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pad> {{{#!wiki style="background-image: conic-gradient(#1d1b1e 25%, #dc3030 25% 50%, #1d1b1e 50% 75%, #dc3030 75%); background-size: 10px 10px" {{{#!wiki style="padding: 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1b1e 10px, transparent 10px 25px, #1d1b1e 25px 34px, #C5B174 34px 35px, #1d1b1e 35px calc(100% - 35px), #C5B174 calc(100% - 35px) calc(100% - 34px), #1d1b1e calc(100% - 34px) calc(100% - 25px), transparent calc(100% - 25px) calc(100% - 10px), #1d1b1e calc(100% -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 경기 일정 |
그룹 스테이지 (9/13~9/23) | A조 | B조 | C조 | D조 |
플레이오프 (9/26~10/6) | 상위조 | 하위조 | ||
결승 | ||||
결산 |
<colcolor=white>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 우승 |
|
첫 번째 우승 ★ |
1. 개요
NRG Esports | Fnatic |
| |
|
2. 리그별 진출 팀
2.1. AMER: 1/3
| ||
| | |
NRG | G2 | MIBR |
2-0 | 1-2 | 1-2 |
vs FNC (직행전) | vs DRX | vs DRX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결산#s-4.1|4.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결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CN: 0/0
플레이오프 진출팀 없음.#!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결산#s-4.4|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결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EMEA: 1/3
| ||
| | |
TH | FNC | GX |
1-2 | 3-1 | 1-2 |
vs PRX | vs DRX (진출전) | vs TH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결산#s-4.2|4.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결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4. PAC: 0/2
| |
| |
PRX | DRX |
0-2 | 1-3 |
vs DRX | vs FNC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결산#s-4.3|4.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결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경기 전 정보
결승 팀별 통계 | ||
NRG Esports | <colbgcolor=white,#1f2023><colcolor=black,white> | Fnatic |
83% (86%) | 승률 (PO 승률) | 65% (58%) |
| ||||
14승 | DEF | 총 36세트 | ATK | 22승 |
| |||||||
순위 | 요원 | 픽률 | |||||
1 | % | ||||||
2 | % | ||||||
3 | % | ||||||
4 | % | ||||||
5 | % | ||||||
6 | % | ||||||
7 | % | ||||||
8 | % | ||||||
9 | % | ||||||
10 | % | ||||||
11 | % | ||||||
12 | % |
3.1. Road to the Final
결승 이전 경기 결과 | ||
| <colbgcolor=#c5b174,#c5b174><colcolor=#fff> | |
2-0 승 (vs. EDG) | 그룹 | 2-0 승 (vs. RRQ) |
- | - | |
2-1 승 (vs. DRX) | 2-1 승 (vs. MIBR) | |
2-0 승 (vs. GX) | 플레이오프 | 2-1 승 (vs. DRX) |
2-1 승 (vs. MIBR) | 2-1 승 (vs. PRX) | |
- | - | |
2-0 승 (vs. FNC) | 0-2 패 (vs. NRG) | |
- | 3-1 승 (vs. DRX) | |
10승 2패 (83%) | 세트 전적 | 11승 6패 (65%) |
?승 ?패 (?%) | DEF | ?승 ?패 (?%) |
?승 ?패 (?%) | ATK | ?승 ?패 (?%) |
3.2. 관련 영상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 결승 티저 |
4. 경기 전 전망
역대 양 팀 경기 전적 | ||||
경기 | 스코어 | 결과 | ||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 PO 상위조 결승 | - | NRG 승 | ||
2023 발로란트 마스터스 도쿄 PO 상위조 1라운드 3경기 | FNC 2-0 - | FNC 승 | ||
역대 2경기 전적 2전 1승 1패로 백중세 |
4.1. NRG Esports
NRG가 우승할 시 | |
팀 | 1. 팀 역사상 첫 국제 대회 우승이자 챔피언스 우승, 라이엇 주관 대회 우승을 기록하게 된다. 2. Americas 권역은 유일하게 챔피언스를 3번 우승한 권역이 된다.[1] 3. 발로란트 챔피언스 역사상 2번째 전승 우승 팀이 된다.[2] |
개인 | 1. "Ethan" 이선 아놀드는 VCT 역대 최초의 챔피언스 2회 우승 선수가 된다.[3] 2. "skuba" 로건 젱킨스, "brawk" 브록 서머홀더, "s0m" 샘 오, "mada" 애덤 팸퍼치, "strong" 조 에드워드 코치, "bonkar" 말콜름 렝크 감독은 국제 대회 첫 우승 및 챔피언스 첫 우승을 달성하게 된다. 3. skuba, brawk, mada는 본인의 첫 챔피언스에서 우승하게 되어 로얄로드를 달성하게 된다. |
