aasr_ws_p5_from_front.png
Front: p5를 벽샷


• Spread 설명(펼치기/접기)
- 블롭과 골렘 등이 출현하는 라운드에 사용되며, 라운드 36을 기점으로 공략이 살짝 달라진다.

1. 라운드 36 이전: 모든 라운드 공통이지만 Grow는 크게 하지 않는다.[47] 다음과 같이 역할을 나누어 진행한다.
1) CC: p1을 벽샷하고, 자신의 블롭을 쓰러뜨린다. 이후에는 tp쪽에 잔류하는 적들을 쓰러뜨린다.
(2) TP: 번개 막대 기술을 소지한 사람이 담당하며, mid에서 번개를 사용하고 tp에 있는 블롭을 쓰러뜨린다.
(3) BC: p4 클리어하고, 자신 쪽에 남은 적들과 p5를 함께 클리어한다.
(4) FW: p2 클리어하고, 자신쪽에 남은 적들을 클리어한다.

2. 라운드 36 이후: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1) 더이상 창문에서 몹이 소환되지 않아서, 창문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2) 마지막 웨이브에 블롭들을 상대로 번개를 내리친다.
3) bc, ult(이상 1명), cc(2명)로 흩어지며라운드 52 제외, cc 담당자 중 냉동탄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tp로 이동해서 마지막 웨이브에 번개를 내리친다.


• Part 2 상세
- 라운드별 사용 공략은 다음 표와 같으며, "Spread"의 경우 Type 1은 라운드 36 이전 Spread, Type 2는 라운드 36 이후 Spread이다. 그 이외의 유형은 특이사항에 작성하였다.
라운드 사용 공략 특이사항
라운드 22 WSS -
라운드 23 Spread(Type 1) -
라운드 24 mid 역할을 가스트, 자이언트(이상 1명), 보초병(1~2명)으로 나눈다.[48]
라운드 25 mid 너무 가운데로 들어가지 말고 적당히 앞에 나가 전투한다.
라운드 26 Spread(Type 1) 마지막 웨이브에, 블롭들에게 번개를 내리친다.
라운드 27~28 WSS -
라운드 29 Spread(Type 1) -
라운드 30 WSS -
라운드 31 Spread(Type 1) -
라운드 32 WSS -
라운드 33 WSS[49] 프론트가 박멸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라운드 34 Spread(Type 1) -
라운드 35 mid 너무 가운데로 들어가지 말고 적당히 앞에 나가 전투한다.
라운드 36 WSS -
라운드 37 -[50] 자이언트, 보초병(이상 1명), 가스트(2명)으로 역할을 나눈다.
라운드 38 WSS -
라운드 39 Spread(Type 2) -
라운드 40 mid mid 클리어 시 mid로 모여서 오래된 자를 쓰러뜨린다.
라운드 41~42 WSS 이 라운드부터 p23은 골렘을 먼저 쓰러뜨린 후 벽샷을 진행한다.
라운드 43 Spread(Type 2) -
라운드 44~45 WSS -
라운드 46 Spread(Type 3) 1. ult, cc(이상 1명), ent(2명)으로 역할을 나누어 골렘을 상대한다.
2. 마지막 웨이브에 골렘에게 번개를 내리친 후, 오래된 자를 쓰러뜨린다.
라운드 47 Spread(Type 2) 웨이브 2에 블롭들한테 번개를 내리친다.
라운드 48~51 WSS -
라운드 52 Spread(Type 4) ult(3명), cc(1명)으로 역할을 나누어 진행한다.
라운드 53~55 CC-sla cc(3명), Left-cc(1명)으로 역할을 나누어 진행한다.
라운드 56~57 Spread(Type 5) 1. ult, ent(이상 1명), cc(2명)으로 역할을 나누어 진행한다.
2. cc 담당자 중 1명은 골렘을, 다른 1명은 보스를 상대한다.
라운드 58 CC-sla cc(3명), Left-cc(1명)으로 역할을 나누어 진행한다.
라운드 59 SG-ledge -
라운드 60 Opp-pc 1. 기존 Opp-pc 공략과 같으나, 번개는 오래된 자에게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2. pc 이동 후에는 모든 번개가 사용되기 전까지 사격을 금한다.[51]


★ Part 3 공략: Repeat & Final(라운드 61~105)
• Part 3 개요
- Casual에서도 DPS 싸움인 라운드가 바로 반복 라운드지만, 여기서는 플레이타임을 더 단축하기 위해 WSS 등의 복합적인 요소까지 사용한다. 다시 말해, DPS 싸움인만큼 각자 역할 모두 최선을 다한다.


