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 개요
한국의 NGG에서 개발한 댄스 리듬 게임. 2000년 출시. 업그레이드 버전인 'D-Tech'의 이름을 따 '디텍'이라고도 한다.2. 상세
이지투댄서처럼 발판 패널과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다. 대각선 방향으로는 발판이 있고, 상하좌우로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는 이지투댄서나 댄스매니악스와는 달리 기체 상단부에만 설치되어 있어서 플레이어는 방해물 없이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다.그래픽은 좀 수수한 편이었고, BGA도 배경에 프리렌더링된(폴리곤이 아닌) 3D댄서가 춤추는 모습이 전부였지만, 수록곡은 대부분 90년대 말~2000년대 초의 K-POP이고, 일부 외국 아티스트의 곡도 있다. 채보가 실제 춤 동작과 비슷하게 짜여져서 화제가 되었다.
중국 수출 당시의 판촉 포스터. 제목이 바뀐것을 확인할수 있으며 중국 수출판인데도 뜬금없이 어설픈 일본어가 적혀져있다.[2]
당시에는 나름대로 매니아도 있었고 3DDX만 전문으로 다루는 동호회도 있었으나, 1차 리듬게임 붐이 꺼진 이후 한국에서는 가동되던 기계가 전부 사라지고 말았다. 대부분의 기계는 중국, 동남아(드물게는 동구권) 및 기타 개발도상국 등 해외로 빠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에서 마지막까지 3DDX를 가동하던 게임장은 2007년 문을 닫은 이대 와와 게임장이었다. 댄스 댄스 레볼루션 3rdMIX, 키보드매니아, 파라파라 파라다이스 등 오래되고 희귀한 리듬 게임이 많았기 때문에 일부 리듬 게임 유저들이 자주 찾았으나 폐업하고 돈가스 집이 되고 말았다.
최후의 커뮤니티로 NGG 3DDX CLUB이라는 곳이 존재했었다. 카페이름에 제작사인 NGG가 있는 것으로 봐서 제작사에서 직접 지원한 공식 커뮤니티라고 볼 여지도 있지만 상세한건 불명. 2005년까지만해도 유저들이 활발했으나, 상술한대로 2007년 마지막 국내 3DDX가 사라지고 가끔 과거를 회상하는 회원이 몇년에 한번씩 글을 올린것을 제외하면 사실상 유령 커뮤니티가 된것으로 보여진다.
3. 수록곡
초대작 기준 스테이지 별 노래 총 29곡. 팝송 리메이크는 굵은 글씨 표시. 업그레이드판인 D-Tech도 추가 수록곡은 있는데, 어떤 노래가 수록되었는지 확인이 불가능하다.- 1TYM - 1TYM
- Peak-A-Boo - Bang Bang Baby[3]
- 스페이스 A - Cool Love
- Everybody On The Groove...[4]
- 나라 - First Revolution
- G.O.D. - Friday Night
- Kyria - Gennie In A Bottle
- 듀크 - Good Night
- 샤크라 - Hey U
- 박진영 - Honey
- 풀스 가든 - Lemon Tree
- 로우 베가 - Mambo No. 5
- 블론디 - Maria
- DJ DOC - Run To You
- 박지윤 - Steal Away
- 아치스 - Sugar, Sugar
- 발티모라 - Tarzan Boy
- YNot? - Time
- 타샤니 - 경고
- 룰라 - 날개 잃은 천사
- YNot? - 단심가
- O-24 - 몰라몰라
- 젝스키스 - 무모한 사랑
- 베이비복스 - 배신
- 클론 - 빙빙빙
- 박지윤 - 성인식
- SHELL - 작은 사랑(주유소 습격사건 OST)
- S#ARP - 잘됐어
- 쿨 - 해석남녀
4. 중국산 아류작→정신적 후속작
중국에는 아직도 3DDX를 플레이하는 유저가 있다고 하며, 거기다가 중국 내수시장에서는 광저우 AAM이라는 회사가 3DDX와 펌프 잇 업의 조작계를 합친 e舞成名(E 우청밍 / 영어권에서는 E-Dance Super Station 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짐[5] / 바이두 백과 정보)이라는 아류작도 내놓았다.[6][7] AAM은 E우청밍을 만들기에 앞서서 E우청밍의 프로토타입격인 4DDS라는(사실상 3DDX 짝퉁) 게임을 만들었다.[8] 그리고 그걸 개량한게 E우청밍인데 2010년대 이후로는 E우청밍이 중국 수출분 3DDX의 지분을 대체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후 E우청밍 후속작으로 E5MNQ(공식 홈페이지는 한국 IP가 차단되어있다)라는 물건도 나왔는데 소프트웨어는 다시 스텝매니아 기반으로 되돌아갔다. [9]한편 대륙 아니랄까봐 짭의 짭도 나왔는데 슝예게임즈[10]에서 만든 우왕쩡바(舞王争霸, King of Dancer)라는 게임이다. 이 게임은 e우청밍과 달리 발판 입력부가 4개다.[11] 염가형으로 우왕쩡바X라는 게임도 있는데 센서는 없어지고 그냥 펌프식 발판 5개만 남았다. 즉 이쪽은 오히려 중국산 펌프 짭짭에 가깝다.