4.2. Fnatic
FNC이 우승할 시 | |
팀 | 1. 팀 역사상 첫 챔피언스 우승을 거머쥐게 된다. 2.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모든 국제 대회 우승을 기록한 팀이 된다.[4][5] 3. EMEA 권역의 2번째 챔피언스 우승을 기록하게 된다.[6] |
개인 | 1. "Boaster" 제이크 하울릿은 역대 최고령 챔피언스 우승자가 되며, IGL로서 마스터스 우승과 챔피언스 우승을 모두 이룩한 전설로 남게 된다. 2. "Chronicle" 티모페이 흐로모프와 "crashies" 오스틴 로버츠는 발로란트 챔피언스에서 유이하게 우승과 준우승을 모두 기록해본 선수가 된다.[7] 3. "Chronicle" 티모페이 흐로모프는 VCT 최초 국제 대회 4회 우승 기록을 달성한다. 4. 크로니클, 알파예르, 보스터는 락//인을 포함한 모든 VCT 국제 대회 우승 기록을 달성한다. 5. 크로니클, 알파예르, 보스터, 크래시스는 전 프로게이머 Sacy에 이어 챔피언스 및 마스터스 우승 기록을 달성한다. 6. 선수단 전원이 첫 챔피언스 우승을 달성하게 된다. 7. "kaajak" 카예탄 하렘스키는 본인의 첫 챔피언스에서 우승하게 되어 로얄로드를 달성하게 된다. |
5. 중계진 승부 예측
<nopad> | |||||||
정용검 | 채민준 | 김수현 | 정인호 | 김진영 | 유정선 | 박동진 | 유태석 |
| | | | | | | |
6. 오프닝 세리머니
7. 경기 내용
| 3 | 2 | | ||||||||
NRG Esports | Fnatic | ||||||||||
○ | ○ | × | × | ○ | × | × | ○ | ○ | × | ||
우승 | 결과 | 준우승 | |||||||||
|
| |||
캐스터 | 해설자 | 분석 데스크 | |
채민준 | 정인호 | 김진영 | 유정선 |
파이널 MVP |
|
브록 서머홀더 (brawk) |
결승전 선발 라인업 | ||
| <colbgcolor=#c5b174,#c5b174> | |
NRG Esports | Fnatic | |
<colbgcolor=#f63d0a,#f63d0a><colcolor=#fff,#fff> 로건 젱킨스 (skuba)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티모페이 흐로모프 (Chronicle) | |
브록 서머홀더 (brawk) | 카예탄 하렘스키 (kaajak) | |
이선 아놀드 (Ethan) | 제이크 하울릿 (Boaster) | |
샘 오 (s0m) | 에미르 베데르 (Alfajer) | |
애덤 팸퍼치 (mada) | 오스틴 로버츠 (crashies) |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결승, bgcolor=c5b174, color=1d1b1e, ateam=NRG, bteam=FNC,
ban1=헤이븐, ban2=바인드,
p_apic=코로드, p_bpic=로터스, p_apic2=어비스, p_bpic2=어센트, p_cpic=선셋,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공격, 4attack=수비, 5attack=수비)]
7.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코로드, set=1, teamD=NRG Esports, teamA=Fnatic
, dplayer1=skuba, dplayer2=brawk, dplayer3=Ethan, dplayer4=s0m, dplayer5=mada
, aplayer1=Chronicle, aplayer2=kaajak, aplayer3=Boaster, aplayer4=Alfajer, aplayer5=crashies
, dpic1=바이퍼, dplayer1kda=10/8/4, dplayer1acs=162
, dpic2=소바, dplayer2kda=24/7/2, dplayer2acs=375, dplayer2mvp=
, dpic3=케이/오, dplayer3kda=11/7/4, dplayer3acs=178
, dpic4=오멘, dplayer4kda=10/8/10, dplayer4acs=190
, dpic5=웨이레이, dplayer5kda=17/10/6, dplayer5acs=295
, apic1=바이퍼, aplayer1kda=6/15/3, aplayer1acs=112
, apic2=요루, aplayer2kda=11/13/0, aplayer2acs=184, aplayer2mvp=
, apic3=아스트라, aplayer3kda=6/15/4, aplayer3acs=121
, apic4=바이스, aplayer4kda=8/16/2, aplayer4acs=144
, apic5=페이드, aplayer5kda=9/13/6, aplayer5acs=168)]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NRG, dscore=13, ateam=FNC, ascore=3
, dfirstk=10, dthrift=0, dpostpwin=3, dpostp=3, dclutch=1
, afisrtk=6, athrift=0, apostpwin=3, apostp=8, aclutch=0)]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 teamD=NRG, teamA=FNC,
1d=, 1a=aelim,
2d=, 2a=aelim,
3d=delim, 3a=,
4d=delim, 4a=,
5d=defuse, 5a=,
6d=defuse, 6a=,
7d=defuse, 7a=,
8d=delim, 8a=,
9d=defuse, 9a=,
10d=delim, 10a=,
11d=, 11a=aelim,
12d=defuse, 12a=,
13d=, 13a=aelim,
14d=, 14a=aelim,
15d=, 15a=aelim,
16d=, 16a=aelim,
17d=, 17a=,
18d=, 18a=,
19d=, 19a=,
20d=, 20a=,
21d=, 21a=,
22d=, 22a=,
23d=, 23a=,
24d=, 24a=,)]
초반에는 알파예르, 크래시스의 활약과 더불어 프나틱 전체의 활약으로 2라운드를 쉽게 따내었지만 3라운드부터 분위기가 NRG 쪽으로 기울기 시작하더니 이든의 수비적인 운영과 브록의 오딘 운영, 폼이 올라올 대로 올라온 마다의 캐리로 인해 프나틱은 결국 전반전을 9:3으로 마무리하게 된다. 이어지는 후반전에도 브록의 공격 오딘 운영과 마다의 캐리로 프나틱은 무기력하게 1세트를 내주게 된다.