• 라운드 X1
- CC에 머문다. 이 때 현재 라운드가 61 or 71이라면, (냉동탄을 소유한) 2~3명 정도만 늑대들한테 사격하고, 나머지 인원은 블롭한테 사격한다. 이 때 번개는 늑대 무리에게 내리치는데, 한 번에 최소 10마리에게는 내리쳐야 한다.


• 라운드 X2~X3
- 라운드 X2는 전체 웨이브에서 WSS를 사용하는 반면, 라운드 X3은 CC에 모두 머물다가 마지막 웨이브가 될 때 WSS를 사용한다. 이는 Alt에 있는 적들을 빠르게 쓰러뜨리기 위함이며, 번개는 늑대 무리에게 내리친다.


• 라운드 X4
- 블레이즈를 담당할 1명빠른 부활 소지 필수이 필요하다. 블레이즈는 가능한 한 많이 쓰러뜨려야 하며, 번개는 오래된 자에게 내리친다. 특히 라운드 94는 적들의 체력 및 공격력이 무척 높기에 정말 높은 DPS가 필요하다.


• 라운드 X5
- 웨이브 1은 모두가 보초병들을 향해 사격하다가, 웨이브 2가 되기 직전 FW, BC, Ent, TP 각 1명씩 나눈 뒤 각 장소에 스폰되는 블레이즈들을 쓰러뜨린다.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블레이즈 사살 시 박멸기는 사용하지 말고, 오직 금광꾼, 무지개 소총만 사용한다.[52]
2. 번개는 마그마 큐브들에게 내리쳐야 하며, 한 번에 최소 15마리에게는 내리쳐야 한다.[53]
3. '전체 DPS'가 아주 높다면, 마지막 웨이브에 ALT만 벽샷한다.


• 라운드 X6
- 1명은 크리퍼 및 다 붐(Da bomb)만 쓰러뜨리고, 나머지는 역할을 나누어 블롭을 사살한다. 번개는 웨이브 4 or 5에 스폰되는 블롭들한테 내리친다. 블롭이 사살되는 속도가 곧 플레이타임 단축의 지름길이다.


• 라운드 X7
- FW, BC, Ent, TP 각 1명씩 나누어, 웨이브 1에 (각자 위치에서) 스폰되는 블롭한테 번개를 내리친 후 CC로 모인다. 번개는 블롭 및 마그마 큐브들에게 내리치는데, 2번째 번개는 오래된 자에게 내리치는 것이 효율적이다.


• 라운드 X8
- Ledge Strat을 사용하며, 주의점 및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Ledge: 혼자서 모든 적을 쓰러뜨려야 하므로 '개인 DPS'가 높아야 하며, 여기에 더해 ult와 alt 담당자들도 자신을 서포트하지 않으므로(다만 라운드 98 한정으로 팀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조준 능력까지 우수해야 한다.

2. Alt: ent에 있는 골렘들을 쓰러뜨린다. 라운드 98에만 Ledge가 요청할 경우 약간의 도움을 준다.

3. Ult: 강화 머신과 X축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아기 좀비류 적들의 주의 분산을 방지한다. 그 상태에서 CC에 있는 골렘들을 쓰러뜨린다.[54]

4. Golem: ult와 주의점은 같으며, 나머지는 같다.


• 라운드 X9~X0
- 라운드 X9는 Opp-pc strat을 사용하며, 라운드 시작 후 26초웨이브 5에 러시, 35초에 번개를 내리친다. 박멸기 사용은 번개를 모두 내리친 뒤부터 허용된다. 한편 라운드 X0은 기존 "Ledge strat"과 같이 진행한다.