5. 염가형 및 가정용 파생작?
NGG에서는 3DDX뿐 아니라, 저가형 파생작인 댄스 스테이션 스테퍼도 개발했다. 그러나 원래 특유의 센서를 이용한 게임성이 죽어버리고, 펌프와 동일한 5발판을 이용한 흔한 아류작에 지나지 않았다. 한국에도 있었으나 기계가 풀리지 못한듯.한편 이 댄스 스테이션 스테퍼는 PC로도 이식되었는데, 장판이 9방향이지만 아케이드와 달리 DDR식 4발판 게임이며, 다른 게임모드를 통해 5발판 모드도 지원한다고 한다. 그러나 테크노모션과 차별화되지 못한건지 뭔지 모르지만 이 역시 잘 알려지지 않았다.
한편, NGG에서는 북미 시장 한정으로, 디지털 댄스 스테이션이라는 가정용 댄스게임을 팔았는데, 이 역시 8(+1?)방향 장판을 동봉해서 팔았다. 수록곡들은 대부분 3DDX에 수록된 가요곡들이 동일하게 수록되어있지만 프로그램의 알맹이는 3DDX의 이식이 아니라 초창기 DDR류 댄스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이었던 DDR'99[12]의 (무단)개조판으로 보여진다.
6. 기타
- 당시 개발자 혹은 테스팅 플레이어로 추정되던 인물의 유튜브인데, 중국에서 유통되는 e우청밍 관련 TikTok 영상을 편집해서 올린뒤, 과거 3DDX 게임에 대한 회고를 짧게 영상 본문에 언급한 바가 있다. #
- Zenius -I- Vanisher 닷컴에서 한 유저가 3DDX의 수록곡을 스텝매니아계 시뮬레이터인 Project Outfox용으로 복각하는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다. # 3DDX 가요뿐만 아니라 중국판 등에 수록된 곡 일부도 포함되고 있다는듯.
7. 참고 URL
- Zenius -I- vanisher 닷컴의 3DDX 스레드
[1] 상단은 3DDX 하단은 D-Tech 버전 기체인듯하다.[2] 그런데 캐릭터 모델링은 뜬금없이 오디션에 나오는 캐릭터 닮았다. 3DDX 게임에서 저렇게 생긴 아바타가 나오는 건 금시초문이다. 중국측에서 만든 판촉 포스터인데 중국측 디자인 업체가 도용했을 가능성도 있다.[3] 유로비트로 유명한 사이팜 소속 아티스트[4] 해당 게임 유일의 오리지널 곡이다.[5] 한국에서는 전직 개발자가 4DDX라는 별칭으로서 언급한 바가 있다. 원작이나 중국 아류작이나 한국에선 마이너한 게임이라 리듬게임 유저들 사이에서 널리 쓰이는 통칭이라기보단 전직 개발자가 임의로 붙인 별칭에 가깝다. 하단 유튜브 링크 참조.[6] 아마도 AAM이라는 회사는 본시 3DDX 기계를 중국에 수입 및 유통하던 업체로 추정된다. 한 외국인이 아카이빙한 것으로 보이는 중국의 3DDX 지역대회 영상을 보면 좌상단에 AAM이라는 업체 이름이 워터마크로 박혀있다. 표기되는 홈페이지 주소는 EZ2Dancer를 의식한 것 같지만 그것과도 관련이 없고 물론 EZ DO DANCE와도 관련없다.[7] E우청밍에서는 오투잼과 Deemo의 곡들도 확인되고있으나 라이센스 관련 이야기가 크게 없는 것으로 보아 대륙답게 악곡수록 저작권은 말아먹은 것으로 보인다.[8] 4DDS는 스텝매니아 기반으로 돌아간다.[9] 참고로 E우청밍도 가정용 이식이 존재한다. Dance Home E5라는 이름으로 알려져있으며, 펌프를 베낀 발판파트야 당연히 패드로 나왔다,(그런데 만듦새에 신경썼는지 일반적인 비닐장판이 아닌 플라스틱 소재 기반으로 보인다) 3DDX에서 차용한 센싱 관련은 3D 카메라를 통해 구현하는것으로 대체되었다. 리뷰(비리비리).[10] 아이스맨(건슈팅 게임)만든 회사다.[11] 그냥 단순 3DDX처럼 대각선 화살표이며, 펌프 잇 업에 가운데 발판만 없다고 보면 된다.[12] 기본 확장자로 .msd를 쓴다. Flash Terminal 시뮬레이터의 DDR모드 등과 더불어 초창기의 DDRlike 시뮬레이터였으나 이후 DDRlike 시뮬레이터가 스텝매니아로 대동단결하면서 묻혀졌다. 참고로 초창기 Be-music Script 2000을 무단상업화한 DJ BEAT와 마찬가지로 이 시뮬레이터 역시 다이어트 다이어트 레볼루션 99'라는 이름으로 댄스매트 동봉되어서 무단상업화된 적이 있다. 번들로 포함된 댄스매트의 품질은 조악했다는 증언만 남아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