7.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로터스, set=2, teamD=Fnatic, teamA=NRG Esports
, dplayer1=Chronicle, dplayer2=kaajak, dplayer3=Boaster, dplayer4=Alfajer, dplayer5=crashies
, aplayer1=skuba, aplayer2=brawk, aplayer3=Ethan, aplayer4=s0m, aplayer5=mada
, dpic1=바이퍼, dplayer1kda=12/12/5, dplayer1acs=186
, dpic2=레이즈, dplayer2kda=21/15/4, dplayer2acs=313, dplayer2mvp=
, dpic3=오멘, dplayer3kda=9/14/7, dplayer3acs=163
, dpic4=킬조이, dplayer4kda=11/13/1, dplayer4acs=173
, dpic5=페이드, dplayer5kda=7/16/7, dplayer5acs=107
, apic1=바이퍼, aplayer1kda=13/9/4, aplayer1acs=175
, apic2=바이스, aplayer2kda=14/13/8, aplayer2acs=203
, apic3=페이드, aplayer3kda=13/12/4, aplayer3acs=158
, apic4=오멘, aplayer4kda=10/13/6, aplayer4acs=160
, apic5=레이즈, aplayer5kda=20/13/4, aplayer5acs=275, aplayer5mvp= )]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FNC, dscore=6, ateam=NRG, ascore=13
, dfirstk=10, dthrift=2, dpostpwin=3, dpostp=4, dclutch=1
, afisrtk=9, athrift=0, apostpwin=9, apostp=10, aclutch=0)]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 teamD=FNC, teamA=NRG,
1d=, 1a=aelim,
2d=, 2a=aelim,
3d=, 3a=aelim,
4d=delim, 4a=,
5d=, 5a=boom,
6d=, 6a=aelim,
7d=, 7a=aelim,
8d=, 8a=,
9d=, 9a=aelim,
10d=delim, 10a=,
11d=, 11a=aelim,
12d=defuse, 12a=,
13d=, 13a=aelim,
14d=, 14a=aelim,
15d=delim, 15a=,
16d=defuse, 16a=,
17d=delim, 17a=,
18d=, 18a=boom,
19d=time, 19a=,
20d=, 20a=,
21d=, 21a=,
22d=, 22a=,
23d=, 23a=,
24d=, 24a=,)]
NRG의 압승으로 로터스를 무리 없이 가져갔다. 브록의 오딘이 로터스에서도 불을 뿜었고 필요할 때마다 시원시원하게 킬 내주는 마다, 스팅어로 오딘을 잡아내는 등 질 뻔한 라운드를 가져온 이든, 뛰어난 심리전과 단단한 에임의 샘, 팀원들을 확실하게 받쳐주며 보좌한 스쿠바까지 전체적으로 NRG의 무빙과 에임이 프나틱보다 확실하게 위에 있다는 점을 보여준 세트. 전반에만 9 대 3으로 앞서나간 NRG가 프나틱을 무난하게 잡아냈다. 프나틱이 후반부에 정신을 차린 듯 추격을 시도해보았으나 역부족이었고 결국 13 대 6으로 패배하고 말았다.