☆ 라운드 X9의 경우, 번개 순서를 지키지 않거나, [math(<1)]초 간격으로 번개를 내리쳐 감전 버그가 생겨버리면 게임 진행이 비원활해지니 각별히 주의한다.


• 라운드 101~105
- 다섯 라운드 모두 mid에 머문다. 라운드 101은 세계 엔더를 빠르게 사살하는데 집중하고, 나머지 라운드는 FWult + alt, Bum + p5, p3 + p4, RC + p2 각 1명씩 역할을 나눈 뒤 자신의 구역에서 오래된 자가 보이면 빠르게 팀원들에게 전파한다.

2.4. R18 Ferris Strat

★ 개요
1. 기존에 있던 New Ledge Strat에서 초반 라운드를 수정해서 더 빠른 기록을 낼 수 있도록 한 버전이다.
2. 이 공략을 제대로 사용하면 1시간 05분까지 시간을 줄일 수 있다.

★ 읽기 전에
1. 이 공략은 라운드 100을 No death로 넘기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아주 높은 '개인 DPS'가 필요하다.
2. 감전 버그에 걸린 적은 자이언트를 제외하면 죽이지 않는다.
3. 텍스트 매크로(Text Macro)가 필요하다.
4. ShowSpawnTime, Zombies Addon 등 타이머가 있는 모드가 필요하다.
5. 창문의 이름을 외운다.[55]
6. 치명타가 잘 뜨지 않으면 게임 재시작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7. eco를 위한 무기 사용 제한은 없다. 소총도 가릴 것 없이 사용하며, 행운의 상자 무기는 라운드 21부터 세팅한다.
8. 이 링크에 공략을 작성해 두었다.


★ 공략
• 라운드 1-2
- 역할을 다음과 같이 나눈다. p1 / p2 + (p4) / p3 + p4 / p5 + (p4)
1. 이 때는 RIfle이 없으므로 p2와 p5가 p3을 도와야한다. 따라서 p2가 서는 위치가 달라진다.
2. p3 + p4는 p3을 벽샷하고, p4를 죽인다.
파일:2025-02-10_10.46.59.png
P2가 서는 위치
파일:alien_arcadium_ws_p3_from_p4.png
p4에서 p3을 벽샷


• 라운드 3-9
- 이제 rifle이 있으므로 역할을 다음과 같이 p1 / p2 / p3 + p4 / p5로 나눈다.

★ 즉시 처치 파워업 관련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공통적으로 즉시 처치는 마지막 웨이브 6초 전에 사용하며, 이전 라운드에 세이브해야 하는 라운드는 다크시안색으로 표시했다.
1) 첫 스폰이 라운드 2일 경우: 라운드 2, 6, 9에 사용한다.
2) 첫 스폰이 라운드 3일 경우: 라운드 3, 6, 10[56]에 사용한다.


• 라운드 10-17
- 역할은 mid / p1 + p2 / p3 + p4 / p5 + mid help로 나눈다.
1. 라운드 10, 15, 16에 블롭이 스폰되므로, p5는 tp(Target practice)로 이동하여 tp에 스폰된 블롭이 p3p4벽샷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2. 라운드 12, 16에는 보초병이 UFO에서 떨어지므로, 역할을 mid / p1 + p2 / p3 + p4 + p5 / sent로 나눈다.
3. 라운드 15에는 자이언트가 스폰되므로, 자이언트 스폰 전 mid와 p1 + p2는 p1로, p3 + p4는 p5로, p5는 tp로 이동한다.
이 때 자이언트한테 치명타가 뜨지 않는다면 무조건 재시작한다![57]
4. p1 + p2: p2를 벽샷하고, p1을 죽인다.
파일:2025-02-10_11.05.11.png
P2를 벽샷