7.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어비스, set=3, teamD=NRG Esports, teamA=Fnatic
, dplayer1=skuba, dplayer2=brawk, dplayer3=Ethan, dplayer4=s0m, dplayer5=mada
, aplayer1=Chronicle, aplayer2=kaajak, aplayer3=Boaster, aplayer4=Alfajer, aplayer5=crashies
, dpic1=바이스, dplayer1kda=22/15/4, dplayer1acs=216
, dpic2=소바, dplayer2kda=20/17/9, dplayer2acs=222, dplayer2mvp=
, dpic3=오멘, dplayer3kda=17/16/10, dplayer3acs=183
, dpic4=하버, dplayer4kda=13/22/5, dplayer4acs=129
, dpic5=요루, dplayer5kda=15/18/3, dplayer5acs=153
, apic1=브리치, aplayer1kda=17/19/8, aplayer1acs=167
, apic2=웨이레이, aplayer2kda=24/19/4, aplayer2acs=247, aplayer2mvp=
, apic3=아스트라, aplayer3kda=11/17/10, aplayer3acs=130
, apic4=사이퍼, aplayer4kda=14/17/5, aplayer4acs=136
, apic5=소바, aplayer5kda=22/15/7, aplayer5acs=221)]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NRG, dscore=13, ateam=FNC, ascore=15
, dfirstk=12, dthrift=0, dpostpwin=2, dpostp=9, dclutch=0
, afisrtk=16, athrift=0, apostpwin=3, apostp=7, aclutch=0)]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 teamD=NRG, teamA=FNC,
1d=defuse, 1a=,
2d=defuse, 2a=,
3d=time, 3a=,
4d=, 4a=aelim,
5d=delim, 5a=,
6d=delim, 6a=,
7d=delim, 7a=,
8d=defuse, 8a=,
9d=delim, 9a=,
10d=defuse, 10a=,
11d=delim, 11a=,
12d=delim, 12a=,
13d=delim, 13a=,
14d=defuse, 14a=,
15d=defuse, 15a=,
16d=defuse, 16a=,
17d=time, 17a=,
18d=, 18a=aelim,
19d=delim, 19a=,
20d=delim, 20a=,
21d=defuse, 21a=,
22d=defuse, 22a=,
23d=defuse, 23a=,
24d=defuse, 24a=,)]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연장2, teamD=NRG, teamA=FNC,
25d=, 25a=aelim,
26d=, 26a=aelim,
27d=, 27a=aelim,
28d=delim, 28a=,)]
"프나틱이 지옥에서 돌아왔습니다!"
채민준
채민준
"진짜 지옥문 그 안에서 살아 돌아왔어요!"
김진영
김진영
처음부터 압도하는 스쿠바의 공격적인 수비력과 프나틱에게 아주 치명적인 오딘 운영을 선보이는 브록과 더불어 마다의 캐리로 전반전까지 NRG가 11:1로 압도하며 챔피언스 역사상 가장 일방적인 결승으로 경기를 마무리하기 직전까지 갔으나, 프나틱이 피스톨 라운드를 가져가고 보스터의 티배깅과 올라오는 프나틱의 폼으로 게임의 승기를 잡고 분위기를 되살리게 되어 후반전을 똑같이 11:1로 되돌려주며 연장전을 향하더니 기어이 2차 연장 끝에 역전승을 거두고 벼랑 끝에서 살아 돌아왔다.
그야말로 프나틱의 2025 최대의 역전 세트이자 인생 경기로 11 대 1로 뒤처진 절체절명의 순간, 심지어 이후 12 대 6으로 한 번만 미끄러져도 패배하는 그 마지막 순간 프나틱이 선택한 건 적극적인 전진이었다. 미드 점거를 시작으로 프나틱의 에임과 심리전이 살아나기 시작하면서 벼랑 끝에 몰린 상황에서 되돌아왔다. NRG는 이전 로터스와 비슷할 정도로, 아니 훨씬 더 유리한 고지에 있었음에도 프나틱에 패배했다. 어비스를 고른 이유를 보여주긴 했으나 방점을 찍지 못하고 패배하고 말았다.
7.4. 4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어센트, set=4, teamD=NRG Esports, teamA=Fnatic
, dplayer1=skuba, dplayer2=brawk, dplayer3=Ethan, dplayer4=s0m, dplayer5=mada
, aplayer1=Chronicle, aplayer2=kaajak, aplayer3=Boaster, aplayer4=Alfajer, aplayer5=crashies
, dpic1=바이스, dplayer1kda=16/19/2, dplayer1acs=204
, dpic2=소바, dplayer2kda=15/13/10, dplayer2acs=218
, dpic3=케이/오, dplayer3kda=13/15/8, dplayer3acs=164
, dpic4=오멘, dplayer4kda=17/18/7, dplayer4acs=246, dplayer4mvp=
, dpic5=제트, dplayer5kda=10/14/4, dplayer5acs=145
, apic1=바이스, aplayer1kda=18/16/7, aplayer1acs=221
, apic2=요루, aplayer2kda=18/13/4, aplayer2acs=222
, apic3=오멘, aplayer3kda=6/12/9, aplayer3acs=103
, apic4=세이지, aplayer4kda=23/14/4, aplayer4acs=299, aplayer4mvp=
, apic5=소바, aplayer5kda=14/16/10, aplayer5acs=202)]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 dteam=NRG, dscore=8, ateam=FNC, ascore=13
, dfirstk=9, dthrift=0, dpostpwin=4, dpostp=7, dclutch=0
, afisrtk=12, athrift=0, apostpwin=8, apostp=10, aclutch=1)]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 teamD=NRG, teamA=FNC,
1d=defuse, 1a=,
2d=defuse, 2a=,
3d=delim, 3a=,
4d=, 4a=aelim,
5d=, 5a=boom,
6d=, 6a=aelim,
7d=, 7a=aelim,
8d=, 8a=boom,
9d=, 9a=boom,
10d=delim, 10a=,
11d=, 11a=aelim,
12d=, 12a=aelim,
13d=defuse, 13a=,
14d=delim, 14a=,
15d=, 15a=aelim,
16d=defuse, 16a=,
17d=, 17a=aelim,
18d=, 18a=aelim,
19d=, 19a=aelim,
20d=defuse, 20a=,
21d=time, 21a=,
22d=, 22a=,
23d=, 23a=,
24d=, 24a=,)]
" 프랑스 파리의 석양을 못 보는 줄 알았는데, 결국 선셋으로 갑니다!"
채민준
채민준
초반엔 NRG가 3 대 0으로 리드하며 '이전 어비스의 패배는 사고에 불과했다'를 시전하는 듯했으나 4라운드 프나틱이 셰리프로 오퍼레이터와 오딘을 잡아내는 정신 나간 클러치를 시작으로 기세를 올려 단번에 6라운드를 승리로 장식한다. 이후에도 프나틱이 중요한 순간마다 라운드를 따내 13 대 8로 승리하며 챔피언스 전통의 마지막 5세트로 향하게 된다.
프나틱의 고점이 드러났던 경기. 중요한 순간마다 번갈아가며 클러치를 해주고 감시자들이 확실한 마무리를 해주면서 어센트에서 승리를 가져갔다. 이전에 속절없이 얻어터졌던 오딘에 대한 대처도 어느 정도 보여줬고 기세를 확실히 올려 5세트로 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7.5. 5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1/심플, map=선셋, set=5, teamD=Fnatic, teamA=NRG Esports
, dplayer1=Chronicle, dplayer2=kaajak, dplayer3=Boaster, dplayer4=Alfajer, dplayer5=crashies
, aplayer1=skuba, aplayer2=brawk, aplayer3=Ethan, aplayer4=s0m, aplayer5=mada
, dpic1=사이퍼, dplayer1kda=13/15/5, dplayer1acs=197
, dpic2=요루, dplayer2kda=16/15/2, dplayer2acs=227
, dpic3=오멘, dplayer3kda=6/15/9, dplayer3acs=113
, dpic4=네온, dplayer4kda=16/15/5, dplayer4acs=253, dplayer4mvp=
, dpic5=페이드, dplayer5kda=7/14/6, dplayer5acs=141
, apic1=사이퍼, aplayer1kda=15/9/2, aplayer1acs=201
, apic2=소바, aplayer2kda=11/11/11, aplayer2acs=203
, apic3=브리치, aplayer3kda=23/12/9, aplayer3acs=355, aplayer3mvp=
, apic4=오멘, aplayer4kda=13/12/9, aplayer4acs=160
, apic5=네온, aplayer5kda=12/14/5, aplayer5acs=191)]
[include(틀:발로란트/인게임,
dteam=FNC, dscore=5, ateam=NRG, ascore=13
, dfirstk=7, dthrift=0, dpostpwin=2, dpostp=5, dclutch=0
, afisrtk=11, athrift=0, apostpwin=8, apostp=10, aclutch=0)]
[include(틀:발로란트/라운드, teamD=FNC, teamA=NRG,
1d=defuse, 1a=,
2d=delim, 2a=,
3d=, 3a=aelim,
4d=, 4a=aelim,
5d=, 5a=aelim,
6d=, 6a=boom,
7d=, 7a=aelim,
8d=, 8a=aelim,
9d=, 9a=aelim,
10d=defuse, 10a=,
11d=, 11a=boom,
12d=, 12a=boom,
13d=, 13a=aelim,
14d=, 14a=boom,
15d=defuse, 15a=,
16d=defuse, 16a=,
17d=delim, 17a=,
18d=defuse, 18a=,
19d=, 19a=,
20d=, 20a=,
21d=, 21a=,
22d=, 22a=,
23d=, 23a=,
24d=, 24a=,)]
NRG의 공격으로 시작했으나, 프나틱이 역전으로 기세를 탄 듯 피스톨 승리 후 2라운드를 가져가며 우승컵에 가까이 다가는 듯했다. 그러나 NRG의 각성으로 2 대 0인 스코어를 7연승으로 2 대 7로 만든 뒤 공격을 9 대 3으로 마무리하며 분위기를 완전히 뒤집어 놓는다. 특히 독기가 오른 듯한 NRG의 공격에 프나틱이 정신을 못 차리며 털려나갔고 에임도 흔들리기 시작해서 오퍼 미스부터 자잘한 실수가 나오기 시작했다. 공수 전환 후 프나틱의 공격 피스톨 승리 후 9 대 5로 따라가는 모습을 보였으나 NRG가 찬물을 제대로 뿌리며 10 대 5로 점수를 벌려놓는다.