• 라운드 18-20
- p3 + p4를 담당한 플레이어가 Ferris를 연다.[58] 이후에 Pistol과 Rifle을 벽샷하고 다음과 같이 역할을 나눈다. mid + ghast / ult + p1 + (p2) / p234 / p5 + alt
1. mid + ghast: MID에서 떨어지는 몹들을 죽이고 가스트를 죽인다.
2. ult + p1 + (p2): Ult에서 P1을 벽샷하고, ult를 죽인다. 만약 p234가 p2벽샷을 실패했다면 죽인다.
3. p234: p3을 벽샷하고, p2를 consec-벽샷 한 뒤, p4를 죽인다.
4. alt를 죽이고, p5를 죽인다.[59]
파일:2025-02-10_11.22.35.png
P1 + Ult: P1을 Ult에서 벽샷
파일:2025-02-10_11.23.31.png
p234: p4에서 p3을 벽샷
파일:2025-02-10_11.24.25.png
p234: p4에서 p2를 consec-벽샷
파일:2025-02-10_11.25.12.png
p5 + alt: ALT를 벽샷


• 라운드 21
- Bumper Car와 Roller Coaster를 연다. Bumper에서는 QF만 구매하고[60] 바로 Roller로 이동한 뒤, 계속 상자를 돌려서 세팅한다. 이후에 나머지는 New Ledge Strat과 동일하다.

3. 트리오(1:15 strat)

★ 개요
1. 트리오로 스피드런을 하는 챌린지로써, 트리오(Casual)를 2~3번 넘게 클리어한 후 도전하는 것을 추천한다.
2. 여기에 이 공략의 원문이 적혀있으니 참고한다.


★ 읽기 전에
1. ShowSpawnTime 모드는 필수로 설치하여야 한다.[61]
2. 무기 세팅의 경우 3명 모두 GD-RR set이 필수이며, 퍼크 세팅의 경우 2명은 빠른 부활 + 추가 체력 + 빠른 발사이고 1명은 빠른 부활 대신 냉동탄을 사용한다.

3. 무기 사용에 관하여
1) 마지막 웨이브에는 무조건 3rd를 사용한다.
2) 더블 배럴 산탄총을 가진 Front가 아닌 이상 좀비 박멸기를 위해 지름신 강림을 쓴다.

4. '즉시 처치' 패턴 : 전 라운드에 s1하고 다음 라운드에 얻어야 하는 라운드는 다크시안색으로 표기했다.
1) 라운드 2 첫 스폰 : 라운드 2, 6, 9, 12,[62] 14, 18, 20
2) 라운드 3 첫 스폰 : 라운드 3, 6, 10, 12, 15, 18, 21


★ 공략
• 라운드 1~9 | p1p2, p3p4, p5[63]
- 다음 2가지를 잘 지킨다.

1. 라운드 1~3 : p5가 p4나 p1을 돕는다. 즉시 처치는 나오자마자 얻으며, 소총은 라운드 2가 끝난 후 얻을 수 있다.
2. 라운드 4~9 : p5는 자신의 창문을 클리어한 직후 p4나 p1을 돕는다.


• 라운드 10 | p1p2, p3p4p5, mid + blob + ks p5
- p3p4p5는 p5 창문 앞에 선다. 또한, Mid 담당자는 블롭을 죽인 후, p5를 같이 클리어(Kill steal)한다.


• 라운드 11 | p1p2, p3p4, p5+mid
- mid 담당자는 마지막 웨이브에 p5만 클리어한다.


• 라운드 12~17
- 라운드에 따라 역할을 수행한다.

1. 라운드 12, 16 : p1p2, p3p4p5, mid+sentinel로 나눈다.
2. 라운드 13~14, 17 : p1p2, p3p4, mid+p5로 나누되, p3p4는 마지막 웨이브에 p5를 같이 클리어한다.
3. 라운드 15 : p1p2, p3p4, mid+p5로 나누되, 자이언트 출현 전에는 각각 p1, p5, tpTarget practice로 이동한다.

☆ 라운드 14가 끝난 후, 철 갑옷까지 구매한다.


• 라운드 18 | p1p2, p3p4, p5 + mid
- 즉시 처치가 발동되면 각각 cc, tp, ult에 있는 블롭들을 쓰러뜨린다. 단, 이 때 p5 + mid는 가스트까지 함께 맡아야 한다.