실질적으로 승부가 정해진 라운드인 16 라운드에서 이든이 파괴적인 캐리로 라운드를 가져온다. 팀원이 1명 잘린 상황에서 NRG가 미드 전진을 나갔고 이든이 정확한 에임으로 2명을 정리후 A 사이트로 오는 적팀 2명을 정리, 총 4명을 잡아내며 지진강타를 만든다. 급했는지 지진강타 미스로 카약에게 억지 설치를 허용하고 죽었지만 스쿠바가 마무리하며 11 대 5 큰 점수차로 따돌리며 점수를 벌린다.[8]
11 대 5 상황에서 NRG는 기세가 오를 대로 올랐고 프나틱은 이미 가라앉은 분위기였다. 이후 뭔가를 시도조차 못 한 채 프나틱은 무너지며 13 대 5로 패배한다.
이든의 브리치가 그야말로 선셋의 지배자로 군림했다. 공격에만 3번의 지진강타를 사용하며 사이트를 밀어버렸고 제일 중요한 16 라운드에서 분위기를 굳히며 본인의 챔피언스 2회 우승을 직접 결정지었다.
프나틱은 이길 수 있던 재활용 라운드를 패배한 것을 기점으로, 이길 수 있던 몇 개의 라운드를 연달아 놓치며 걷잡을 수 없이 무너지고 말았다. 특히나 퍼스트 킬을 만들면서 5대4나 4대3 정도로 인원 수 차이를 만든 라운드가 꽤나 많았는데, 모두 잡았다면 오히려 프나틱이 전반전을 리드로 마무리할 수 있었기에 더욱 아쉽게 됐다.
여담으로 양 팀 다 챔피언스 선셋 승률이 0% 였고 결승전 5세트에서 패배 징크스가 깨지게 되는 세트였다. NRG가 승리하며 챔피언스 우승컵을 들어 징크스를 깨게 되었고 프나틱은 승률 0%를 유지하게 되었다. 이긴 팀도 진 팀도 그야말로 평생 못 잊을 경험을 한 셈.
8. 총평
|
이날 타격대 대결에서는 마다가 대체로 에임이 불안한 모습을 보여준 반면, 카약은 3세트 어비스에서 KDA 이상의 영압을 보여주면서 기적적인 역전승을 이뤄냈고 이후로도 완벽하게 영점이 잡혀 전반적으로 에임이 불안했던 프나틱에서 유일하게 구세주 같은 활약을 펼쳤으나 승부는 다른 지점에서 갈렸다.
카약이 자연재해 수준의 천외천 캐리력을 펼친 어비스와 프나틱이 강점이 있던 전장인 어센트를 제외하면 코로드, 로터스, 선셋에서는 NRG가 줄곧 상대의 수를 완벽하게 읽고 있는 듯한 운영을 펼쳤다. 단순히 IGL 대결에서 밀린 것을 넘어서 프나틱의 동선과 심리를 정확하게 타파하며 카운터 전략으로 응수했고, 패배한 3개의 전장에서 양 팀 간의 차이는 너무나도 컸다.
프나틱은 시간을 소모하면서 최소한의 자원만으로 상대의 스킬을 빼거나, 정보를 취득하고 곳곳에서 얻은 정보를 빠르게 갈무리하여 공격 팀의 마지막 턴인 40초가 남은 시점에 한점 돌파를 하는 택틱을 곧잘 선보여왔으며 실제로 이 택틱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팀이 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날 NRG는 상대의 시비에 절대 과민 반응하지 않고 굳이 상대를 찾으러 나가는 등 수비 팀의 조급한 플레이를 특히 경계하며 플레이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브룩의 오딘이 있었다. 상대는 온 맵에 흩어져있는 마지막 40초 구간에 한점 돌파를 통해 인원수와 스킬 개수 이득으로 교전을 유리하게 가져가는 프나틱의 택틱에는 한 가지 결함이 있는데, 그 한 턴을 막아낸다면 시간이 없기 때문에 그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패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는 크로니클과 알파예르라는 세체급 감시자를 둘이나 보유한 프나틱이기에 가능한 것이었는데 문제는 이날 이 두 선수의 에임이 모두 정상 궤도에 오르지 못했다는 것이다. 최소한의 자원으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꼬리의 전진 영역이 대단히 중요했음에도 영역을 오히려 상대에게 내주면서 자신들의 위치 정보만 역으로 내어준 꼴이 된 것.
NRG는 프나틱이 진입해야 할 단 한 턴의 수비를 스킬이 아닌 오딘으로 해결했다. 압도적인 화력을 가진 오딘의 프리파이어로 진입로가 차단된 프나틱은 2차 진입을 시도할 스킬도, 사이트를 돌릴 시간도 없는 자충수에 빠지게 되었다. NRG는 오딘을 상대가 노리는 사이트에 배치하기 위해 사이트 메인 영역을 최대한 조심스럽게 밀어내며 프나틱의 본대 위치를 추측할 정보들을 찾아나갔다. 꼬리가 영역에서 밀린 프나틱은 반대 사이트에서 승부를 강요받게 되었고, 이미 반대 사이트에 프나틱이 주둔한 것을 알고 있던 NRG는 한 발 빠르게 오딘을 배치하여 상대가 진입할 턴을 완벽하게 차단했다. 주로 사이트 진입용으로 쓰이는 섬광류나 투척류 스킬들은 오딘의 월샷을 억제할 수는 없다. 애초에 정확하게 에임을 맞추고 쏘는 것이 아니라 허공에 빠르게 총탄을 쏟아붓는 기관총이기 때문에 스킬로 밀려나지 않을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스킬을 쏟아부어 진입이 됐어야 할 마지막 턴을 넘겨준 프나틱은 사방에서 조여오는 NRG의 병력에 무너질 수밖에 없었다.
인게임 내에서 IGL인 보스터가 즉각적으로 수정하기엔 프나틱의 공격 전반을 건드려야 하는 문제였기에 쉽지 않았을 것이다. 단순히 IGL 차이라고 보기에도 어려운 것이 이 부분이다. 60초를 버렸는데 수비 팀이 조급해지지 않고 사이트를 지키는 것만으로 이미 프나틱을 이 자리까지 이끈 그 택틱이 파훼됐다는 것. 물론 NRG의 이런 홀딩 플레이는 상대가 프나틱이 아니었다면 오히려 사이트를 공짜로 내주고 리테이크까지 불가능해지는 최악의 결과를 맞았을 것이지만, 상대는 프나틱이었고 NRG는 이 홀딩 플레이가 통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던 것이다.
그나마 어비스에서는 카약이 미드 영역을 미친 배짱으로 밀어내주며 11 대 1을 15 대 13로 역전승하는 기적을 만들어냈지만, 디사이더 맵인 선셋에서는 이든과 브룩이 지키는 메인 영역에 가로막혀 아쉬운 패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인게임 내의 화면과 정보만 가지고 NRG의 이런 거시적인 움직임을 눈치채기엔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전술했던 어비스마저 NRG가 조급해져서 머리를 들이밀었다가 패배한 것이지, 프나틱이 상대의 택틱을 눈치채고 움직이는 모양새가 전혀 아니었다. 감코진이 이런 거시적인 움직임에 대해 눈치챘더라면 적어도 어비스나 선셋에서 속공이나 사이드 흔들기를 시도했어야 했으나 마지막 세트인 선셋까지도 프나틱은 NRG의 카운터 택틱에 전혀 대응하지 못했다.
8.1. 우승 - NRG Esports
|
뛰어난 화력과 택틱으로 NRG는 아메리카 2시드로 챔피언스 파리에 왔지만 신예 3명인 팀에 우승 기록이 없었던 만큼 다른 팀들에 비해 강력한 우승 후보로 뽑히지는 않았다. 그러나 라운드가 흐를수록 플레이오프가 지날수록 NRG는 더욱 단단하고 강한 팀이 되어 있었고 결승전에서 제일 돋보이는 팀이 되어 2025 챔피언스 파리 우승컵을 가져갔다.
베테랑과 신예들이 조화를 이뤄 우승하는 그야말로 이상적인 우승 계획을 그대로 보여주며 우승하였다. 팀워크와 개개인별로 보여주는 퍼포먼스도 뛰어났으며 특히 이번 챔피언스에서는 5명 전원이 무너지는 일 없이 뛰어난 평균점과 고점을 보여주며 우승하였다.
결승전에서는 그야말로 상대 팀인 프나틱을 해체/분석하여 승리, 트로피를 챙취하였다. 코로드와 로터스는 그야말로 상대방을 가볍게 압살했다고 봐도 무방한 경기였고 패배한 어비스에서도 확실하게 리드하며 트로피를 눈앞에 두고 있었다. 그러나 프나틱의 각성으로 어비스를 패배하고 어센트까지 내주게 된 후 흔들리며 최악의 형태로 패배할 법도 했지만 선셋에서 NRG는 다시금 각성해서 프나틱을 눕힌 뒤 해체 후 정리해버렸다.
승리와 마지막 역전의 비결은 전체적으로 상대의 전술과 행동을, 정확히는 팀 컬러와 습관을 완벽하게 캐치하여 역이용한 것에 있다. 프나틱은 강력한 에임과 2감시자 체제를 즐겨 쓰고 시간을 태우는 운영으로 재미를 보며 승리해왔다. 숙련도도 완성도도 높았고 분명 2025 챔피언스 파리 플레이오프에서도 유효한 전략이었지만 오히려 NRG는 그것을 역이용해서 프나틱을 넘어트렸다. 오딘을 적극 사용해서 시간 태우는 운영을 막고 되레 시간이 없어 제발로 전전긍긍하게 만들었으며 분명 플레이오프에서도 유효하던 전략들이 막히자 프나틱은 알아서 자빠지는 형태가 되어 무너졌다. 물론 프나틱은 강팀이었고 카운터 전략이 먹히지 않아 잘 안 풀리던 때도 있었으나 그럴 때마다 팀원들이 번갈아가며 활약해 버텨주었고 상대 팀보다 개개인적으로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이며 우승컵을 들어 올릴 수 있었다.