☆ 라운드 18이 끝난 후, 롤러코스터와 관람차를 연다.


• 라운드 19 | Ghast(1명), Other(2명)
- 관람차에서 권총과 산탄총FB 유저는 소총 포함을 강화한 이후, 서술된 역할을 수행한다.


• 라운드 20
- 별 특이사항은 없으니, 적들을 빠르게 쓰러뜨린 것에 집중한다.


• 라운드 21~60
- 라운드별로 공략을 잘 숙지한다. 라운드 47 끝난 직후부터 상자를 돌려도 된다.

[ 라운드 21~60 공략 정리표(펼치기/접기) ]
||<tablebordercolor=#151515><tablebgcolor=#151515><tablealign=center> 라운드 || 사용 공략 ||
라운드 21 Ghast
라운드 22 CC(Type 1)
라운드 23 Spread
라운드 24 Ghast
라운드 25 Casual[64]
라운드 26 Spread
라운드 27~28 CC(Type 1)
라운드 29 Spread
라운드 30 CC(Type 1)
라운드 31 Spread
라운드 32 CC(Type 1)
라운드 33~34 Spread
라운드 35 Casual
라운드 36 CC(Type 2)
라운드 37 Casual
라운드 38 CC(Type 2)
라운드 39 Grow
라운드 40 3×Front
라운드 41~42 CC(Type 3)
라운드 43 Grow
라운드 44~45 CC(Type 3)
라운드 46 Golem
라운드 47 Grow
라운드 48 CC(Type 2)
라운드 49~51 Casual
라운드 52 Non-grow
라운드 53~54 CC(Type 4)
라운드 55 Casual
라운드 56~57 Quad SR[65]
라운드 58 CC(Type 4)
라운드 59~60 Casual

1. Ghast라운드 21, 24
1) Sentinel(1명), Ghast(2명)로 나눈다.
2) 라운드 21은 역할 수행 전, 범퍼카를 열어 빠른 발사를 구매를 먼저 해야 한다.

2. CC(Type 1)라운드 22, 27, 28, 30, 32
1) Front: cc-sla의 경계에 서서 p5를 벽샷한다. 그 후, p2 앞으로 가서 mid를 클리어한다.
2) 왼쪽 창문: ult와 p1을 벽샷하고 mid를 클리어한다.
3) cc: alt를 벽샷한 후, 소총 홀로그램을 벽샷해 p34를 클리어한다.

3. CC(Type 2)라운드 36, 38, 48
1) Front: 자이언트를 빠르게 쓰러뜨린 후, mid를 클리어한다.
2) 왼쪽 창문: ult를 벽샷한 후, mid를 돕는다.
3) cc: alt를 벽샷한 후, mid를 돕는다.

4. CC(Type 3)라운드 41, 42, 44, 45
1) Front: 자이언트를 빠르게 쓰러뜨린 후, mid를 클리어한다.
2) 왼쪽 창문: ult를 벽샷한 후, mid를 돕는다. 마지막 웨이브 자이언트가 죽은 후에는 ult에 있는 골렘을 쓰러뜨린다.
3) 오른쪽 창문: mid를 클리어한 후, ent와 tp에 있는 골렘을 쓰러뜨린다.

5. Golem라운드 46
▷ fb를 가진 사람이 댄싱을 하고, 골렘 주의를 끌어온다. 3rd 무기를 사용한다.

6. Spread라운드 23, 26, 29, 31, 33, 34
▷ cc, ult, bc로 1명씩 흩어진다. 각각 p1, p2, p4를 클리어한다.

7. Grow라운드 39, 43, 47 or Non-grow라운드 52
▷ Grow 라운드라면 라운드 시작 후 블롭을 5초 동안 키우며, 3rd 무기를 사용한다.[66] 반면 Non-grow 라운드라면 블롭을 키우지 않는다. 역시 3rd 무기를 사용한다.