8.2. 준우승 - Fnatic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결국 패배하고 말았다. 프나틱은 강팀이었고 2025년도에 두각을 드러내는 팀들 중 하나였다. EMEA 스테이지 1 우승, 마스터즈 토론토 준우승 이후 프나틱은 여러 지적받았던 문제점을 고쳐와 챔피언스 파리에 임했고 분명 우승컵을 들어 올릴 만한 강팀들 중 하나라는 것에는 대부분 이견이 없었다.그러나 결승전의 내용은 객관적으로 처참한 모습을 보였다. NRG에 철저하게 밀리며 흔들렸고 코로드와 로터스에서 저항조차 제대로 못 한 채 내주며 3 대 0으로 무너지는 듯했다. 벼랑 끝 어비스에서 분투를 펼쳐 역전 후 익숙한 맵인 어센트를 승리한 것은 분명 좋았으나 양 팀 다 기피하던 맵인 선셋에서 무너져 내리며 결국 챔피언스 트로피를 들어올리지 못했다.
솔리드했던 NRG와는 정반대로 개개인별로 저점이 크게 드러난 결승전으로, 라운드를 이기기도 지기도 하였으나 전체적으로는 밀리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오딘에 얻어터진 1세트와 2세트는 말할 것도 없고 3세트도 카약의 슈퍼캐리와 벼랑 끝 역전의 도파민이 모든 것을 가려서 그렇지 11 대 1로 사실상 완패에 가까운 스코어로 몰렸다. 4세트는 자신 있어하는 맵 어센트여서 전체적으로 몸이 가벼운 모습들을 보여주며 승리했지만 제일 중요한 5세트에서 저점이 두드러져 초반 2라운드를 리드하고도 계속 밀려 패배하고 말았다.
크래시스는 오늘 전체적으로 저점을 띄웠으며 크로니클은 승리 세트와 패배 세트의 편차가 아주 컸고 알파예르도 초반부터 흔들리더니 후반에 저점이 터져 무색무취해졌다. 맹활약하던 카약도 결승 5세트의 부담감이 컸는지 오퍼 미스에다 16 라운드 패배 이후 무너져내렸다. 보스터는 나이가 든 뒤 지적받던 에임 문제를 고쳐온 듯 보였으나 결승전에선 빈말로도 좋다고 할 수 없는 KDA로 팀에 부담감을 가중시켰다[10].
본인들만의 강한 팀 컬러와 전략으로 강팀으로 부상한 프나틱이었지만 그만큼 무너질 때도 크게 무너졌다.
9. 여담
- 주황색이 팀 컬러인 양 팀의 결승전이 되었다.
- 보스터의 입장 댄스부터 양 팀 간의 리액션이 꽤나 재밌는 볼거리였고 특히 보스터의 경우 클러치나 세트 승리 시 보는 입장에서는 웃긴, 상대 팀에서 보면 아주 긁힐 춤을 선보이기도 했다. 5세트에서는 NRG의 샘 오 선수도 승리 시마다 일어서며 보스터를 도발하기도 하였다.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발로란트 챔피언스 역대 결승전 | }}} | ||
{{{#!wiki style="color: #1d1b1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1] 프랜차이즈 도입 이전인 2022년 LOUD의 우승까지 포함.[2] 1번째는 2021년 챔피언스의 Acend.[3] 2023년 Evil Genius 에서 우승경험[4] 2023년 락//인 상파울루, 2023년 마스터스 도쿄, 2025년 챔피언스 파리[5] 락//인 대회는 더 이상 개최되지 않기에 앞으로도 유일한 기록으로 남게 되며, 락//인을 제외하고 마스터스와 챔피언스만 따져도 팀으로서 최초의 기록이다.[6] 첫 우승은 프랜차이즈 도입 이전인 2021년 챔피언스 베를린의 Acend가 기록했다.[7] 크로니클은 2021년 챔피언스 베를린, 크래시스는 2022년 챔피언스 이스탄불 준우승을 기록했다.[8] NRG에서 조용히 팀원들을 격려하던 IGL 이든도 이때 결승전 처음으로 일어서며 승리를 예감했고 그대로 이루어졌다.[9] 2021 ACE zeek(척후대 겸임), 2022 LOUD aspas, 2023 EG Demon1, 2024 EDG zmjjKK, 2025 NRG brawk(척후대 전임)[10] 챔피언스 시작 이전 보스터는 토론토에서의 부진을 뼈저리게 느끼고 X에서 개인적으로 에임 코칭 강사를 찾을 정도로 달라지려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결국 결승전에 가까워지며 톱급 선수들을 상대로는 교전에서 체급차를 극복하지 못했고, 결국 결승 패배 이후 울음을 터뜨리는 모습을 보였다.