8. CC(Type 4)라운드 53, 54, 58
1) Front(1명): 모든 적들의 주의를 끌어온다.
2) cc(2명): 자이언트와 광대를 쓰러뜨린다.

☆ 라운드 25, 35는 3rd 무기를 함께 사용한다.


• 라운드 61~100
- 라운드별 버티기 장소를 잘 숙지한다.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 라운드 61~100 공략 정리표(펼치기/접기) ]
||<tablebordercolor=#151515><tablebgcolor=#151515><tablealign=center> 라운드 || 버티기 장소 ||
라운드 61~67 CC
라운드 68 Ult
라운드 69 Opp-pc
라운드 70 Ult
라운드 71~77 CC
라운드 78 Ult
라운드 79 Opp-pc
라운드 80 Ult
라운드 81~83 CC
라운드 84~85 Alt
라운드 86 CC
라운드 87 Alt
라운드 88~90 Ult
라운드 91~93 CC
라운드 94~95 Alt
라운드 96 CC
라운드 97 Alt
라운드 98~100 Ult

1. 라운드 X1~X3, X6에는 Sla(cc-sla)를 함께 사용한다.
2. 라운드 X2에는 역할을 나눈다.
1) left window: p1을 벽샷한다.
2) Alt-ws & right window: alt를 벽샷한다.
3) mid: mid를 클리어한다.

3. 라운드 X8에는 Ledge, alt+ent golem, Ult golem 역할로 나눈 Ledge strat을 사용한다.
4. 라운드 X0은 No-alt Ledge 전략을 사용한다.


• 라운드 101~105
-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
파일:AA Trio 1시간 25분.png
World record(legit)
파일:AA Trio 1시간 7분.png
World record(Unlegit)

[1] Kill Steal이라는 뜻이다.[2] 중앙에서 떨어지는 좀비들을 산탄총 전탄 크리티컬로 잡는 기술[3] 라운드 12와 라운드 16에 보초병을 잡으면 된다.[4] "R26, 34 only glow strat"이라고도 불린다.[5] Gate는 블롭들이 끼기에 좀 느리다.[6] 웨이브 시작 후 22초[7] DPS가 낮거나 GD-RR 유저가 2명 이하[8] GD-RR 유저가 3명 이상[9] GD-RR set이 2명 이하[10] GD-RR 3명 이상[11] Unlegit(Fotw + No-reload gun 사용) 기록은 1:02:43이다.[12] 골드가 충분하고 무기가 1개만 부족하다면 그 전에 얻어도 된다.[13] p5 window라고도 불린다.[14] 중앙에서 떨어지는 좀비들 처리를 말한다.[15] p1 window에서 p2 window를 벽샷하면 된다.[16] p4 window에서 p3 window를 벽샷하면 된다.[17] 라운드 12와 라운드 16에 보초병을, 라운드 18과 라운드 19에 가스트를 죽여주면 된다.[18] 자이언트 출현 후에는 블롭이 나오지 않으므로 의미가 없다.[19] 라운드 16에는 보초병 보조도 해줘야 한다.[20] 이 때, 지렁이 좀비도 나오기 때문에, 지렁이 좀비를 산탄총으로 죽여 아기 지렁이를 남기지 않게끔 하고, 다른 좀비를 소총으로 죽이는 걸 추천한다.[21] p3 소총 -> p4 산탄총 -> ks 소총 순으로 사격하여 창문을 클리어한다.[22] 라운드 10, 15, 16과 비슷하지만 tp 슬라임은 p3p4가 죽인다.[23] cc sla의 경계선은 상자 위에 방벽(Barrier)이 있는 기존 cc에서 왼쪽 창문까지이다. 만일 1m라도 앞으로 나간다면 ult window에 적이 스폰이 되므로, 조심하자.[24] 골렘 라운드에는 오른쪽 창문으로 이동해 골렘을 죽인다.[가장중요] 위 두 역할의 경우, 미수행 시 2~3초 정도만 더 걸리지만, 이 역할을 미수행하면 5~6초가 넘게 소요된다![26] p4 벽샷은 조금만 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된다.[27] 저 각도로 쏘면 p3이 클리어되고, 운이 좋으면 p2까지 클리어된다.[28] 자이언트가 소환되면 불가능하므로, 자이언트 없는 라운드에만 가능하다.[29] 같은 Grow 라운드인 라운드 33에 cc sla를 쓰는 전략도 있지만, 핵을 사용하는 전략이다.[30] CC에 자리잡아야 할 유저는 상자가 필요한 유저여야 한다.[31] 이 유저는 번개 막대 기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32] Type 1과 같이, CC에 자리잡아야 할 유저는 상자가 필요한 유저여야 한다.[33] 이 라운드에서 bc 유저는 웨이브 2에 골렘 주의를 끌고 번개를 내리치면 된다.[34] 이 역할은 매우 어려우므로, 영상을 참조하길 바란다.[35] Rail이란, 범퍼 카 내부 철창이 있는 코너 부분. BC의 맞은편이라고 보면 된다.[36] 박멸기를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37] 첫 웨이브가 시작되기 전까지를 뜻한다.[38] 웨이브 1에 번개를 내리친 이후이다.[39] 웬만하면 라운드 98에는 alt와 ult가 Ledge를 도와주는 걸 추천한다.[40] 추가로, 골렘은 골렘이 죽을 때까지 밀어야 한다.[41] 플레이 타임을 1시간 07분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42] 공원 입구(Park Entrance)쪽만 외우면 된다. 나머지는 이름이 직관적이라 크게 안 외워도 된다.[43] 이 경우에는 라운드 9에 적들을 느리게 천천히 쓰러뜨리며 시간을 좀 벌어야 한다.[44] 여기서 치명타가 뜨지 않는다는 것은 곧 "Ledge strat" 전략을 사용하는 라운드 역시 치명타가 뜨지 않는다는 것이며, 이는 No death을 할 수 없다는 뜻으로 직결된다.[45] 웨이브당 2마리씩 스폰되므로, 기본 무기만 가지고는 생각보다 DPS가 많이 필요하다.[46] 각도는 [math(-170.1)]정도에서 발사하면 된다.[47] 다만, eco를 위해서 웨이브 1 블롭 정도는 Grow 가능하다.[48] 박멸기가 있다면 보초병은 1명만 담당한다. 남은 한 명은 타 역할 담당자들을 돕는다.[49] 블롭 라운드지만 보초병 때문에 흩어지면 시간 손해가 커진다.[50] 창문에서 적 스폰이 안되므로 SLA를 할 필요도, WSS를 할 필요도 없다.[51] 총기를 사용하면 블래스터들이 밖으로 밀려나가기에 번개의 효율이 떨어진다.[52] 박멸기를 사용하면 가까운 곳에 소환된 블레이즈가 옆으로 밀리기에 쓰러뜨리는 시간이 지연된다.[53] 낮은 라운드인 경우에는 10마리만 맞아도 충분하다.[54] 행운의 상자 홀로그램을 통해 대략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55] 공원 입구(Park Entrance)쪽만 외우면 된다. 나머지는 이름이 직관적이라 크게 안 외워도 된다.[56] 이 경우에는 라운드 9에 적들을 느리게 천천히 쓰러뜨리며 시간을 좀 벌어야 한다.[57] 여기서 치명타가 뜨지 않는다는 것은 곧 "Ledge strat" 전략을 사용하는 라운드 역시 치명타가 뜨지 않는다는 것이며, 이는 No death을 할 수 없다는 뜻으로 직결된다.[58] 가장 돈이 많기 때문이다.[59] 인스타킬이라면 벽샷을 써야한다.[60] 필요하다면 FR도 구매해도 된다.[61] "Zombies Addon"에 있는 'Wave Delay Mod'를 사용해도 된다.[62] 이를 위해서 라운드 11 웨이브 1의 적들을 웨이브 2가 시작한 이후에 죽여야 한다.[63] 인원 언급이 없다면 1명이 맡는다.[64] 일반적인 공략과 동일하다는 뜻이다.[65] 쿼드 스피드런과 동일하다는 뜻이다.[66] 라운드 47 한정으로, Eco에 따라 10초까지 키울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